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격과 스포츠
2. 스포츠 동기의 이해
3. 스트레스, 불안과 운동 수행
4. 각성이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5. 현장 적용 시사점
2. 스포츠 동기의 이해
3. 스트레스, 불안과 운동 수행
4. 각성이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5. 현장 적용 시사점
본문내용
턱걸이, 투포환, 역도 등
다. 최적 수행 지역 이론
구소련의 스포츠심리학자인 Yuri Henin은 불안과 운동 수행 사이의 역U자 관계에 대한 대안으로 최적 수행 지역 Zone of Optimal Functioning ZOF 이론을 제안하였다.
선수들의 상태 불안 수준에는 개인차가 매우 크며 최고의 수행을 하는 데에는 반드시 특정 수준의 불안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즉, 개개 선수는 최고의 수행을 발휘할 때 자신만의 고유한 불안 수준이 있다는 것이다. ZOF은 한 선수의 불안 수준과 수행과의 관계를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 번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설정한다.
※ 역U자 가설과 비교
1. 적절 불안 수준은 불안의 연속선상에 항상 한 중앙이 아닐 수 있으며 개인에 따라 큰 차이가 날 수 있다.
2. 최적의 상태 불안 수준은 한 점이라기보다는 범위(지역)으로서 표시된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아직까지 가설로 머물러 있고 실제로 상태 불안 ZOF의 안과 밖에서 어떻게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실히 설명해 주지는 못한다.( 역U자이론과 마찬가지로 불안의구성요소를 구분하지 못하며 단일 차원으로 간주한다.)
라. 불안의 다차원 이론
불안은 단일 차원이 아니며 최소한 두 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된 것이다. 즉, 인지 불안과 신체 불안으로 구분된다. 이 두 불안 요소는 운동 수행에 서로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인지 불안은 운동 수행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다. 인지 불안 점수가 높아질수록 운동 수행은 더 나빠진다. 반면에 신체 불안은 적정 수준까지는 수행에 도움이 되지만 그 수준보다 높아지면 수행이 감소하게 되는 역U자 관계를 보인다.
◎ 역U자 가설이나 최적 수행 지역 이론과는 달리 불안을 인지적 차원과 신체적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이 수행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친다고 예측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인지 불안이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포함하여 이 이론이 예측한 사실에 대한 일관성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마. 카타스트로피 이론
인지 불안 수준이 낮을 때에는 생리적 각성과 운동 수행간에 역U자 관계가 형성되나 인지 불안 수준이 높을 때에는 생리적 각성이 적정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 수행의 급격한 추락현상이발생한다고 보는 이론이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이 이론을 카타스트로피(대격변) 이론이라고한다. 이 이론의 매력은 불안의 두 하위요인인 인지 불안과 신체 불안이 질서 정연 한 양상으로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바. 전환이론 Reversal Theory
각성과 정서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룬 이론이다. 이 이론의 핵심 개념은 자신의 각성 수준을 어떻게 해석 하느냐에 따라 각성과 정서의 관계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 특 징
각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부정적일 수도 있고 긍정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사. Martens의 심리에너지이론
전환 이론은 각성과 기분 상태의 관계만 설명하였다. 운동 수행에 관한 직접적인 내용은 없다. Marens는 각성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운동 수행이 달라진다는 주장을 하였다.
◎ 역U자 형태를 띠지만 역 U자 가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역U자 가설은 각성을 구분 없이 동일한 생리적 각성으로 보는 반면에 Martens의 심리에너지이론에서는 각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이라고 본다. Martens는 이론에 기반을 두었다기 보다는 자신의 현장 경험에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선수나 지도자에게 직관적인 호소력이 있다.
4. 각성이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여러 이론에서 보듯이 각성과 불안은 운동 수행에 반드시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도 있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도 있다. 중요한 점은 각성과 불안의 절대 강도보다도 선수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하는 문제이다. 불안과 각성이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 주의 영역의 변화와 근육 긴장의 변화를 들 수 있다.
가. 주의 영역의 변화
단서 활용이론을 제시한 Easterbrook과 주의 형태를 연구한 Nideffer은 각성과 불안이 주의 집중의 변화를 초래한다고 주장하였다. ==> 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자의 주의 영역이 점점 좁아진다.
▶ 각성 수준이 높을 때 : 주의 영역이 지나치게 좁다.
=> 필요한 정보와 불필요한 정보가 모두 주의 영역에서 사라져 운동 수 행에 방해가 된다.
▶ 적정 : 주의 영역이 적절하다.
