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문헌고찰>
1.유래
2.제왕절개의 정의
3.유형
4.적응증
5.장단점
6.수술전 ․ 후 간호
<간호과정>
1.개인력
2. Labor Record
3. Pre op checklist
4. Vital sign
5 .Medication record
6.검사결과
7.신생아 정보
8. 간호진단
Ⅲ.결론
평가
참고 문헌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문헌고찰>
1.유래
2.제왕절개의 정의
3.유형
4.적응증
5.장단점
6.수술전 ․ 후 간호
<간호과정>
1.개인력
2. Labor Record
3. Pre op checklist
4. Vital sign
5 .Medication record
6.검사결과
7.신생아 정보
8. 간호진단
Ⅲ.결론
평가
참고 문헌
본문내용
머리; 정상 호흡: 정상
위장관: 정상
제대 출혈: 무
동.정맥: 정상(2A 1V)
반사: moro-강
sucking-강
crying-강
8. 간호진단
간호 과정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배가 너무 아파요”
-화장실과, 신생아실 가는 것 이외에는 움직이는 것을 보지 못했다.
-V/S 하러 갔을 때 배를 조금만 건드려도 아프다고 말하였다.
-PCA착용 중 이시다.
-통증정도 사정(1~10점) : 6점이라고 하셨다.
-얕고 빠른 호흡을 한다.
간호
진단
#1 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통증
기대
결과
-진통이 감소 됐다고 말로써 표현한다
-v/s이 정상범위에 있다
-산모는 2~3일후에 통증정도가 3점 이하라고 말로 표현할 수 있다.
-일상생활(걷기, 화장실 가기 등)을 불편하지 않게 하실 수 있다.
간호
중재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통증 정도를 사정한다.
2.자궁 퇴축에 따른 산후통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3.수술부위를 복대로 지지해 준다.
4.심호흡, 기침, 체위 변경 등 격려한다.
5.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6.자궁저부 마사지를 시행하고 교육한다.
1.통증이 어느 정도인지를 사정함으로써 산모를 이해할 수 있다.
2.설명을 함으로써 심리적으로 안정에 도움을 주고, 산후통에 대해 이해를 함으로써 인내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3.복대가 상체를 지지하고 근육의 움직임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궁수축을 돕는다.
4.편안한 체위를 취함으로써 통증을 감수 시킬 수 있고,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입으로 뱉음으로써 근육을이완시키고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5.통증을 줄일 수 있고, 진통제를 투여함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키고 차단시킬 수 있다.
6.자궁저부 마사지는 자궁수축을 도와 통증완화에 도움이 된다.
1.통증정도를 1~10점으로 놓았을 때, 몇 점 정도냐고 물었더니 산모는 6점이라고 대답했다.
2.산후통은 보통 분만 후 2일까지 있을 수 있다고 설명을 하고, 곧 이완될 것이라고 설명 하였다.
3.복대는 제공하지 못하였다.(개인적으로 사도록 말씀드렸다.)
4.산모가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 드렸다.
5.PCA를 착용하고 계셨고, 병실에 올라온 날 PCA에 대해서 선생님께서 설명해 주셨다.(통증이 많이 있을 때 누르는데, 5분에 한번씩 가능하며, 많이 들어가면 오심, 구토 어지럼증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6.병실에 올라온 날 선생님께서 해주고, 내가 하루에 2번 5분씩 마사지를 도와 주었다.
간호
평가
-수술한 첫날보다는 둘째 날이 훨씬 통증이 덜하고, 걸어 다니는데도 조금 편해졌다고 하신다. 하지만 아직 통증정도가 3점 이하는 되지 않고, 그래도 첫날 보다 조금 나아 져서 4점이라고 하셨다.
간호 과정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움직이는데 배도 아프고 잘 걷지를 못하겠어요"
-병실에 갈때마다 침대에 누워있는 모습을 볼수 있었다.
-걸어다닐때 천천히 걸어 다녀도 힘들어어 하는 모습을 볼수 있었다.
-화장실, 신생아실 이외에 움직이는 것을 볼수 없었다.
간호
진단
#2.통증과 관련된 기동성 장애
기대
결과
-산모의 통증을 감소 시키고 기동성이 증가된다.
간호
중재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필요시 보조기를 사용하여 운동을 돕는다.
2. 움직일때 천천히 움직이고 보고자가 같이 동행하도록 한다.
3.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 하여 통증 완화를 관찰한다.
4.조기이상의 필요성을 설명하여 실시하도록 돕는다.
3.진통제를 투여함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키고 차단시킬 수 있다.
4.조기이상은 제왕절개로 수술하여 분만한 경우, 모든 수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술 후 빠른 신체회복을 위해, 조속히 가스 배출이 되어야 식사를 하게 되고 더불어 모유수유를 위한 영 양을 공급하기 위해 정상 분만보다 더욱 권장되고 있다
1. 움직일때 폴대를 이용해서 이동하라고 설명하였다.
