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기
2.*동기가 있으니까 행동을 한다
*호메오스타시스
*머슬로우의 동기의 단계
*‘아름다워지고 싶다’는 생각은 ‘승인욕구’의 탓이다.
*욕구불만의 해소
*셀프 핸디캡
*욕구불만의 회피
*못하게 하면 더 하고 싶어진다.
*감정은 목숨을 지키는 무기
*감정은 학습에 의해 몸에 지니게 된다.
2.*동기가 있으니까 행동을 한다
*호메오스타시스
*머슬로우의 동기의 단계
*‘아름다워지고 싶다’는 생각은 ‘승인욕구’의 탓이다.
*욕구불만의 해소
*셀프 핸디캡
*욕구불만의 회피
*못하게 하면 더 하고 싶어진다.
*감정은 목숨을 지키는 무기
*감정은 학습에 의해 몸에 지니게 된다.
본문내용
면에서 노여움이나 기쁨을 나타내는 것은, 성장과정을 통해 감정이 학습을 쌓아 왔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어떤 대상에 대한 감정도 항상 같은 것이 아니라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오늘은 너무도 사랑하는 사람이지만 내일은 세상에서 가장 미운 사람이 될 수도 있는 것처럼 말입니다.
그리고 저는 개인적으로 오이를 먹지 못합니다. 어려서 오이를 먹다가 사리에 걸려서 많이 고생한적이 있는데 그 뒤로는 오이냄새를 아주 싫어합니다. 이런 감정들이 학습에 의해 이루어진 것 같습니다. 또 어려서는 버섯을 싫어했었는데 지금은 아주 좋아합니다. 이렇듯이 감정은 학습과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같습니다.
*슬프니까 우는 것인지, 우니까 슬퍼지는 것인지?
-제임스와랑게는 ‘웃으니까 기쁜 감정이 생기며, 우니까 슬픈 감정이 생긴다’고 생각했다. 우선 눈물이 나오는 신체적인 변화가 나타나면, 그 변화가 뇌에 전달되어 뇌가 ‘슬프다!’라는 감정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캐넌 -버드설은 대뇌 아랫부분에 있는 시상하부에서 감정이 발행한다는 주장이다. 시상하부에서 ‘슬프다’는 감정이 일어나면, 그것을 대뇌가 포착하여 ‘울어라! 울어라!’하고 신체의 해당기관에 명령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위의 두 가지다 맞다고 생각해요. 제 경우에는 그냥 날씨가 꿀꿀하다 거나하면 눈물이 날 때가 있는데 괜히 그러면 슬퍼지거든요. 또 반대로 슬픈 영화를 본다거나 아니면, 이산 가족 상봉 같은걸 보면 일단가슴이 쏴하면서 눈물이 나거든요. 무엇이 먼저 일어나건 간에 중요한 건 어떤 감정과 행동이 긴밀한 연관이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는 개인적으로 오이를 먹지 못합니다. 어려서 오이를 먹다가 사리에 걸려서 많이 고생한적이 있는데 그 뒤로는 오이냄새를 아주 싫어합니다. 이런 감정들이 학습에 의해 이루어진 것 같습니다. 또 어려서는 버섯을 싫어했었는데 지금은 아주 좋아합니다. 이렇듯이 감정은 학습과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같습니다.
*슬프니까 우는 것인지, 우니까 슬퍼지는 것인지?
-제임스와랑게는 ‘웃으니까 기쁜 감정이 생기며, 우니까 슬픈 감정이 생긴다’고 생각했다. 우선 눈물이 나오는 신체적인 변화가 나타나면, 그 변화가 뇌에 전달되어 뇌가 ‘슬프다!’라는 감정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캐넌 -버드설은 대뇌 아랫부분에 있는 시상하부에서 감정이 발행한다는 주장이다. 시상하부에서 ‘슬프다’는 감정이 일어나면, 그것을 대뇌가 포착하여 ‘울어라! 울어라!’하고 신체의 해당기관에 명령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위의 두 가지다 맞다고 생각해요. 제 경우에는 그냥 날씨가 꿀꿀하다 거나하면 눈물이 날 때가 있는데 괜히 그러면 슬퍼지거든요. 또 반대로 슬픈 영화를 본다거나 아니면, 이산 가족 상봉 같은걸 보면 일단가슴이 쏴하면서 눈물이 나거든요. 무엇이 먼저 일어나건 간에 중요한 건 어떤 감정과 행동이 긴밀한 연관이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인 것 같습니다.
추천자료
스키너의 행동주의 심리학
행동주의 심리학
교육심리학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간의 심리와 행동에 대하여
인간 행동의 심리적 이해
아동 심리와 행동분석
이제껏 배운 심리학 이론과 관련된 최근의 사례(뉴스기사)를 찾아, 그 심리학적 이론으로 사...
교육심리학-학습의_ 행동주의적_접근
인간과심리▶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 되는가의 두 관점...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의 원인(생물학적인 요인, 심리 · 사회 · 문화적 요인)과 치료(정신...
자신이 관심 있는 정신병리 또는 이상행동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그 행동의 증상과 원인을 ...
(2017년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 설명한 후 핵...
이상행동의 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