=> 불필요한 정보를 배제하고 필요한 정보만 주의를 기울이므로 수행이 향상된다.
▶ 낮을 때 : 주의 영역이 지나치게 넓다
=> 불필요한 정보까지 받아들여 수행에 방해가 된다.
그리고 선수들은 대개 자신이 선호하는 주의 유형이 있다. 각성과 불안 수준이 높아지면 상황에 관계 없이 자신이 선호하는 주의 영역으로 돌아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주의를 넓혀야 하는 상황에서 좁아지는 등의 형상이 발생해 최적의 운동 수행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나. 근육 긴장의 변화
불안 수준이 높아질 때 몸이 굳어지는 것은 누구나 한번쯤 느껴봤을 것이다. 불안이 높아지면 근육의 불필요한 긴장을 초래한다는 사실은 근전도(EMG)를 사용하여 근육활동을 조사하면 알 수 있다. 예로 테니스 초보자들은 스윙을 할 때 팔과 다리 등 온 몸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불안이 높아지면 근육의 긴장을 초래하고 협응력도 방해를 받게 된다.
5. 현장 적용 시사점
▶ 선수가 어떤 각성 수준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발휘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 지도자와 코치는 불안의 행동적 증상을 이용하여 불안 수준이 높은 선수나 학생을 찾아내야 한다.
▶ 선수 개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개별적인 지도 방법을 개발한다. 불안 수준이 높고 자신감이 낮은 선수에게는시합의 중요성 강조는 불안 극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불안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 카타스트로피 이론에 따르면 과도한 각성이 발생했을 경우 최적의 수행에 이르기 위해서는 완전한 이완이 요구된다.
▶ 과정 지향적인 목표에 주의를 집중하면 불안 수준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 최적 수행 지역 이론
구소련의 스포츠심리학자인 Yuri Henin은 불안과 운동 수행 사이의 역U자 관계에 대한 대안으로 최적 수행 지역 Zone of Optimal Functioning ZOF 이론을 제안하였다.
선수들의 상태 불안 수준에는 개인차가 매우 크며 최고의 수행을 하는 데에는 반드시 특정 수준의 불안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즉, 개개 선수는 최고의 수행을 발휘할 때 자신만의 고유한 불안 수준이 있다는 것이다. ZOF은 한 선수의 불안 수준과 수행과의 관계를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 번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설정한다.
※ 역U자 가설과 비교
1. 적절 불안 수준은 불안의 연속선상에 항상 한 중앙이 아닐 수 있으며 개인에 따라 큰 차이가 날 수 있다.
2. 최적의 상태 불안 수준은 한 점이라기보다는 범위(지역)으로서 표시된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아직까지 가설로 머물러 있고 실제로 상태 불안 ZOF의 안과 밖에서 어떻게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실히 설명해 주지는 못한다.( 역U자이론과 마찬가지로 불안의구성요소를 구분하지 못하며 단일 차원으로 간주한다.)
라. 불안의 다차원 이론
불안은 단일 차원이 아니며 최소한 두 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된 것이다. 즉, 인지 불안과 신체 불안으로 구분된다. 이 두 불안 요소는 운동 수행에 서로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인지 불안은 운동 수행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다. 인지 불안 점수가 높아질수록 운동 수행은 더 나빠진다. 반면에 신체 불안은 적정 수준까지는 수행에 도움이 되지만 그 수준보다 높아지면 수행이 감소하게 되는 역U자 관계를 보인다.
◎ 역U자 가설이나 최적 수행 지역 이론과는 달리 불안을 인지적 차원과 신체적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이 수행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친다고 예측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인지 불안이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포함하여 이 이론이 예측한 사실에 대한 일관성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마. 카타스트로피 이론
인지 불안 수준이 낮을 때에는 생리적 각성과 운동 수행간에 역U자 관계가 형성되나 인지 불안 수준이 높을 때에는 생리적 각성이 적정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 수행의 급격한 추락현상이발생한다고 보는 이론이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이 이론을 카타스트로피(대격변) 이론이라고한다. 이 이론의 매력은 불안의 두 하위요인인 인지 불안과 신체 불안이 질서 정연 한 양상으로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바. 전환이론 Reversal Theory
각성과 정서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룬 이론이다. 이 이론의 핵심 개념은 자신의 각성 수준을 어떻게 해석 하느냐에 따라 각성과 정서의 관계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 특 징
각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부정적일 수도 있고 긍정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사. Martens의 심리에너지이론
전환 이론은 각성과 기분 상태의 관계만 설명하였다. 운동 수행에 관한 직접적인 내용은 없다. Marens는 각성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운동 수행이 달라진다는 주장을 하였다.
