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천국의 발생배경과 농민혁명의 전개 및 그 성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태평천국 발생배경의 객관적 조건
1) 와해되는 중국의 봉건사회
2) 서양자본주의의 침략- 아편전쟁의 영향
3) 민중봉기의 도가니 광서(廣西)

3. 태평천국의 확장
1) 남경 공략
2) 태평천국군의 팽창 이유

4. 태평천국 농민혁명의 전개와 그 성격
1) 배상제회(拜上帝會)의 평등사상과 공고(公庫)제도
2) 민중의 군대
3) 태평천국의 혁명강령 천조전무제도(天朝田畝制度)
4) 천경사변과 자정신편
5) 태평천국의 봉건화 그리고 좌절

5. 결론: 중국근현대 혁명의 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지도층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지식인인 지주와 청조관료의 태평천국 참가를 호소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만민평등의 이념에서 지주라도 귀순하면 모두 상제의 자녀, 천조(天朝)의 백성으로 간주되어 동일시되었다. 농민의 항조투쟁을 탄압한 경험이 풍부한 신사지주가 자신의 재산과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태평천국에 위장귀순한 경우도 많았고 태평천국 지방지배기구의 향관으로 취임하여 재차 농민을 지배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태평천국 후기 강소,절강 등 24개 지역의 향관의 성분을 분석해보면, 하층민중이 향관에 취임한 곳이 3지역, 하층민중과 지주가 동시에 취임한 곳이 9지역, 신사나 지주와 서리가 취임한 곳은 12지역이나 된다. 즉 24지역중 21개지역에서 봉건적 지배계층이 태평천국 지방정권의 향관이 되었거나 지방정권의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평천국 후기 강소,절강 등의 지역에서는 지주제가 그대로 용인되어 지주의 지대징수가 태평천국 당국에 의해 보호되기조차 하였는데 이는 태평천국 지방당국의 향관이 봉건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물론 태평천국이 장악한 여러 지역에서 혁명적 분위기에 고무된 농민이 지대납부를 거부하거나 지주를 공격하였기 때문에 지주는 도망하거나 숨을 죽이면서 살아야 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향관의 보호하에 지주는 그들의 토지소유권을 인정받고, 지대를 징수하여 태평천국에 조세를 납부하였다. 심지어는 지대납부를 거부하는 전호의 항조운동을 태평천국 당국은 무력으로 진압하기도 하였다. 이런 상황에 이르러 태평천국은 민중으로부터 버림받게 되었다.
5. 결론: 중국근현대 혁명의 역사적 의의
태평천국이 후기에 이르러 지주제를 용인하고 지주의 이익을 보호함으로써 천조전무제도에서 제기한 평등과 토지균분의 이념을 배반하였다고 한다면 태평천국농민전쟁의 혁명성과 의의는 어디서 찾아야 할 것인가?
일부 학자는 태평천국치하에서 농민의 경제적 지위가 청조치하보다 향상되었다는 점을 들어 태평천국을 개량주의적 정권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즉 태평천국치하에서는 지주가 마음놓고 지대를 징수하지 못하였을 뿐아니라 지대율도 청조치하보다 훨씬 경감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그러한 점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태평천국농민전쟁이 갖는 역사적 의의는 태평천국이 중국근현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 나아가서는 세계사속에서 어떠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가 등의 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우선, 태평천국운동은 봉건적 경제기초와 상부구조를 동요시켰고, 청조의 봉건통치에 타격을 가하였다. 