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귀인이론의 도입
1) 귀인이론
2) 귀인의 차원
① 원인의 소재(내적귀인ㆍ외적귀인)
② 안정성 차원(안정적ㆍ불안정적)
③ 통제성 차원(통제가능ㆍ통제불가능)
3) 귀인의 목표
2. 대인지각
1) 초두효과와 신근성 효과
① 초두효과
② 신근성 효과
2) 핵심특질과 지엽적 특질
① 핵심특질
② 지엽적 특질
3) 핵심특질과 개인차
4) 다양한 정보의 취합
5) 내현성격 이론
6) 고정관념
7) 현저한 정보의 과다한 영향력
3. 귀인의 기본요소
1) 정확한 대인판단의 기본요소
2) 동기는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Kelly
● Allport
3) 귀인과정의 단계
4.귀인이론의 대표학자 Kelley
1. 귀인이론의 성립요소
2. 귀인의 목표 : 이해와 예측
1) 귀인이론
2) 귀인의 차원
① 원인의 소재(내적귀인ㆍ외적귀인)
② 안정성 차원(안정적ㆍ불안정적)
③ 통제성 차원(통제가능ㆍ통제불가능)
3) 귀인의 목표
2. 대인지각
1) 초두효과와 신근성 효과
① 초두효과
② 신근성 효과
2) 핵심특질과 지엽적 특질
① 핵심특질
② 지엽적 특질
3) 핵심특질과 개인차
4) 다양한 정보의 취합
5) 내현성격 이론
6) 고정관념
7) 현저한 정보의 과다한 영향력
3. 귀인의 기본요소
1) 정확한 대인판단의 기본요소
2) 동기는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Kelly
● Allport
3) 귀인과정의 단계
4.귀인이론의 대표학자 Kelley
1. 귀인이론의 성립요소
2. 귀인의 목표 : 이해와 예측
본문내용
첫째단계 : 행위의 관찰
- 둘째단계 : 의도의 판단
- 셋째단계 : 성향의 귀인
- 세 단계의 연쇄과정
첫째 : 행위의 관찰
① 지각자가 자신의 행위를 관찰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대인행동기술을 습득하거나 교정 하기 위해서는 '타인이 자 신을 본다면' 도움이 될 것임.
② William James는 인간을 '행위하는 나' 와 ' 그 행위를 반성적으로 평가하는 나'로 구분 하여 한사람이 행위자인 동시에 자신의 행동 을 관찰하는 지각자라는 것은 자기 귀 인의 선행조건임을 아는 것.
둘째 : 의도의 판단
① 모든 행동이 귀인 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며 귀인 할 만큼 의미 있는 행동은 의 도가 포함된 것.
② 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원인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상황적 맥락으로부터 그것을 추론할 수가 있어야 함
③ 일상적인 습관적인 행동에는 행위자의 의도가 포 함 될 수 있음.
④ '의도적행동' 이란 행위자의 자유의지를 나타내는 행동으로 특정상황하에서 가능한 여러 행동중 하나를 선택하는 자유의지를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때만 의도적 이 가능 함.
셋째 : 성향의 귀인
① 우리에게는 타인의 현재나 과거의 행동을 설명함으로서 타인이 미래에 할 만한 행동을 어느 정도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서 지각세계를 단순화하려는 욕구가 있음.
② 성향귀인을 할 때에는 어떤 행동을 보다 만족스럽게 설명을 할 수 있고 미래의 행동을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것.
③ 행위의 의도를 확인하기만 해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중요한 점은 행동을 어떻게 해석하건, 현재 행동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행동을 예측하는 기준이 됨.
세단계의 연쇄과정
어떤 이상적인 귀인자가 공원을 산책하던중 담소하고 있는 두 사람을 우련히 만났다. 그들은 이야기를 계속하다가 지각자가 다가갔을때, 갑자기 한 사람이 상대방을 때려 눕히고 도망을 가버렸다. 즉 지각자는 공격행위를 관찰한 것이다. 이 내용에 대한 표를 만들어서 구성해 보았다.
단계 1.
그 행위를 관찰 했는가?
단계 2.
그 행위는 의도 된것인가?
단계 3.
그 행위는 강요 된것인가?
행위자가 타
인을 때렸음
관찰(간접적관찰도 포함)하지 않고서는 원인을 알 수 없음
환경적 요인에 귀인 : 상대방의 도발적 행동 ;짐짓 꾸민행동
개인적 성향으로 귀인함 :행위자의 적의
예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
성향적으로 귀인하지 못함 : 우연한 행동, 반사적 행동, 의도치 않은 결과 등
4.귀인이론의 대표학자 Kelley
- 주제 : 공변원리
사람들이 유사한 사상의 다양한 사례에 접근할 때 어떻게 인과추론을 구성하는가에 대해 설명
예) 가정 : 갑자기 화면이 흐려짐
생각 : 갑자기 왜 흐려졌을까?
