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요리][강원도][경상도][경기도][전라도][황해도][함경도][충청도][평안도]각 지방 대표적 음식(강원도음식, 경상도음식, 경기도음식, 전라도음식, 황해도음식, 함경도음식, 충청도음식, 평안도음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식][요리][강원도][경상도][경기도][전라도][황해도][함경도][충청도][평안도]각 지방 대표적 음식(강원도음식, 경상도음식, 경기도음식, 전라도음식, 황해도음식, 함경도음식, 충청도음식, 평안도음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강원도 지방의 대표적 음식
1. 감자
2. 옥수수
3. 고구마
4. 메밀
5. 더덕
6. 냉이
7. 달래
8. 오징어
9. 황태
10. 멸치
11. 김

Ⅱ. 경상도 지방의 대표적 음식

Ⅲ. 경기도 지방의 대표적 음식

Ⅳ. 전라도 지방의 대표적 음식
1. 홍어어시욱
2. 전주비빔밥
3. 두루치기
4. 부각

Ⅴ. 황해도 지방의 대표적 음식
1. 연안식해
2. 남매죽
3. 김치순두부
4. 행적

Ⅵ. 함경도 지방의 대표적 음식
1. 가자미식해
2. 동태순대
3. 감자국수

Ⅶ. 충청도 지방의 대표적 음식
1. 호박꿀단지
2. 굴냉국
3. 호도장아찌
4. 쇠머리떡

Ⅷ. 평안도 지방의 대표적 음식
1. 어복쟁반
2. 굴만두(굴린만두)
3. 평양냉면
4. 되비지
5. 내포중탕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 특징이다. 부여지방의 주식은 쌀과 보리이며 그 외 호박범벅, 깨죽, 설렁탕, 장국, 냉콩국, 등이 뛰어나다. 부식류로는 장아찌, 송어, 장어, 쏘가리 매운탕, 석화전유어, 굴깍두기, 김치적, 도라지 산적, 시금치김치, 가지김치, 등이 있으며 후식류로는 무엿, 기주떡, 인삼전과, 호박떡, 유자화채 등을 들 수 있다. 저장식품으로는 김치, 젓갈(실치젓, 황새기젓, 어리굴젓, 꽃게젓) 등이 보편화되어 있고 장류에는 간장, 된장, 고추장 외에 집장, 청국장, 지례장 등이 있다.
충청도 음식은 사치스럽지 않고 양념도 많이 쓰지 않는다. 국물을 내는 데는 고기보다 닭, 굴 또는 조개 같은 것을 많이 쓰며, 양념으로는 된장을 많이 사용한다. 경상도 음식처럼 매운 맛도 없고, 전라도 음식처럼 감칠맛도 없으며, 서울 음식처럼 눈으로 보는 재미도 없으나 담백하고 구수하며 소박하다. 충청도 사람들의 인심을 반영하듯 음식의 양이 많은 편이다.
1. 호박꿀단지
호박을 늦가을까지 누렇게 익은 둥글넙적하게 생긴 호박을 맷돌호박 또는 청둥호박이라고 하는데, 이 늙은 호박의 꼭지 부분을 동그랗게 도려내어 그 속에 꿀을 한 홉쯤 넣고 다시 막아 큰 솥에 찐 다음 한김이 나가면 막은 것을 빼고, 속에 고인 물을 따라 마신다. 이것은 특히 산모의 산후 부증을 빼주고 영양을 보충해 준다.
2. 굴냉국
충남 서산의 굴이 많이 나는 지역에서 만드는 음식으로 생굴을 씻어서 파, 마늘, 간장으로 무친 다음 동치미 국물을 붓고 식초, 고춧가루로 간을 하는 냉국이다. 찰밥과 같이 먹으면 소화에도 좋고 시원한 맛이 일품이다.
3. 호도장아찌
천안지방의 명물인 호두를 이용한 음식.
4. 쇠머리떡
찹쌀과 멥쌀을 섞어 가루로 만들어 삶은 검정콩과 팥, 씨를 뺀 대추, 껍질을 벗긴 밤, 말린 감고지나 곶감을 모두 한데 섞어서 시루에 무리떡처럼 찐다. 떡이 식어서 굳었을 때 썰면 모양이 쇠머리 편육과 갈아서 쇠머리떡이라 부른다. 매우 소담스럽고 차진 떡이다.
Ⅷ. 평안도 지방의 대표적 음식
평안도 동쪽은 산이 높고 험하나 서쪽은 서해안과 접하고 있어 해산물이 많이 나고, 평야가 넓어 곡식과 산채가 풍부하다. 이곳은 옛날부터 중국과 교류가 많은 지역으로 성품이 진취적이고 대륙적이다. 따라서 음식도 먹음직스럽게 큼직하고 푸짐하게 만든다. 음식의 크기가 작고 기교가 많이 들어가는 서울음식과 극히 대조적이다. 겨울이 매우 추운 지방이어서 기름진 육류음식을 즐겨 먹으며, 콩과 녹두로 만드는 음식과 메밀로 만든 냉면과 만두국같이 가루로 만든 음식도 많다. 대체로 음식의 간은 싱겁고 맵지 않으며, 또한 모양에 신경 쓰지 않고 소담스럽게 많이 담는 것을 즐긴다.
