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일자
2.공동실험자
3.서론 및 원리
4.시약 및 기구
5.관찰 및 측정결과
6.결론 및 논의
7.참고 문헌
2.공동실험자
3.서론 및 원리
4.시약 및 기구
5.관찰 및 측정결과
6.결론 및 논의
7.참고 문헌
본문내용
할 때 발생하는 용해열의 엔탈피()를 구했고, 다음으로 염산용액과 수산화나트륨용액이 반응할 때 발생하는 중화열의 엔탈피()를 구하였다.
결과치를 보면 =95.17KJ/mol, =37.19KJ/mol, =57.80KJ/mol가 나왔는데 =
+ 가 성립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엔탈피는 상태함수로서 경로에 상관없이 처음상태와 최종상태로 그 값이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기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 했는데 조교님께서도 처음에 말씀하셨지만 측정 불확실도 때문에 정확한 값은 기대할 수 없는 것 같다. 그래도 다른 조에 비해서 오차가 많이 작아서 우리조원이 함께한 실험이 뿌듯하게 느껴졌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서 엔탈피의 개념과 헤스의 법칙에 대해서 배울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되었다.
7.참고 문헌
-http://chem.pknu.ac.kr(화학과 홈페이지-실험자료)
-http://kin.naver.com/chemical/chem.detail.php?d1id=11&dir_id
-http://blog.naver.com/nejukijw?Redirect=Log=5000077877
-http://100.naver.com/100.nhn?docid=74527
결과치를 보면 =95.17KJ/mol, =37.19KJ/mol, =57.80KJ/mol가 나왔는데 =
+ 가 성립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엔탈피는 상태함수로서 경로에 상관없이 처음상태와 최종상태로 그 값이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기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 했는데 조교님께서도 처음에 말씀하셨지만 측정 불확실도 때문에 정확한 값은 기대할 수 없는 것 같다. 그래도 다른 조에 비해서 오차가 많이 작아서 우리조원이 함께한 실험이 뿌듯하게 느껴졌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서 엔탈피의 개념과 헤스의 법칙에 대해서 배울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되었다.
7.참고 문헌
-http://chem.pknu.ac.kr(화학과 홈페이지-실험자료)
-http://kin.naver.com/chemical/chem.detail.php?d1id=11&dir_id
-http://blog.naver.com/nejukijw?Redirect=Log=5000077877
-http://100.naver.com/100.nhn?docid=74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