행동 : 채널을 돌려 봄(조건을 변화)
결과 : 다른 채널은 화면이 선명 함
귀인 : 기계고장이 아니라 방송망의 혼선
→ 공변모형
예) 일몰 → 해변의 일몰
< 영화 “러브레터” 의 귀인이론 >
1. 귀인이론의 성립요소
지각자 : 후지이 이츠키 (죽은 약혼자)의 약혼녀
와타나베 히로코
귀인 : 연인에 대한 그리움으로, 자신이 전혀 알지
못하고 있는 아츠키에 대한 추억여행
성향 : 약혼녀의 그리움
2. 귀인의 목표 : 이해와 예측
→ 처음 : 연인에 대한 그리움으로 그의 흔적을 찾기 위해
추억 여행을 떠남 . (이해의 측면)
중간 : 연인의 첫사랑에 대한 추억여행. (예측의 측면)
마지막 : 사랑을 떠나보내기, 지나쳐 버린 사랑을 되돌아보기
<참고문헌>
1. 귀인이론 - Kelly G. Shaver 지음 최순영 옮김, 중앙적성출판사
2. 사회심리학의 이해 - 한규석 저, 학지사
3. 인간과 사회 - 전병재 지음, 경문사
- 둘째단계 : 의도의 판단
- 셋째단계 : 성향의 귀인
- 세 단계의 연쇄과정
첫째 : 행위의 관찰
① 지각자가 자신의 행위를 관찰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대인행동기술을 습득하거나 교정 하기 위해서는 '타인이 자 신을 본다면' 도움이 될 것임.
② William James는 인간을 '행위하는 나' 와 ' 그 행위를 반성적으로 평가하는 나'로 구분 하여 한사람이 행위자인 동시에 자신의 행동 을 관찰하는 지각자라는 것은 자기 귀 인의 선행조건임을 아는 것.
둘째 : 의도의 판단
① 모든 행동이 귀인 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며 귀인 할 만큼 의미 있는 행동은 의 도가 포함된 것.
② 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원인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상황적 맥락으로부터 그것을 추론할 수가 있어야 함
③ 일상적인 습관적인 행동에는 행위자의 의도가 포 함 될 수 있음.
④ '의도적행동' 이란 행위자의 자유의지를 나타내는 행동으로 특정상황하에서 가능한 여러 행동중 하나를 선택하는 자유의지를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때만 의도적 이 가능 함.
셋째 : 성향의 귀인
① 우리에게는 타인의 현재나 과거의 행동을 설명함으로서 타인이 미래에 할 만한 행동을 어느 정도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서 지각세계를 단순화하려는 욕구가 있음.
② 성향귀인을 할 때에는 어떤 행동을 보다 만족스럽게 설명을 할 수 있고 미래의 행동을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것.
③ 행위의 의도를 확인하기만 해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중요한 점은 행동을 어떻게 해석하건, 현재 행동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행동을 예측하는 기준이 됨.
세단계의 연쇄과정
어떤 이상적인 귀인자가 공원을 산책하던중 담소하고 있는 두 사람을 우련히 만났다. 그들은 이야기를 계속하다가 지각자가 다가갔을때, 갑자기 한 사람이 상대방을 때려 눕히고 도망을 가버렸다. 즉 지각자는 공격행위를 관찰한 것이다. 이 내용에 대한 표를 만들어서 구성해 보았다.
단계 1.
그 행위를 관찰 했는가?
단계 2.
그 행위는 의도 된것인가?
단계 3.
그 행위는 강요 된것인가?
행위자가 타
인을 때렸음
관찰(간접적관찰도 포함)하지 않고서는 원인을 알 수 없음
환경적 요인에 귀인 : 상대방의 도발적 행동 ;짐짓 꾸민행동
개인적 성향으로 귀인함 :행위자의 적의
예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
성향적으로 귀인하지 못함 : 우연한 행동, 반사적 행동, 의도치 않은 결과 등
4.귀인이론의 대표학자 Kelley
- 주제 : 공변원리
사람들이 유사한 사상의 다양한 사례에 접근할 때 어떻게 인과추론을 구성하는가에 대해 설명
예) 가정 : 갑자기 화면이 흐려짐
생각 : 갑자기 왜 흐려졌을까?
행동 : 채널을 돌려 봄(조건을 변화)
결과 : 다른 채널은 화면이 선명 함
귀인 : 기계고장이 아니라 방송망의 혼선
→ 공변모형
예) 일몰 → 해변의 일몰
< 영화 “러브레터” 의 귀인이론 >
1. 귀인이론의 성립요소
지각자 : 후지이 이츠키 (죽은 약혼자)의 약혼녀
와타나베 히로코
귀인 : 연인에 대한 그리움으로, 자신이 전혀 알지
못하고 있는 아츠키에 대한 추억여행
성향 : 약혼녀의 그리움
2. 귀인의 목표 : 이해와 예측
→ 처음 : 연인에 대한 그리움으로 그의 흔적을 찾기 위해
추억 여행을 떠남 . (이해의 측면)
중간 : 연인의 첫사랑에 대한 추억여행. (예측의 측면)
마지막 : 사랑을 떠나보내기, 지나쳐 버린 사랑을 되돌아보기
<참고문헌>
1. 귀인이론 - Kelly G. Shaver 지음 최순영 옮김, 중앙적성출판사
2. 사회심리학의 이해 - 한규석 저, 학지사
3. 인간과 사회 - 전병재 지음,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