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c교 교량 가설에 관하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sc교 교량 가설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용하여 교각위에서 이동하면서 교량을 가설하는 공법이다.
두 개의 Main girder를 교각상에 놓인 지지 Bracket에 거치하고, Main girder 위에 거푸집 을 얹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에 도달하면 PC강재를 이용 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거푸집을 이탈시켜 지지 Bracket 위의 이동 장비에 의해 한다.
이 공법은 독일 STABAG사에서 개발되었으며 1959년 독일의 KETTIGER사에서 HANG 교에 처음 시공된후 공법의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날 각국에서 널리사용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노량 대교 이후 김포 대교, 금강 대교 및 고속 전철 구간에서 시공 완료 및 현재 진행중인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공법이다.
<장점>
① 고도로 기계화된 지보공과 거푸집을 사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또 확실하게 시공할 수 있다.
② 하천이나 도로 등 상부구조 아래의 상태나 지반 조건에 구애됨이 없이 시공할 수 있다.
③ 가설작업이 기계화되어 인력을 줄일 수 있다.
④ 지붕을 설치하면 우천에도 작업이 가능하다.
⑤ 단순 연속 시공하므로 공기단축은 물론 장대교일수록 M.S.S 사용횟수가 많아 경제적이다.
⑥ 교각의 높이가 높을수록 경제적이다.
<단점>
① 이동식 비계의 중량이 무거우므로 초기 제작비가 과다하게 투입된다.
② 경간이 적은 교량이나 교량이 짧은 교량에는 비경제적이다.
③ 변화되는 단면에서는 적용이 곤란하다.
DOUBLE T
MSS BOX 및 TRUSS 반입 PIER BRACKET의 설치 가벤트 설치
MAIN BOX GIRDER 및 OUTTER FORM의 설치 PIER BRACKET 설치
CROSS BEAM의 설치
하부 철근 조립 MSS MAIN BOX 거치 INNER FORM의 설치
MSS FORM 설치 MSS FORM SETTING 상부 CON\'C 타설
하부 철근 조립 상부 슬라브 면고르기 하부 VENT HOSE 설치
강선 인장 하부 1차 강선 삽입 그라우팅
INNER FORM SETTING 상부 철근 조립 M.S.S LAUNCHING 및 SETTING
상부 콘크리트 타설 상부 DECK FINISHER 면고르기 상부 2차 인장
상부 2차 그라우팅 MSS LAUNCHING 전경 MSS 시공 전경
P.S.M (Precast Segment Method)
P.S.M 공법은 일정한 길이로 분할된 상부 부재인 SEGMENT를 제작장에서 제작하여 가설 현장 으로 LIFTING DEVICE 및 LAUNCHING GIRDER 등의 가설 장비를 사용하여 거치한 후 POST- TENSION 방식으로 상부 구조를 완성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SEGMENT를 CROSS BEAM에 의하여 지지되는 LAUNCHING GIRDER위에 거치, 이동 및 배열한 후 LONGITUDINAL PRESTRESSING 작업으로 하나의 SPAN이 완성되며 위의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 교량을 건설한다.
이 방식에 의한 교량 상부 공사는 현장에서의 동바리 및 거푸집 철근 작업을 최소화하므로 주위 환경을 해치는 범위를 축소하고 가설 공기를 단축하여 공사비를 줄이는데 큰 이점이 있다.
PRECAST SEGMENT 방식에 있어 일반적인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
① 하부구조 시공과 병행하여 세그먼트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② 가설용 TRUSS를 이용하여 상부 구조를 시공하기 때문에 교량 하부의 지장물에 구애받지 않는다.
③ 세그먼트는 제작장(casting yard)에서 제작하므로 품질 및 시공 관리가 월등하다.
④ 세그먼트를 제작한 후 가설할 때까지 충분한 양생기간이 있으므로, 건조수축 및 크리프로 인한 가설 후의 변형이 적으며 상부 가설중 양생 기간을 CRITICAL PATH에서 제외할 수가 있다.
<단점>
① 가설용 TRUSS 및 제작장 시설 비용이 과다하게 투입되어 2.5KM 이상의 장대 교량에 적합하다.
② 세그먼트의 제조, 운반, 가설을 위하여 대형장비를 필요로 한다.
③ SEGMENT 생산 및 가설 과정에서 높은 정도의 기하형상 관리가 필요하다.
④ 접합면에 에폭시 작업시 온도가 기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⑤ 접합면에 철근이 연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장 응력에 한계를 갖는다.
SEGMENT 제작장 전경 철근 가공장 전경 ZIG장 철근 조립대
ZIG장 철근 조립대 이동 ZIG장 철근 조립대 운반 INNER FORM 삽입
SEGMENT 콘크리트 타설 INNER FORM 해체 1차 인장
SEGMENT 해체 SEGMENT 운반 SEGMENT 야적
SEGMENT 거치 및 정렬 SEGMENT 에폭시 도포 SEGMENT 임시 강봉 인장
BEARING PAD 무수축 SEGMENT 강선 인장 LAUNCHING TRUSS LOWERING
콘크리트 타설
LAUNCHING TRUSS 이동 INTERANL TENDON 그라우팅 LAUNCHING TRUSS 해체
LAUNCHING TRUSS 해체 PSM 시공 전경(1) PSM 시공 전경(2)
F.S.M (Full Staging Method)
FSM공법(동바리공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간 전체에 동바리를 설치하여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콘크리트의 자중 및 거푸집, 작업대등의 중량을 동바리가 지지하는 방식으로 PSC콘크리트 가설 공법 중 가장 일반적인 공법이다.
최근에는 MSS, ILM, FCM, PSM등에 밀려 그 사용 예가 줄었으나, 사용 장비의 비용이 저렴하고 비교적 간편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지금도 평탄 한 지형에 적당한 높이의 짧은 교량을 가설할 경우에는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BENT 기초 굴착 BENT 기초 콘크리트 타설 BENT 기초 BEAM SETTING
MAIN BEAM 설치(1) MAIN BEAM 설치(2) FSM 동바리 설치
OUTTER FORM의 설치 철근 및 쉬스관의 조립 INNER FORM의 설치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 상부 슬라브 철근 조립 DECK FORM의 설치
및 쉬스관 설치
상부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 강선 설치 그라우팅
  • 가격9,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07.21
  • 저작시기200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4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