2. 이동시에는 보호자가 옆에서 지지해 천천히 이동하시라고 설명하였다.
3. PCA를 달고 계심으로써 통증 조절을 하라고 설명하였다.
4. 조기이상의 이점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였다.
간호
평가
1. 산모가 병실을 보호자와 함께 다니는 모습을 볼수 있었다.
2. 조기 이상의 장점을 알고 많이 움직이려고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Ⅲ. 결론
평가
현재 분만 방법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정상분만, 제왕절개, 수중분만, 그네분만 등. 그래도 여전히 정상분만과 제왕절개가 산모들이 출산하는 대부분의 방법이다.
10병동에서 보게 된 케이스들도 역시 정상분만과 제왕절개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그 외에 임산부가 아닌 부인과 질환의 케이스가 주류를 이룬다.
내가 케이스를 잡은 산모는 repeat c/sec 한 산모 분으로 노산이셔서 첫아기와 마찬가지로 제왕절개술을 하게 되었다.내가 분만실에 있을때 수술을 받으시고 병동으로 가니 조리 중이셨다.첫날에는 통증 사정 정도에서 6점(10점 만점)이라고 말씀하시고 거의 잘 움직이시지 않으셨다. 그러나 6일 동안의 입원으로 인해 통증도 많이 줄어드시고 복도를 걷는등 좋은 모습을 보여 주셨다. 신생아실 면회 시간에 보니 아기도 너무 이쁘고 건강해보였고 6일뒤 산모분이 건강하게 퇴원하게 되어 마음으로 뿌듯한 느낌을 받았다.
참고 문헌
최인순, 정은순 (1997). 모성간호학. 수문사, 셋째판.
최연순 외 공저 (1999).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1999). 산부인과학. 군자출판사 제 1판
이명숙 외 10명 공저(1997). 모성간호학 下 현문사
김인순. 정은순(1997). 모성간호학. 수문사 셋째판
여성건강간호 실무실습서/계축문화사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Case Study》
Cesarean section
과목명: 모성간호학
이름 :
학번 :
교수님 :
제출일 :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문헌고찰>
1.유래
2.제왕절개의 정의
3.유형
4.적응증
5.장단점
6.수술전 후 간호
<간호과정>
1.개인력
2. Labor Record
3. Pre op checklist
4. Vital sign
5 .Medication record
6.검사결과
7.신생아 정보
8. 간호진단
Ⅲ.결론
평가
참고 문헌
위장관: 정상
제대 출혈: 무
동.정맥: 정상(2A 1V)
반사: moro-강
sucking-강
crying-강
8. 간호진단
간호 과정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배가 너무 아파요”
-화장실과, 신생아실 가는 것 이외에는 움직이는 것을 보지 못했다.
-V/S 하러 갔을 때 배를 조금만 건드려도 아프다고 말하였다.
-PCA착용 중 이시다.
-통증정도 사정(1~10점) : 6점이라고 하셨다.
-얕고 빠른 호흡을 한다.
간호
진단
#1 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통증
기대
결과
-진통이 감소 됐다고 말로써 표현한다
-v/s이 정상범위에 있다
-산모는 2~3일후에 통증정도가 3점 이하라고 말로 표현할 수 있다.
-일상생활(걷기, 화장실 가기 등)을 불편하지 않게 하실 수 있다.
간호
중재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통증 정도를 사정한다.
2.자궁 퇴축에 따른 산후통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3.수술부위를 복대로 지지해 준다.
4.심호흡, 기침, 체위 변경 등 격려한다.
5.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6.자궁저부 마사지를 시행하고 교육한다.
1.통증이 어느 정도인지를 사정함으로써 산모를 이해할 수 있다.
2.설명을 함으로써 심리적으로 안정에 도움을 주고, 산후통에 대해 이해를 함으로써 인내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3.복대가 상체를 지지하고 근육의 움직임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궁수축을 돕는다.
4.편안한 체위를 취함으로써 통증을 감수 시킬 수 있고,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입으로 뱉음으로써 근육을이완시키고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5.통증을 줄일 수 있고, 진통제를 투여함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키고 차단시킬 수 있다.
6.자궁저부 마사지는 자궁수축을 도와 통증완화에 도움이 된다.
1.통증정도를 1~10점으로 놓았을 때, 몇 점 정도냐고 물었더니 산모는 6점이라고 대답했다.
2.산후통은 보통 분만 후 2일까지 있을 수 있다고 설명을 하고, 곧 이완될 것이라고 설명 하였다.
3.복대는 제공하지 못하였다.(개인적으로 사도록 말씀드렸다.)
4.산모가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 드렸다.
5.PCA를 착용하고 계셨고, 병실에 올라온 날 PCA에 대해서 선생님께서 설명해 주셨다.(통증이 많이 있을 때 누르는데, 5분에 한번씩 가능하며, 많이 들어가면 오심, 구토 어지럼증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6.병실에 올라온 날 선생님께서 해주고, 내가 하루에 2번 5분씩 마사지를 도와 주었다.
