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의 건축 양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복궁의 건축 양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 말
1. 정문 - 광화문
2. 정전 - 근정전
3. 편전 - 사정전
4. 침전 - 강녕전
5. 내전 - 교태전
6. 동궁 - 비현각과 자선당
7. 경회루

Ⅲ. 마치며

본문내용

다음 12간이 조금 낮고, 바깥 20간이 가장 낮다. 이런 구조는 어느 곳에서나 주변 경치를 감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앙 3간은 정당(正堂)으로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3간의 기둥 여덟 개는 팔괘를, 다음 12간은 헌(軒)으로 기둥이 24개인데 24절기를 뜻한다. 이밖에도 기둥 길이나 서까래 수효, 연못의 형상, 아래층 기둥의 모양 등 경회루는 단순한 휴식과 연회의 공간이 아닌 하늘과 땅, 우주의 이치를 담으려 한 철학적 사유의 산물이다.
Ⅲ. 마치며 (느낀점)
조선은 성리학을 이념으로 받드는 유교국가다. 따라서 경복궁의 이름 하나하나, 기둥이며 처마 하나하나에도 성리학의 숨결이 숨쉬고 있다. 유교적 왕도정치를 실현하려는 마음과 애민하는 마음 등이 곳곳에서 느껴진다.
지난 학기에 <한국의 전통미술> 수업을 들으며 경복궁의 건축 양식에 대해 조금 공부했는데 본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자료를 정리해 보니 수업시간에 배웠던 것보다 훨씬 흥미진진한 내용이 경복궁에 숨어 있음을 깨달았다. 비록 내가 공부한 것은 수박 겉핥기에 불과하지만 말이다. 백문불여일견이라는 말이 있듯, 이번 방학 때는 경복궁을 다시 찾아 찬찬히 살펴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더불어 내가 알고 있던 것보다 훨씬 많은 경복궁의 전각들이 일제 강점기에 손실되어, 일본의 알 수 없는 곳에서 서로 다른 모습으로 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루 빨리 소중한 우리 문화재들이 제자리를 찾는 모습을 보고 싶을 따름이다.
<참고자료>
『마음으로 읽는 궁궐 이야기』, 윤돌, 이비락, 2004
『천년 궁궐을 짓는다』, 신응수, 김영사, 200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7.02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5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