평안도 지방은 대륙적 기질이 다분히 있는 지역으로 음식도 매우 큼직하고 푸짐하게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평안도 지방은 추운 지방 김치의 특징인, 소금을 적게하고 국물을 많이 하는 전통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이것은 추운 날씨 때문에 김치가 빨리 삭지 않기 때문이다. 평안도 김치는 여러 가지 양념과 고명으로 맛과 모양을 풍성하게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고춧가루를 많이 넣지 않고, 버무린 배, 밤, 대추, 표고버섯, 등을 넣는다. 또한 평안도와 접해있는 서해에는 조기젓, 새우젓이 많이 잡히는데, 이것을 김치에 많이 넣어 소금대신 간을 맞추는 편이다.
국물은 함경도와 다르게 소금물이 아니라 쇠고기를 삶아 식혀서 기름을 걷고 소금간을 삼삼하게 맞추어 만들며, 국물이 시원하게 맛이 들면 냉면 국물로도 사용한다. 평안도의 김치로는 가지김치·동치미·백김치 등이 있고, 쇠고기를 삶아 낸 육수에 소금으로 심심하게 간을 해 담그는 평안도식 무청김치도 있다. 평안도는 가지로 만든 음식이 유명하며, 그 종류도 가지김치, 가지순대, 가지나물 등이 있다. 또한 야채와 돼지비계를 함께 넣은 녹두전도 유명하다.
1. 어복쟁반
커다란 쟁반에 국수와 쇠고기 편육, 삶은 계란, 버섯, 배를 나란히 담고 뜨거운 육수를 부어 끓이면서 여러 사람이 한데 어울려 먹는 일종의 온면이다.
2. 굴만두(굴린만두)
평안도 사람들은 정월에 떡국보다 만두국을 더 많이 끓여 먹는다. 배추김치와 돼기고기, 숙주, 두부 따위를 소로 준비하고 껍질은 밀가루로 반죽하여 둥굴고 얇게 밀어 빚어서 더운 장국에 끓인다. 또 소를 지름 3cm쯤으로 둥글게 빚어 밀가루에 굴렸다가 물에 담그고 다시 건져 밀가루에 굴려서 옷을 입힌 다음 더운 장국에 넣어 만두국을 끓이기도 한다.
3. 평양냉면
냉면은 한국 고유의 음식으로 평양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수는 고원에서 재배한 질좋은 메밀과 감자를 재료로 만들며, 냉면 국물은 꿩을 삶은 육수를 으뜸으로 치지만, 보통 사골이나 쇠고기로 끓인 육수와 동치미 국물을 합하여 만든다. 국수 위에는 편육, 동치미 무 썬것, 오이 생채, 채썰은 배, 삶은 계란을 얹는다.
4. 되비지
불린 콩을 갈아서 돼지갈비와 함께 약한 불에서 서서히 끓인 일종의 찌개로 배추김치나 배추 절인것도 함께 넣는다. 이것은 콩을 되게 갈아서 두유를 빼지 않았다고 하여 되비지라고 한다. 신김치나 김칫국을 넣어야 비지가 잘 엉기고 맛이 더 좋다.
5. 내포중탕
내포란 돼지의 내장으로 허파, 간, 대창을 깨끗이 씻어서 푹 무르게 삶은 다음 김치와 숙주, 파를 넣어 다시 끓인 푸짐하고 구수한 맛이 나는 찌개이다. 웃기로 삶은 은행을 얹는다.
참고문헌
김연식 : 한국사찰음식, 우리출판사, 1997
김상보 : 한국의 음식생활 문화사, 1997
김태정 외 : 음식으로 본 동양문화, 1998, 대한교과서이규태 : 한국인의 밥상문화①, 2000, (주)신원문화사
김아리·정수연 지음 : 음식을 바꾼 문화 세계를 바꾼 음식, 아이세움
문수재외 : 식생활과 문화, 신광출판사
선재 저·김수경 감수 : 229가지 자연의 맛 선재 스님의 사찰 음식, 2000, 디자인하우스
에릭 슐로서 : 패스트푸드의 제국, 2001, 에코 리브르
이효지 : 한국의 음식문화, 1998, 신광출판사
원융희 : 지구촌 음식문화기행, 신광출판사
조선왕조 궁중음식,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한복려·정길자 : 세계의 음식과 문화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7.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