+ 문헌고찰 + 척추협착증 케이스스터디 , 수술실 케이스스터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문헌고찰 + 척추협착증 케이스스터디 , 수술실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본론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관찰함으로써 호흡장애로 인해 산소포화도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 호흡수와 산소포화도를 10분마다 측정하였다.
->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매우 중요한 대상자 사정방법의 하나이다.
호흡 (회)
산소포화도 (%)
4/14 13:33
11
93
4/14 13:43
14
95
4/14 13:53
16
99
4/14 14:03
15
99
3. 산소마스크를 통해 처방된 산소 6L/min으로 공급하였다.
-> 마취로 인해 수술 후 과소팽창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산소요법을 통해 환기를 증진시킨다.
4. 호흡에 방해되는 통증을 제거하였다.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 대상자의 통증을 없애어 호흡을 편하게 할 수 있다.
5. 대상자가 의식을 되찾을 수 있도록 깨워 기침과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 심호흡을 통해 폐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며, 가래는 기침을 해서 뱉어낼 수 있다.
6. 호흡기계 합병증(무기폐, 폐렴 등)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하였다.
-> 호흡기계 이상으로 인한 합병증을 관찰하여 즉시 대처할 수 있다.
평가
- 대상자는 호흡수가 15회로 목표를 완전성취하였다.
- 대상자의 산소포화도는 99%로 유지하였으므로 완전성취하였다.
날짜 : 2016 년 4 월 14 일
간호진단#2.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사정
주관적 자료
“수술한 곳이 너무 아파요.....”
“진통제 좀 놔줘요”
객관적 자료
- 대상자가 인상을 쓰고 식은 땀이 흐름
- VAS 9라고 말함.
간호목표
-대상자가 VAS 3이하라고 말한다.
-대상자가 진통제를 찾는 횟수가 줄어든다.
계획
1. 통증의 정도 및 양상을 사정한다.
2. 대상자의 통증으로 인한 변화를 관찰한다.
3. V/S을 측정한다.
4. 통증 감소를 위해 처방된 약물을 정확한 용량과 정확한 투여경로로 투여한다.
5. PCA장치의 효능과 지속기간을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수행 및 이론적 근거
1. 통증의 정도 및 양상을 사정하였다.
VAS
4/14 13:33
8
4/14 14:03
3
-> 통증의 특성과 강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통증 완화법을 적용할 수 있다.
2. 대상자의 통증으로 인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 대상자가 인상을 계속 쓰고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 대상자의 모습을 관찰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
3. V/S을 10분마다 측정하였다.
-> V/S은 환자의 상태를 알려주는 가장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자료이다.
시간
SBP
DBP
Pulse Rate
Respiration
SaO2
BT
13:33
148
88
91
11
93
35.9
13:43
156
100
84
14
95
36.3
13:53
151
99
79
16
99
36.4
14:03
132
97
79
15
99
36.3
4. 처방된 약물을 정확한 용량과 정확한 투여경로로 투여하였다.
-> 과량의 진통제를 투여하게되면 부작용으로 호흡억제, 오심, 구토 등이 있을 수 있다.
5. PCA장치의 효능과 지속기간을 대상자에게 설명하였다.
: 버튼을 계속 눌러도 과량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고 소량씩 적정량이 주입됨을 설명하였다.
평가
-대상자가 VAS 3이하라고 말했으므로 완전성취하였다.
-대상자가 PCA장치를 적절하게 사용하면서 진통제를 찾는 횟수가 줄었으므로 완전성취하였다.
날짜 : 2016 년 4 월 14 일
간호진단#3. 전신마취와 관련된 저체온
사정
주관적 자료
“너무 추워요....”
객관적 자료
- 수술전에 사정했던 체온보다 -0.7도 저하됨
수술 전
수술 후
체온
36.6
35.9
- 대상자가 이불을 손으로 움켜쥐고 몸을 부들부들 떠는 모습이 관찰됨
- 전신마취 약물 fentanil 정맥으로 투여됨
- 수술 과정 중 소독과 irrigation 등으로 인해 체온이 떨어져있음.
간호목표
-대상자는 회복실에 있는 동안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계획
1.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한다.
2. 피부상태(온도, 색깔)가 저체온 징후(저체온, 오한, 창백, 추위호소)가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3. 체온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온요법을 적용한다.
4. 대상자는 체온을 올리기 위한 자가간호를 실시할 수 있다.
수행 및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체온을 10분마다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상태를 알려주는 가장 정확한 지표이다.
BT
4/14 13:33
35.9
4/14 13:43
36.3
4/14 13:53
36.4
4/14 14:03
36.3
2. 대상자의 피부를 시각과 촉각으로 창백정도를 확인하였다.
-> 피부온도, 색깔을 통해 저체온 징후를 파악함으로써 그에 따른 간호가 달라질 수 있다.
3. 수술 직후 노출된 신체부위를 담요로 덮어주었다.
3-1. 대상자가 추위를 계속 호소하여 이불 안으로 베어를 적용하였다.
-> 회복실로 이송되는 환자는 장시간의 마취에서 깨어나 갑작스럽고 차가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가온요법을 적용하여 체온을 유지하며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대상자의 체온을 올리기 위해 호흡증진을 요구하여 마취가스가 나가도록 하였다.
- 마취제의 약리작용으로 근이완이 되어 체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마취제를 배출하기 위해 호흡을 증진시킨다.
평가
-대상자는 36.3도로 정상체온을 유지하여 목표를 완전성취하였다.
Ⅲ결론
대상자는 호흡수가 15회로 목표를 완전성취하였고, 대상자의 산소포화도는 99%로 유지하였으므로 완전성취하였다. 또한 대상자는 VAS 3이하라고 말하고 PCA장치를 적절하게 사용하면서 진통제를 찾는 횟수가 줄었으므로 급성 통증에 대한 목표를 완전성취하였다.
대상자는 36.3도로 정상체온을 유지하여 저체온에 대한 목표를 완전성취하였다.
Ⅳ참고문헌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12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2012
-김정혜 외, 병리학, 정담미디어, 2011
-네이버 건강 http://health.naver.com/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6.10.20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9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