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의 이용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원핵생물(박테리아)
2. 효모(yeast)
3. 사상균(mold-곰팡이)
4. 식물세포
5. 동물세포

본문내용

술을 개발. 산 누에에 자생하는 백강균(Beauveria bassiana)의 일종인 백강균CS-1 으로 균을 번식시킨 물을 배추에 한차례 뿌려줄경우 5일만에 75%, 2회 살포시에는 90% 이상의 배추좀나방 살충력을 보임.
연구개발 : 농촌진흥청, 고려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3.3.4 진딧물예방
- 곤충병원성 곰팡이 버티실리움(Verticillium)은 진딧물과 온실가루이라는 해충방제 널리 이용되고 있음.
4. 식물세포
4.1 식물조직 배양의 응용
4.1.1 Plant Physiology, Morphology
- 식물의 분화와 물질 생산능, 유리효소의 검출, 효소 활성의 변화, 식물생장 호르몬의 요구도 등을 연구하는데 널리 쓰임.
4.1.2 Micropropagation
- 식물의 원예 및 육종 분야에 있어서 식물조직 배양이 가져온 업적은 가히 놀랄만한데 수많은 원예 작물의 다량 증식. 육종연한 단축은 화훼농업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과히 비싸지 않은 금액으로 서양난을 손쉽게 구할 수 있게 된 것도 식물 조직 배양의 성과라 할 수 있음.
4.1.3 Plant Pathology
- 튤립, 카네이션, 딸기, 마늘 등 쉽게 식물 바이러스에 이환되는 식물의 경우 virus-free 식물 개체를 만드는데 이용되고 있음.
4.1.4 Pharmaceutical Sciences and Plant Biochemistry
- 식물 배양법이 농업이나 원예분야에 이용된 지 상당기간이 지난 후에 배양식물 혹은 배양세포도 역시 그 식물이 생산하는 화합물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계절의 구애를 받지 않고 의약품의 원료를 확보할 수 있다는 면에서 새로운 관심을 끌게 된 분야. 식물조직배양은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하는 식물 세포를 실험실 내에서 배양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biomass를 구할 수 있고, 균질한 세포가 동일한 발달 상태에 있기 때문에 2차 대산의 연구를 위하여 널리 사용. 지금까지의 다양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 상업적 이용은 실현에 제약을 받아옴.
4.1.5 대마
- 대마 분비모에서의 각종 terpenoid는 색소체로부터 합성되고 있다. 특히 대마의 분비세포는 격자 구조를 갖는 특이한 색소체를 지니고 있으며, 이 구조로부터 분비물질 합성이 직접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색소체의 형성과정을 분비모의 발생단계와 연계하여 조사함으로써 미세구조 변화에 따른 분비 기능을 밝힐 수 있다. 대마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식충식물에서의 분비물질로부터 첨단무공해농약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5. 동물세포
- 유전자 제조합을 이용한 인슐린생산.
- 1987년 Genentech에서 TPA(Tissue plasminogen activator)을 이용하여 혈전용해제에 사용했다. 이용되는 예로는 Urokinase, Streptokinase 등이 있다.
- 1989년에 EPO(Erythropoietin)을 이용하여 빈혈치료제를 만들었다. 또 적혈구 성장(조혈)인자로 이용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7.17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4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