◎ 역U자 형태를 띠지만 역 U자 가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역U자 가설은 각성을 구분 없이 동일한 생리적 각성으로 보는 반면에 Martens의 심리에너지이론에서는 각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이라고 본다. Martens는 이론에 기반을 두었다기 보다는 자신의 현장 경험에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선수나 지도자에게 직관적인 호소력이 있다.
4. 각성이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여러 이론에서 보듯이 각성과 불안은 운동 수행에 반드시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도 있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도 있다. 중요한 점은 각성과 불안의 절대 강도보다도 선수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하는 문제이다. 불안과 각성이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 주의 영역의 변화와 근육 긴장의 변화를 들 수 있다.
가. 주의 영역의 변화
단서 활용이론을 제시한 Easterbrook과 주의 형태를 연구한 Nideffer은 각성과 불안이 주의 집중의 변화를 초래한다고 주장하였다. ==> 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자의 주의 영역이 점점 좁아진다.
▶ 각성 수준이 높을 때 : 주의 영역이 지나치게 좁다.
=> 필요한 정보와 불필요한 정보가 모두 주의 영역에서 사라져 운동 수 행에 방해가 된다.
▶ 적정 : 주의 영역이 적절하다.
=> 불필요한 정보를 배제하고 필요한 정보만 주의를 기울이므로 수행이 향상된다.
▶ 낮을 때 : 주의 영역이 지나치게 넓다
=> 불필요한 정보까지 받아들여 수행에 방해가 된다.
그리고 선수들은 대개 자신이 선호하는 주의 유형이 있다. 각성과 불안 수준이 높아지면 상황에 관계 없이 자신이 선호하는 주의 영역으로 돌아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주의를 넓혀야 하는 상황에서 좁아지는 등의 형상이 발생해 최적의 운동 수행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나. 근육 긴장의 변화
불안 수준이 높아질 때 몸이 굳어지는 것은 누구나 한번쯤 느껴봤을 것이다. 불안이 높아지면 근육의 불필요한 긴장을 초래한다는 사실은 근전도(EMG)를 사용하여 근육활동을 조사하면 알 수 있다. 예로 테니스 초보자들은 스윙을 할 때 팔과 다리 등 온 몸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불안이 높아지면 근육의 긴장을 초래하고 협응력도 방해를 받게 된다.
5. 현장 적용 시사점
▶ 선수가 어떤 각성 수준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발휘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 지도자와 코치는 불안의 행동적 증상을 이용하여 불안 수준이 높은 선수나 학생을 찾아내야 한다.
▶ 선수 개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개별적인 지도 방법을 개발한다. 불안 수준이 높고 자신감이 낮은 선수에게는시합의 중요성 강조는 불안 극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불안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 카타스트로피 이론에 따르면 과도한 각성이 발생했을 경우 최적의 수행에 이르기 위해서는 완전한 이완이 요구된다.
▶ 과정 지향적인 목표에 주의를 집중하면 불안 수준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추천자료
[언론시장][언론][언론개혁][언론개혁운동][한국 언론개혁 운동][언론개혁 과제][언론시장 상...
[시청자][시청자운동][시청자운동 유형][시청자운동 현황][시청자운동 한계][시청자운동 과제...
[소비자 주권][소비자 책임][소비자문제][소비자운동][소비자운동 목표][시대별 소비자운동]...
[일본][사회운동][노동운동]일본의 노동운동, 일본의 여성노동자운동, 일본의 어린이독서운동...
[통일][통일운동][남북통일][남북분단][통일운동 발전 과제][통일운동 새로운 방향][통일운동...
[건강][운동][유산소운동][무산소운동][건강의 의미][운동의 중요성][운동의 영향]건강의 의...
[체력][체력 정의][체력 요소][체력과 건강][체력과 운동][체력과 체력측정][체력 강화 방안]...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의 연혁,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
시민단체(NGO, 비정부조직) 청소년보호운동, 여성운동, 노동운동, 시민단체(NGO, 비정부조직)...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주항쟁, 5 18광주민중항쟁) 의미,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
[한국민족운동사-3·1운동의 쟁점] 3·1운동의 폭력·비폭력 문제
[운동처방관련학과] 류마티스성 관절염(RA) - 특징, 진행과정, 영향 ,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
영아기의 발달특징 가운데 다양한 운동발달을 설명하고 부모의 역할을 쓰시오 - 영아기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