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문헌고찰
1.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2. 질병의 정의
3. 증상
4. 진단
4. 치료
Ⅱ. 대상자 간호사정
2. 건강력
3. 검사실 검사
4. 진단을 위한 검사
5. 최종진단명
6. 치료과정
Ⅲ. 대상자 간호과정.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2.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3. 배액관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Ⅵ. 참고문헌.
1.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2. 질병의 정의
3. 증상
4. 진단
4. 치료
Ⅱ. 대상자 간호사정
2. 건강력
3. 검사실 검사
4. 진단을 위한 검사
5. 최종진단명
6. 치료과정
Ⅲ. 대상자 간호과정.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2.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3. 배액관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에게 필요한 시기에 약물효과가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시행한다.
평가
- 대상자는 수술 2일 후에 하나도 아프지 않다고 말씀 하셨다.
- 수술 2일 후에 통증 척도가 0점으로 줄었다.
- 대상자는 호흡운동, Ice pack , PCA 자가조절을 시행하였다.
간호진단
#2.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입이 껄끄러워서 밥맛이 별로야 ”
“ 수술 두 번하니까 입맛이 뚝 떨어지네.”
“ 아무것도 먹기 싫어 ”
객관적 자료
- 10/21 광대뼈 골절 정복술 시행 하시고 10/31 OR&IF 시행하였음.
- 식사를 거의 드시지 않음.
- 보호자가 걱정된다고 영양제를 놔달라고 하심.
- body weight 수술 전 93kg -> 수술 후 2일 91kg
목표
장기목표
퇴원 전까지 식욕이 증진되었다고 표현할 것이다.
단기목표
체중이 수술전 몸무게로 증가한다. (91kg->93kg)
간호중재
간호 계획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진단적:
- 식욕저하의 원인을 사정하기 위해 환자의 말을 경청한다.
- 심리적 상태를 사정한다.
- 음식섭취 횟수 및 양상에 대해 사정한다.
- 대화를 통해서 심리 상태를 사정했다.
- 매 식사 때 마다 음식섭취 량을 사정하였다.
.............................................
* 11/1 (수술 후 1일)
점심 : 죽도 안 드시고 제주감귤쥬스만 드셨음.
저녁 : 죽 다섯 숟가락, 함께 나온 음료수 드셨음.
*11/2 ( 수술 후 2일)
점심 : 죽 반공기 드시고 검은콩 두유 1개.
- 심리 상태에 따라 입맛이 없어질 수도 있다.
- 대상자의 음식 섭취 양상, 횟수를 기록하면서 대상자의 식사패턴을 이해 할 수 있다.
치료적
-필요시 영양제를 투여한다.
-식사 전 과도한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식사하는 동안 상쾌하고 깨끗하며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여러 번 나누어서 더욱 자주 먹도록 격려한다.
- 콜라나 커피와 같은 자극적인 음식은 제한한다.
-식전, 후에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 MG combi를 맞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 식사 전에 수분섭취를 줄이도록 했다.
- 보호자에게 식사 하는 동안 주위를 깨끗하게 유지해 줄 것을 설명하였다.
-소량씩 자주 먹는 것이 식욕증진에 좋으며 콜라와 커피같이 자극적인 음식은 최대한 제한할 것을 설명하였다.
-식전/후에 대상자 스스로 가글을 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
- 식사 전 마시는 과도한 수분은 식욕을 억제시킨다.
- 편안한 환경은 자연스럽게 식욕을 돋운다. 식사하기에 불편한 환경이라면 대상자의 식욕이 떨어질 수 있다.
- 한 번에 무리하게 먹는 것 보다는 소량씩 자주 섭취하는 것이 더 좋다.
- 콜라와 커피와 같은 자극적인 음식은 위장관을 자극하고 식욕을 감소 시킬 수 있다.
- 비위생적인 구강은 식욕을 저하 시킨다.
교육적
- 적절한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영양부족이 초래하는 심각성을 교육한다.
- 부적절한 영양섭취는 치유과정을 지연시킨다고 설명하였다.
- 영양 부족에 대한 심각성을 알게 되면 스스로 영양섭취를 잘 해야 겠다는 동기를 부여 시킬 수 있다.
평가
- 대상자는 수술 2일 후 저녁에 “입맛이 이제야 쫌 도네” 라고 말씀하셨다.
- 대상자는 수술 4일 후 체중이 93kg 으로 증가하였다.
간호진단
#3. 배액관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이게(삼출물) 역류해서 거꾸로 내 머리에 들어가면 어째 ”
“ 잘 나오고 있어요? 내 머리에 고이는거 아니겠지”
“ 빨리 빼주지. 이거 다니까 무슨 큰 병 걸린 것 같아서 더 불안 하네 ”
객관적 자료
- 10/31 OR&IF 를 시행하였다.
