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 탐상 실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음파 탐상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고열,고압 등의 설비현장에 투입가능,
나열하자면 이루 다 말할수 없지만, 먼저 이를 구현하기위하여는 신뢰할수 있는 다각도의 기술력이 선행되어야 할것이다. 즉, 초음파 검사 자동화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엔지니어링 기술이 필요하다.
탐상기상에 수신된 초음파 펄스를 컴퓨터에 전송하여 디지털 정보화
( RF Transient Wave를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Conversion Rate: 8 bit ,100~500 Mhz/sec)
디지털화된 펄스의 패턴에 특징을 검출
(Gated Peak Detect, Time Of Flight Detect)
피검물의 자유곡면을 따라 탐촉자의 위치 이동 제어
( 3 Axes Motion Control & Motor Pulse Encoding, Tilting)
피검물의 결함 크기,위치에 따른 시각적 도시 ( Image Processing & 3D Mapping)
특히 \'1)항\'은 C-SCAN 설비구현의 성패에 화두가 되는 것으로써 예를들어, 10MHz의 탐 촉자로 SCAN하여 수신된 파형을 의미있는 데이터로 판독하기위하여는 최소한 100MHz의 A/D 변환이 필요한데, 이는 흔히 쓰는 1.2기가 하드디스크를 단 1분안에 채울수 있는 양입 니다. 또한 STEEL 계열의 피검물에 초음파 전달속도가 5.9 x 1000000 mm/초임을 감안한다면 100MHz A/D란 1 mm내외의 해독능력에 불과함을 알수 있다.
가) Step Block
1
2
3
4
6.3mm /μsec * 7μsec * 0.5 = 22.05mm
6.3mm /μsec * 7μsec * 0.5 = 22.05mm
6.3mm /μsec * 7μsec * 0.5 = 22.05mm
6.3mm /μsec * 7μsec * 0.5 = 22.05mm
5
6
7
8
6.3mm /μsec * 6μsec * 0.5 = 18.9mm
6.3mm /μsec * 6μsec * 0.5 = 18.9mm
6.3mm /μsec * 6μsec * 0.5 = 18.9mm
6.3mm /μsec * 6μsec * 0.5 = 18.9mm
9
10
11
12
6.3mm /μsec * 5μsec * 0.5 = 15.75mm
6.3mm /μsec * 5μsec * 0.5 = 15.75mm
6.3mm /μsec * 5μsec * 0.5 = 15.75mm
6.3mm /μsec * 5μsec * 0.5 = 15.75mm
13
14
15
16
6.3mm /μsec * 4μsec * 0.5 = 12.6mm
6.3mm /μsec * 4μsec * 0.5 = 12.6mm
6.3mm /μsec * 4μsec * 0.5 = 12.6mm
6.3mm /μsec * 4μsec * 0.5 = 12.6mm
17
18
19
20
6.3mm / μsec * 2μsec * 0.5= 6.3mm
6.3mm / μsec * 2μsec * 0.5= 6.3mm
6.3mm / μsec * 2μsec * 0.5= 6.3mm
6.3mm / μsec * 2μsec * 0.5= 6.3mm
시간(μs):시편왕복시간 , 알루미늄 Cl: 6.3μs
(나) Monitor
1
2
3
5*5.3*0.5=13.25mm
4*5.3*0.5=10.6mm
5*5.3*0.5=13.25mm
7
8
9
5*5.3*0.5=13.25mm
4*5.3*0.5=10.6mm
5*5.3*0.5=13.25mm
13
14
15
5*5.3*0.5=13.25mm
4*5.3*0.5=10.6mm
5*5.3*0.5=13.25mm
(재질 : 유리, V = 5.3mm / μsec )
▲ 실험 결과 및 토론
굽힘 실험 보고서 4학년 94511040 장지복
■ 실험목적
재료에 굽힘모멘트가 걸렸을 때의 변현저항 또는 파단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이며 공업적으로는 주철이나 초경합금과 같이 취성이 있는 재료의 굽힘강도를 측정하는 항절실험(Transverse Test)과 재료의 소성가공성 또는 용접부분의 변형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굴곡실험(bend Test)등이 있다.
■ 이 론
환봉 또는 각주를 굽힘 경우 인장 또는 압축력이 실험편 표면에서 최대가 되고 중심부(중심축)에서는 0이 된다. 즉 단면에 응력기울기가 생긴다. 이 때문에 항복 또는 균열은 표면에서 시작되어 중심으로 향한다. 인장시험 또는 압축시험에는 이와 같은 현저한 응력기울기가 없으므로 (하중)/(단면적)으로 진응력을 구할 수 있다.
굽힘실험에서는 실험편이 탄성범위에 있는 한 응력은 중립축에서의 거리에 비례하게 되어 각 위치에 따른 응력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소성영역에 들어가면 응력분포가 복잡하게 되어 변화되어 바른 계산을 행하기 힘들다. 때문에 취성재료의 경우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계산이 어렵게 되고, 탄성론에 의거한 식에 의해서 얻어진 값은 바르지 않으므로 단지 상대적인 참고값으로 이용되는데 지나지 않는다.
(1) 항절시험
재료에 굽힘모멘트가 걸렸을깨 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 또는 파단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래의 그림과 같은 실험도구에 의하여 실험이 행해진다.
가. 왼쪽의 그림과 같이 눌러 굽히는 방법이 있는데 시험편을 2개의 받침에 얹고, 그 중앙부에 누름쇠를 대고 서서히 하중을 가하여 규정의 모양으로 굽히는 방법을 말한다.
앞의 그림과 같이 양 지점간의 하중을 가하고 지점 및 하중을 가하는 점은 마찰 저항을 가능한 작게 하기 위하여 라운드 처리를 하여 사용하였다. 시험편은 환봉 또는 사각장봉을 사용한다. 시험편의 단면적과 지점간의 거리의 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상사법칙이 성립된다. 양 지점간의 중앙에 하중을 가하면 시험편은 휨(deflection)이 생긴다. 이 경우의 하중과 휨의 값에 대하여 선도(diagram)를 그리면 인장, 압축의 경우와 같은 것이 얻어진다.
시험편이 항절시점에 의해서 휨이 발생 될 때에는 위쪽에서는 압축응력, 아래쪽에서는 인장응력이 생긴다. 재료역학에 의하면 중앙하중의 경우 최대압축응력 또는 최대 인장응력은
여기서 : 최대응력 , M: 최대굽힘 모멘트 , Z: 단면계수
또 여기서 P: 시편에 가해지는 하중, ㅣ: 지점간의 거리
따라서 여기서, E:탄성계수 , I: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7.02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6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