봉건적 지주토지소유제를 폐절하려는 천조전무제도의 이상은 실현되지 않았지만 그 혁명정신은 농민투쟁을 고무하였고 봉건적 지주토지소유제에 타격을 가하였다. 태평군이 관료지주나 신사지주에 대하여 공격을 가하고 경제적 타격을 주었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이들 지주의 사망,도망 등으로 농민이 실제적인 토지소유자로 인정되기도 하였고, 황무지를 개간하는 과정에서 많은 자작농이 출현하였다. 또한 태평천국은 당시 반봉건 투쟁의 선봉이었고 중심이었으며 각지역 인민의 반항투쟁을 고무하고 추동하였다. 1853년의 상해 소도회봉기, 1850-1860년대의 광서.광동의 천지회봉기, 1853-1868년의 염군(捻軍)봉기, 귀주.운남의 소수민족봉기, 서북지역의 회민기의 등도 모두 태평천국운동에 고무되어 발생한 것들이었다. 이들 봉기는 청조의 지방통치를 거의 와해시키고 청조의 몰락을 촉진하였다.
둘째, 태평천국은 중국근대화의 길을 닦았다. 봉건지배계급을 대량으로 숙정함으로써 자본주의로의 길에 장애가 되는 세력을 약화시켰고, 봉건적 유교 지배이데올로기를 비판하고 여성의 사회참여를 보장함으로써 사상의 해방을 지향하여 이념적으로 근대사회를 준비하였다. 역설적이지만, 태평천국농민전쟁을 진압하기 위해 추진된 양무운동은 중국근대공업화의 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민중운동의 진압을 위한 대포,군함,소총,탄약 등 군수물자의 생산을 위주로 전개된 양무운동은 결과적으로 중국에 새로운 공장과 새로운 노동자, 새로운 기술을 초래함으로써 중국자본주의 발전의 단초를 열었다.
세째, 중국근현대에 혁명의 씨앗을 뿌렸다. 태평천국이 제기한 반봉건.반침략의 정신은 후세에 계승되어 신해혁명과 중국혁명의 사상적 기원이 되었다. 자산계급민주혁명의 지도자 손문은 홍수전을 흠모하여 제2의 홍수전을 자처하였고, 황흥,장병린 등의 동맹회 지도자들도 태평천국혁명사상의 영향을 받아 혁명에 투신하였다. 그들은 태평천국의 반만(反滿)사상을 선양함으로써 자신들의 민족혁명사상을 선전하였다. 중국홍군의 지도자 주덕은 태평군의 엄격한 군율을 원용하여 홍군의 군율인 3대규율 8항주의를 제정하였고, 모택동은 중국역사 발전의 원동력을 태평천국 등의 농민기의에서 찾았다. 금욕적이고 민중적인 혁명군대 홍군은 바로 태평군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네째, 태평천국은 페르시아의 바하이교도의 반란(1848-1852), 인도의 세포이 반란(1857-1859)과 더불어 근대 아시아민중의 혁명정신을 고양시켰다. 19세기 중엽 구미자본주의 열강의 아시아침략은 아시아 각국 인민의 단호한 반항을 불러일으켰으며, 아시아에 민족해방을 쟁취하려는 투쟁을 고조시켰다. 태평천국은 서구열강의 불평등조약 강요를 단호하게 거부하였고, 아편의 유입을 강력히 반대하였으며, 구미열강이 지원하는 군대와 결연히 싸웠다. 이러한 태평천국의 투쟁은 러시아 소설가 곤차로프(I.A. Goncharov)가 지적했다시피 홍콩,싱가폴,인도,영국,미국에 지진과 같은 타격을 주었다. 태평천국운동으로 유럽의 중국에 대한 경제진출이 곤란에 직면하여 유럽은 정치경제적으로 위기에 처하였던 것이다. 또한 태평천국은 일본 지배계급의 위기의식을 조장하여 명치유신의 도래를 촉진하는 사상적 배경을 제공하였고, 일부 태평군전사는 혁명실패후 라틴아메리카로 흘러 들어가 쿠바의 민족독립전쟁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태평천국은 그 자체가 갖고 있던 여러 가지 한계와 국내외적 상황속에서 결국 좌절하고 말았다. 그러나 그 혁명적 이상은 중국혁명가들의 마음 속에 되살아나 역사의 변혁을 추동하였고, 근대세계 여러 나라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추천자료

  • 가격2,7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6.19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0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