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노빌 사태 및 원자력발전소 현황 및 문제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르노빌 사태 및 원자력발전소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2. 체르노빌사건 원인 및 내용

3. 체르노빌 피해정도

4. 원자력발전소 찬.반

5. 세계의 원자력 발전소

6. 결론

본문내용

7,000kWh에서 870억kWh로 증가하였다. 총발전전력량에서 점하는 원자력의 비율은 50%, 평균 설비이용률은 81.4%를 기록하였다.
· 핀란드 [친핵]
- 올킬루오토 3호기 건설인가 발급
핀란드 정부는 2005년 2월 17일, TVO사의 올킬루오토 3호기(EPR=PWR, Gross 출력 170만kW)의 건설인가를 발급하였다. TVO사는 2004년 1월 8일, 동 호기의 건설인가를 정부에 신청한 바 있다.
· 스웨덴 [반핵]
- 바르세베크 2호기, 2005년말까지 폐쇄
탈 원자력 정책에 따라 스웨덴의 소수여당인 사회민주당은 2004년 10월 4일, 정책상 제휴관계에 있는 좌익당, 야당인 중앙당과 바르세베크 2호기(BWR, 61만 5,000kW)를 2005년에 폐쇄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12월 16일, 이 호기를 2005년 5월 31일에 폐쇄하기로 정식 결정하였다.
· 영국 [반핵]
- 원자력 폐지조치기관 발족
2003년 11월에 정부가 의회에 제출한 원자력 폐지조치기관(NDA) 설립 등을 담은 에너지법안이 2004년 7월 22일 ‘2004 에너지법’이라는 이름으로 성립되었다. NDA는 군사용을 제외하고 지금까지 원자력 개발 프로그램 추진에 따라 발생한 폐기물 처리와 시설 제염, 폐로 등의 책임을 맡은 공적기관으로 2005년 4월에 발족할 예정이다.
·프랑스 [친핵]
- 원자력발전량 역대 최고 기록
프랑스에서는 90만kW급 PWR 34기, 130만kW급 20기, 150만kW급(N4 시리즈) 4기, 그리고 피닉스(FBR 실험로, 25만kW) 등 모두 59기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다.
· 독일 [반핵]
- 독일의 핵발전 중단정책 수립
14일 함부르크 인근의 슈타데 핵 발전소 폐쇄작업 실시
독일 정부는 지난 2002년 사민당과 초록당 연립정권이 모든 원자력 발전소를 폐쇄하고 신축을 금지한 법률을 제정 현재 가동중인 원전 17개도 2021년까지 모두 문을 닫아야한다.
· 스페인 [친핵]
- 호세 카브레라 발전소, 2006년 4월에 폐쇄
2008년까지, 스페인에서 가장 오래된 호세 카브레라 발전소(PWR, 16만kW)의 운전을 정부에 요청했던 거대 전력회사 Fenosa사는 2004년 7월 27일, 이를 취하하였다. 이로써 동 발전소는 2006년 4월 폐쇄가 정식으로 확정되었다
·미국 [친핵]
-원자력발전량 역대 최고 기록
미국원자력에너지협회(NEI)가 2005년 1월에 발표한 속보치에 따르면, 미국의 2004년 원자력발전량은 지난 해(7,640억kWh)보다 2.9% 높은 7,865억kWh로 역대 최고였던 2002년의 기록(7,800억kWh)을 갱신하였다. 또한 총발전전력량에서 점하는 원자력발전의 비율은 약 20%이다. 또한 더 많은 원자력발전소가 최종 승인을 받은 상태이다.
·일본 [친핵]
- 하마오카 5호기, 2005년 1월 상업운전 개시
주부전력의 하마오카 5호기(ABWR, 138만kW)가 2005년 1월 18일 상업운전에 들어갔다. 2002년 1월 30일에 운전을 개시한 도호쿠전력의 오나가와 3호기 이후 3년만에 건설한 신규 발전소이다. 이 호기의 상업운전으로 일본의 상업용 원자력발전소는 모두 53기로 늘어났다.
6. 결 론
조사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 원자력 발전이 무조건적으로 나쁘고 없어져야만 하는 그러한 존재는 아닐 수도 있단 생각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위험한이야기]를 읽고 그걸로 끝내버렸다면 나는 아무런 비판적 의식도 가지지 않은 채 반핵론자 중 한명이 되었을 것이다. 그렇다고 원자력발전을 찬성한다는 것도 아니다. 다만 좀더 넓은 시야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찬성측에서의 무엇이 옳고, 무엇이 비약되었으며 반대로 반대측의 의견은 어떠한지 등을 면밀히 살펴보아야 함을 알 수 있다. 지금도 전 세계는 원자력 발전소에 관해 논쟁이 뜨겁게 달구어 지고 있다. 하지만 찬성과 반대를 막론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원자력발전소 사고는 일어나지 말아야 하며, 방법은 다르지만 궁극적으로 이러한 사고 예방에 힘 써야 할 것이다.
7. 참고문헌 및 자료
위험한 이야기 히로세 다카시(1990)
소련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원인과 교훈 강종권(1988)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과 사람의 실수 , 그리고 인간공학 김중남(1996)
’05. 4. 28 MBC 손석희 시사진단 [체르노빌 사고로 20~30대 갑상선암 증가 ]
일본원자력산업회의
한국원자력문화재단(http://knef.or.kr)
통계청 [한국의 환경 통계 평가 보고서] (1996)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7.12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