- 수술후 H-vac 삽입.
- 불안척도 10점 만점 중 7점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배액관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배액관에 대해 이해하였다고 대답한다.
대상자는 배액관 관리법을 한 가지 이상 시행한다.
간호중재
간호 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진단적
① 대상자에게 자신이 느끼는 불안에 대해 말할 수 있도록 하고 경청한다.
② 불안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신체증상을 사정한다.
- 대상자에게 자신이 느끼는 불안에 대해 말하도록 격려했다.
- V/S 측정시 불안을 나타내는 빈맥이나 호흡양상의 이상을 사정했다.
① 불안에 대해 말하도록 격려하고 경청함으로써 대상자의 불안 정도를 확인하고 대상자가 불안한 상황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② 불안증상시 빈맥이나 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적
① 앞으로의 치료방향에 대해 설명해준다.
- 삼출액의 양을 보고 2~3일
후에 배액관을 제거할
것이라고 치료방향에 대해
설명해 주시는 간호사
선생님의 모습을 관찰
하였다
① 앞으로의 치료방향에 대해 대상자가 알게 되면 대상자는 스스로 자신의 불안을 좀 더 잘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교육적
① 배액관의 작용과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② 배액관 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③ 배액관이 꼬이지 않도록 교육한다.
- 상처부위의 삼출물을 제거함으로써 염증생성을 억제하고 치유과정을 촉진시키는 것을 설명
하였다.
- 이동시 튜브를 꼭 잠근 후 이동하여야 함과 배액관은 반드시 수술부위 보다 아래에 두어야 함을 교육하였다.
- 배액관이 꼬이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교육하였다.
① 대상자에게 배액관에 대한 지식과 이점을 제공하여 불안을 경감 시킬 수 있다.
②,③ 스스로 관리법을 알고 시해하면서 스스로의 불안을 조절할 수 있다.
평가
- 대상자는 11/2일 까지 여전히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 대상자는 “배액관을 밑에 둬야 잘 빠지겠네” 라고 배액관에 대해 이해하시고 말씀하셨다.
- 대상자는 늘 상처부위 보다 아래에 배액관을 두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Ⅵ.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 Ⅱ / 수문사
2. for nurse review book / 전국 간호대학교수 편역 / 의학서원
3. 기본간호학 / 송경애 외 9명 / 수문사
4. 간호사를 위한 검사 이야기 / 의학서원
5. 표준성형외과학 p. 178~180 184~185
6. 약품정보검색 http://www.druginfo.co.kr/
평가
- 대상자는 수술 2일 후에 하나도 아프지 않다고 말씀 하셨다.
- 수술 2일 후에 통증 척도가 0점으로 줄었다.
- 대상자는 호흡운동, Ice pack , PCA 자가조절을 시행하였다.
간호진단
#2.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입이 껄끄러워서 밥맛이 별로야 ”
“ 수술 두 번하니까 입맛이 뚝 떨어지네.”
“ 아무것도 먹기 싫어 ”
객관적 자료
- 10/21 광대뼈 골절 정복술 시행 하시고 10/31 OR&IF 시행하였음.
- 식사를 거의 드시지 않음.
- 보호자가 걱정된다고 영양제를 놔달라고 하심.
- body weight 수술 전 93kg -> 수술 후 2일 91kg
목표
장기목표
퇴원 전까지 식욕이 증진되었다고 표현할 것이다.
단기목표
체중이 수술전 몸무게로 증가한다. (91kg->93kg)
간호중재
간호 계획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진단적:
- 식욕저하의 원인을 사정하기 위해 환자의 말을 경청한다.
- 심리적 상태를 사정한다.
- 음식섭취 횟수 및 양상에 대해 사정한다.
- 대화를 통해서 심리 상태를 사정했다.
- 매 식사 때 마다 음식섭취 량을 사정하였다.
.............................................
* 11/1 (수술 후 1일)
점심 : 죽도 안 드시고 제주감귤쥬스만 드셨음.
저녁 : 죽 다섯 숟가락, 함께 나온 음료수 드셨음.
*11/2 ( 수술 후 2일)
점심 : 죽 반공기 드시고 검은콩 두유 1개.
- 심리 상태에 따라 입맛이 없어질 수도 있다.
- 대상자의 음식 섭취 양상, 횟수를 기록하면서 대상자의 식사패턴을 이해 할 수 있다.
치료적
-필요시 영양제를 투여한다.
-식사 전 과도한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식사하는 동안 상쾌하고 깨끗하며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여러 번 나누어서 더욱 자주 먹도록 격려한다.
- 콜라나 커피와 같은 자극적인 음식은 제한한다.
