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론적 배경
------------------ 2
1. 당뇨병의 정의
----------------------- 2
2. 당뇨병의 분류
----------------------- 2
3. 당뇨병의 원인
----------------------- 3
4. 당뇨병의 증상과 징후
----------------------- 4
5. 진단검사
----------------------- 4
6. 치료
----------------------- 6

Ⅱ. 간호사정
------------------ 9
1.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 10
2. 건강력
---------------------- 10
3. 건강양상
---------------------- 10
4. 약물
---------------------- 14
5. 진단검사
---------------------- 16
6. 방사선 검사
---------------------- 19

Ⅲ. 간호진단
------------------ 19

Ⅳ. 참고문헌
------------------

본문내용

의 기동상태와 정신 상태를 측정관찰한다.
대상자가 의식이 있다면 빨리 혈당을 높이는 음식(사탕 3~4개, 우유 또는 두유 1개, 쥬스 1병, 식빵 1쪽, 크래커 3~4개)을 먹인다. 단, 환자의 의식이 혼미해 지거나 혼수에 빠진 경우에는 입으로 음식물을 먹이지 않는다.
사탕, 초콜릿과 같은 당질이 함유된 음식을 휴대하도록 교육한다.
식사는 거르지 않고 꼭 챙겨먹도록 교육한다..
과도한 활동은 제한도록 교육한다.
당뇨병임을 나타내는 인식표나 당뇨수첩을 휴대하도록 교육한다.
간 호 수 행
아침에 인계가 끝나고 라운딩하면서 간호사가 질문하였다.
간호사가 병실 침대로 얼른 가서 누워계시라고 교육하고, BST를 측정하였다.
당수치가 100mg/dl 이하일 경우, 주스 1개를 마시도록 하였다.
침대에 누워있지 않고 밖에 돌아다닐 경우 사탕이나 초콜릿을 가지고 다니도록 교육하였다.
간호사가 식사는 거르지 않고, 필요시 간식을 먹으라고 교육하였다.
간호사가 과도한 활동은 저혈당을 유발할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간 호 평 가
저혈당증이 일어나는 원인과 증상, 추후관리까지 교육을 통해 저혈당에 대해 본인 스스로 관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저혈당증이 사라지긴 했으나 추후 관리가 계속적으로 필요하다.
추가로 내릴 수 있는 간호계획
당뇨병임을 나타내는 인식표나 당뇨수첩을 휴대하도록 교육한다.
간 호 진 단
# 2. 간호진단명 : 당뇨 합병증과 관련된 양 손의 저림
▶ 과학적 근거 : 당뇨합병증으로 인한 말초 다발성 신경증
▶ 주관적 자료(S.D) : “양쪽 손이 너무 저려요. 특히 왼쪽이 더 저려요.”
▶ 객관적 자료(O.D) : 손이 공중에 떠 있으면 손이 떨림 현상이 나타난다.
손을 만지는 것에도 통증을 호소한다.
간 호 계 획
간호진단명
당뇨합병증과 관련된 양 손의 저림
목 표
양손의 불편감이 감소될 것이다.
단기목표 : 2주일 안에 이완된 얼굴 표정과 자세를 보일 것이다.
장기목표 : 2달 이내에 양 손의 저림 현상에 대해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계 획
말초 다발성 신경증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 사정한다.
불편감에 대한 비언어적 징후와 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불편감 정도를 사정한다.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한다.
처방된 약을 투여한다.
통증이 계속될 경우 의사에게 보고하여 신경과 협진을 의뢰한다.
간 호 수 행
② 간호사에 의해 통증 양상을 사정하였다.
간호사는 오늘 아픈 정도를 최소 1점에서 최고 10점으로 하였을 때 몇 점이냐고 물어 환자의 불편감을 사정하였다.
이완을 증진시키고 따라서 불편감에 대한 환자의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였다.
간호사는 처방된 부분발작 치료 보조제와 근이완제를 투약하였다.
간호사는 의사에게 대상자의 상태를 보고하고 신경과 협진을 의뢰했다.
간 호 평 가
투약을 통해 손 저림 현상이 완화되었다.
하지만 6월 16일 수술 전까지 계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추가로 내릴 수 있는 간호계획
당뇨병임을 나타내는 인식표나 당뇨수첩을 휴대하도록 교육한다.
간 호 진 단
# 3. 간호진단명 :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
▶ 과학적 근거 : 대장을 포함하는 자율신경증과 관련이 있는 대장 무긴장증이나 확장
▶ 주관적 자료(S.D) : “변이 안 나와요.”
“배가 더부룩해요.”
▶ 객관적 자료(O.D) : 복부팽만감이 있다.
3일째 변을 보지 못했다.
간 호 계 획
간호진단명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
목 표
대상자는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보일 것이다.
단기목표 : 2~3일 내에 배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목표 : 2주일 내에 변비에 대한 호소를 하지 않을 것이다.
계 획
변비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한다.
변의를 느낄 때마다 참지 말고 배변하도록 격려한다.
많은 양의 물(약 1.5~2L)을 마시도록 교육한다.
활동 양을 증가시킨다.
처방에 따라 완하제를 투여하거나 관장을 한다.
고섬유성 식이섭취를 증가하도록 교육하고, 필요하다면 처방된 당뇨 식이에 고섬유소성 식이를 첨가하도록 돕기 위해 식이 상담을 받도록 한다.
금기가 아니라면 배변을 위해 변기 위에 high Fowler체위를 취하도록 격려한다.
환자를 이완시키고, privacy를 제공해 주고, 배변이 끝나면 신호를 보내게 한다.
규칙적인 시간에 배변을 하도록 하고, 가급적이면 식사 1시간 내에 대변을 보도록 격려한다.
장음을 사정한다.
간 호 수 행
간호사가 최근 과거와 비교한 배변 횟수, 변의 양상, 식사 양의 정도 등을 사정하였다.
간호사에 의해 변의가 느껴지면, 바로 화장실로 가라고 교육되었다.
대상자에게 많은 양의 물을 마시도록 교육해 주었다.
대상자에게 활동을 많이 하면 장운동이 되서 배변이 용이할 것이라고 설명해 주었다.
Dr.에 의해 완화제가 처방되었고, 필요시 글리세린 관장도 처방 받아 간호사가 수행하였다.
간 호 평 가
관장을 통해 변비의 문제가 해결이 되었다.
하지만 계속적으로 변비의 문제가 예상될 수 있으므로 추후관리가 필요하다.
추가로 내릴 수 있는 간호계획
금기가 아니라면 배변을 위해 변기 위에 high Fowler체위를 취하도록 격려한다.
환자를 이완시키고, privacy를 제공해 주고, 배변이 끝나면 신호를 보내게 한다.
규칙적인 시간에 배변을 하도록 하고, 가급적이면 식사1시간 내에 대변을 보도록 격려한다.
장음을 사정한다.
Ⅳ. 참고문헌
청주성모병원 61병동 우 ○ ○님 차트
박상연 외 5(2006), 성인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Ⅱ, 정담미디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2005), 내분비학, 전정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문자 외(2004), 성인간호학 下, 다섯째판, 수문사
John Murtagh(2006), 질호나별 환자교육자료집, 이정권 외, 대한의학서적
JOYCE M.BLACK 외 2(2007), 성인간호학2, 김분한 외 , 개정판, 정담미디어
국제 당뇨병 교육협회 http://www.idea21.org/
당뇨병 이야기 http://www.dangnyo75.co.kr/
당뇨병 및 내분비질환 유전체 연구센터 http://www.dmgenome.org/
당뇨병 함께 이기기 http://cafe.daum.net/dangout/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4.02.16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48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