간호
평가
-수술한 첫날보다는 둘째 날이 훨씬 통증이 덜하고, 걸어 다니는데도 조금 편해졌다고 하신다. 하지만 아직 통증정도가 3점 이하는 되지 않고, 그래도 첫날 보다 조금 나아 져서 4점이라고 하셨다.
간호 과정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움직이는데 배도 아프고 잘 걷지를 못하겠어요"
-병실에 갈때마다 침대에 누워있는 모습을 볼수 있었다.
-걸어다닐때 천천히 걸어 다녀도 힘들어어 하는 모습을 볼수 있었다.
-화장실, 신생아실 이외에 움직이는 것을 볼수 없었다.
간호
진단
#2.통증과 관련된 기동성 장애
기대
결과
-산모의 통증을 감소 시키고 기동성이 증가된다.
간호
중재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필요시 보조기를 사용하여 운동을 돕는다.
2. 움직일때 천천히 움직이고 보고자가 같이 동행하도록 한다.
3.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 하여 통증 완화를 관찰한다.
4.조기이상의 필요성을 설명하여 실시하도록 돕는다.
3.진통제를 투여함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키고 차단시킬 수 있다.
4.조기이상은 제왕절개로 수술하여 분만한 경우, 모든 수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술 후 빠른 신체회복을 위해, 조속히 가스 배출이 되어야 식사를 하게 되고 더불어 모유수유를 위한 영 양을 공급하기 위해 정상 분만보다 더욱 권장되고 있다
1. 움직일때 폴대를 이용해서 이동하라고 설명하였다.
2. 이동시에는 보호자가 옆에서 지지해 천천히 이동하시라고 설명하였다.
3. PCA를 달고 계심으로써 통증 조절을 하라고 설명하였다.
4. 조기이상의 이점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였다.
간호
평가
1. 산모가 병실을 보호자와 함께 다니는 모습을 볼수 있었다.
2. 조기 이상의 장점을 알고 많이 움직이려고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Ⅲ. 결론
평가
현재 분만 방법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정상분만, 제왕절개, 수중분만, 그네분만 등. 그래도 여전히 정상분만과 제왕절개가 산모들이 출산하는 대부분의 방법이다.
10병동에서 보게 된 케이스들도 역시 정상분만과 제왕절개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그 외에 임산부가 아닌 부인과 질환의 케이스가 주류를 이룬다.
내가 케이스를 잡은 산모는 repeat c/sec 한 산모 분으로 노산이셔서 첫아기와 마찬가지로 제왕절개술을 하게 되었다.내가 분만실에 있을때 수술을 받으시고 병동으로 가니 조리 중이셨다.첫날에는 통증 사정 정도에서 6점(10점 만점)이라고 말씀하시고 거의 잘 움직이시지 않으셨다. 그러나 6일 동안의 입원으로 인해 통증도 많이 줄어드시고 복도를 걷는등 좋은 모습을 보여 주셨다. 신생아실 면회 시간에 보니 아기도 너무 이쁘고 건강해보였고 6일뒤 산모분이 건강하게 퇴원하게 되어 마음으로 뿌듯한 느낌을 받았다.
참고 문헌
최인순, 정은순 (1997). 모성간호학. 수문사, 셋째판.
최연순 외 공저 (1999).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1999). 산부인과학. 군자출판사 제 1판
이명숙 외 10명 공저(1997). 모성간호학 下 현문사
김인순. 정은순(1997). 모성간호학. 수문사 셋째판
여성건강간호 실무실습서/계축문화사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Case Study》
Cesarean section
과목명: 모성간호학
이름 :
학번 :
교수님 :
제출일 :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문헌고찰>
1.유래
2.제왕절개의 정의
3.유형
4.적응증
5.장단점
6.수술전 후 간호
<간호과정>
1.개인력
2. Labor Record
3. Pre op checklist
4. Vital sign
5 .Medication record
6.검사결과
7.신생아 정보
8. 간호진단
Ⅲ.결론
평가
참고 문헌
추천자료
제왕절개산모간호
제왕절개와 관련된 간호진단
제왕절개술 환자의 사정, 간호진단, 목표, 간호중재, 평가
제왕절개 케이스(간호사례)
제왕절개(C/S)케이스,수술실(OR)케이스,모성케이스
[간호학]여성간호학-제왕절개
[모성간호학]자연분만과 회음절개술
골절, 무의식환자 간호, 고위험가족 간호, 실어증, 신장이식환자 간호, 산과중환자 간호, 뇌...
[여성]PROM CASE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조기 양막 파열, 조기파막, 제왕절개)
c-sec (cesarean section) 제왕 절개
산부인과 실습 - C/S 케이스 [제왕절개 case study]
출산과정에서의 아버지 참여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설명하고, 출산의 과정인 제왕절개에 대해...
여성간호 실습 Daily (여성간호실습일지, 여성간호, 분만과정, 재왕절개, 체외수정, uds, 황...
제왕 절개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