-식전, 후에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 MG combi를 맞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 식사 전에 수분섭취를 줄이도록 했다.
- 보호자에게 식사 하는 동안 주위를 깨끗하게 유지해 줄 것을 설명하였다.
-소량씩 자주 먹는 것이 식욕증진에 좋으며 콜라와 커피같이 자극적인 음식은 최대한 제한할 것을 설명하였다.
-식전/후에 대상자 스스로 가글을 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
- 식사 전 마시는 과도한 수분은 식욕을 억제시킨다.
- 편안한 환경은 자연스럽게 식욕을 돋운다. 식사하기에 불편한 환경이라면 대상자의 식욕이 떨어질 수 있다.
- 한 번에 무리하게 먹는 것 보다는 소량씩 자주 섭취하는 것이 더 좋다.
- 콜라와 커피와 같은 자극적인 음식은 위장관을 자극하고 식욕을 감소 시킬 수 있다.
- 비위생적인 구강은 식욕을 저하 시킨다.
교육적
- 적절한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영양부족이 초래하는 심각성을 교육한다.
- 부적절한 영양섭취는 치유과정을 지연시킨다고 설명하였다.
- 영양 부족에 대한 심각성을 알게 되면 스스로 영양섭취를 잘 해야 겠다는 동기를 부여 시킬 수 있다.
평가
- 대상자는 수술 2일 후 저녁에 “입맛이 이제야 쫌 도네” 라고 말씀하셨다.
- 대상자는 수술 4일 후 체중이 93kg 으로 증가하였다.
간호진단
#3. 배액관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이게(삼출물) 역류해서 거꾸로 내 머리에 들어가면 어째 ”
“ 잘 나오고 있어요? 내 머리에 고이는거 아니겠지”
“ 빨리 빼주지. 이거 다니까 무슨 큰 병 걸린 것 같아서 더 불안 하네 ”
객관적 자료
- 10/31 OR&IF 를 시행하였다.
- 수술후 H-vac 삽입.
- 불안척도 10점 만점 중 7점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배액관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배액관에 대해 이해하였다고 대답한다.
대상자는 배액관 관리법을 한 가지 이상 시행한다.
간호중재
간호 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진단적
① 대상자에게 자신이 느끼는 불안에 대해 말할 수 있도록 하고 경청한다.
② 불안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신체증상을 사정한다.
- 대상자에게 자신이 느끼는 불안에 대해 말하도록 격려했다.
- V/S 측정시 불안을 나타내는 빈맥이나 호흡양상의 이상을 사정했다.
① 불안에 대해 말하도록 격려하고 경청함으로써 대상자의 불안 정도를 확인하고 대상자가 불안한 상황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② 불안증상시 빈맥이나 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적
① 앞으로의 치료방향에 대해 설명해준다.
- 삼출액의 양을 보고 2~3일
후에 배액관을 제거할
것이라고 치료방향에 대해
설명해 주시는 간호사
선생님의 모습을 관찰
하였다
① 앞으로의 치료방향에 대해 대상자가 알게 되면 대상자는 스스로 자신의 불안을 좀 더 잘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교육적
① 배액관의 작용과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② 배액관 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③ 배액관이 꼬이지 않도록 교육한다.
- 상처부위의 삼출물을 제거함으로써 염증생성을 억제하고 치유과정을 촉진시키는 것을 설명
하였다.
- 이동시 튜브를 꼭 잠근 후 이동하여야 함과 배액관은 반드시 수술부위 보다 아래에 두어야 함을 교육하였다.
- 배액관이 꼬이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교육하였다.
① 대상자에게 배액관에 대한 지식과 이점을 제공하여 불안을 경감 시킬 수 있다.
②,③ 스스로 관리법을 알고 시해하면서 스스로의 불안을 조절할 수 있다.
평가
- 대상자는 11/2일 까지 여전히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 대상자는 “배액관을 밑에 둬야 잘 빠지겠네” 라고 배액관에 대해 이해하시고 말씀하셨다.
- 대상자는 늘 상처부위 보다 아래에 배액관을 두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Ⅵ.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 Ⅱ / 수문사
2. for nurse review book / 전국 간호대학교수 편역 / 의학서원
3. 기본간호학 / 송경애 외 9명 / 수문사
4. 간호사를 위한 검사 이야기 / 의학서원
5. 표준성형외과학 p. 178~180 184~185
6. 약품정보검색 http://www.druginfo.co.kr/
추천자료
[성인간호학][통증간호][불안간호]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Dementia][치매]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Burn][화상]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hronic obstru...
[성인간호학][Pancreatitis][췌장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hronic obstru...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Chronic Obstruct...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
[성인간호학][CPR][심폐소생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응급실케이스)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Chronic Obstruc...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