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습자 분석
2. 목표 진술
3. 방법, 매체 및 자료 선정
4. 매체와 자료 활용
5. 학습자 참여
6. 평가와 수정
2. 목표 진술
3. 방법, 매체 및 자료 선정
4. 매체와 자료 활용
5. 학습자 참여
6. 평가와 수정
본문내용
하고 적당하게 보일 수 있도록 조정해 둔다.
5. 학습자 참여
가. 일제 학습
흥미 유발 단계에서 별의 일주 사진을 보여주고 ‘이것은 무엇을 찍은 사진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한다. 교사는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도록 하고 흥미유발의 마무리 단계에서 별의 일주사진임을 알려주고 다른 답변을 한 것에 대하여 피드백 해준다. 모둠 학습이 끝나고 난 후 개념 정리 단계와 정리하기 단계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여 발표를 한다.
나. 모둠 활동
일제 학습이 이루어진 후 조별 학습이 이루어진다. 시간별 별자리의 모양 및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모둠별로 컴퓨터를 다루게 되는데, 컴퓨터를 통해 자료를 보고 모둠원 끼리 토론하여 주어진 과제에 대한 활동지를 작성한다. 작성한 활동지를 바탕으로 모둠별 발표를 하며 활동지는 수업이 끝난 후 제출하여 평가에 반영된다.
다. 개별 학습
학습한 내용에서 규칙성을 발견하는 단계에서 ‘별자리 시계’를 작성한다. 작성한 학습지는 starry night pro 5.0를 이용하여 잘 작성하였는지 확인해 본다. 개별 학습지는 수업이 끝난 후 제출하여 평가에 반영된다.
6. 평가와 수정
가. 학습자 성취의 평가
1) 학습자 성취의 사정
본 수업에서 학습자 성취의 사정은 3가지로 이루어진다.
①모둠별 활동지 평가, ② 개별 학습지, ③ 모둠활동 발표
이 3가지를 아래의 기준에 맞추어 동료평가와 교사평가를 병행 한다.
2) 문제 이해 (30점)
시간에 따라 별자리의 위치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해하는가?
왜 북쪽 하늘의 별자리를 관측하는지 이해하였는가?
별자리 시계를 만들 수 있는 원리를 이해하였는가?
2) 모둠 활동&발표 (40점)
모둠에서 이해한 내용과 해석한 내용을 제시하였는가?
해석한 내용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들었는가?
질문에 대한 대답을 원활히 하였는가?
모둠원이 활발히 활동에 참여 하였는가?
3) 문제 적용 (30점)
시간에 따른 별자리의 위치를 예상하고 실제 하늘에서 찾을 수 있는가?
별자리의 위치를 예상하여 별자리 시계를 만들 수 있는가?
천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간대별 별자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가?
나. 방법과 매체의 평가
적당한 방법과 매체가 사용되었는지는 수업이 끝난 후 설문지를 통해서 평가 받는다. 설문지는 익명임을 보장해주고 사실대로 기입할 수 있도록 배려해준다. 설문지에 들어갈 문항은 다음과 같다.
수업 목표를 수행하기에 모둠활동이 효과적이었는가?
모둠 활동은 즐거웠는가?
‘별의 일주사진’은 흥미로웠는가?
'starry night pro 5.0' 프로그램은 별자리를 찾는데 효과적이었는가?
'starry night pro 5.0' 프로그램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별자리의 이동을 관찰하는데 효과적이었는가?
'starry night pro 5.0' 프로그램은 사용하는데 어렵지 않았는가?
프로젝트TV로 제시된 자료는 잘 보였는가?
다. 수정
이상의 학습자 성취의 평가와 방법과 매체의 평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부족한 점을 찾아 수정 보완한다. 그리고 미리 만들어둔 교수법 평가양식에 맞추어 교사 스스로 평가해보고 부족한 점을 보완하도록 한다. 교수법 평가양식에 들어갈 문항은 다음과 같다.
자연스럽고 친근한 말투를 사용하였다.
의도한 내용이 잘 전달되었다.
행동이 자연스럽고 긴장하지 않았다.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가하였다.
제시한 자료가 학습 목표에 적절하였다.
사용한 매체가 수업에 적절하였다.
사용한 매체를 적절히 활용 하였다.
학생의 학습 성취도가 어느 정도인가?
※ Starry Night Pro 5.0 캡쳐 화면
<일반 밤하늘 화면>
<별자리와 그림 표시 화면>
5. 학습자 참여
가. 일제 학습
흥미 유발 단계에서 별의 일주 사진을 보여주고 ‘이것은 무엇을 찍은 사진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한다. 교사는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도록 하고 흥미유발의 마무리 단계에서 별의 일주사진임을 알려주고 다른 답변을 한 것에 대하여 피드백 해준다. 모둠 학습이 끝나고 난 후 개념 정리 단계와 정리하기 단계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여 발표를 한다.
나. 모둠 활동
일제 학습이 이루어진 후 조별 학습이 이루어진다. 시간별 별자리의 모양 및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모둠별로 컴퓨터를 다루게 되는데, 컴퓨터를 통해 자료를 보고 모둠원 끼리 토론하여 주어진 과제에 대한 활동지를 작성한다. 작성한 활동지를 바탕으로 모둠별 발표를 하며 활동지는 수업이 끝난 후 제출하여 평가에 반영된다.
다. 개별 학습
학습한 내용에서 규칙성을 발견하는 단계에서 ‘별자리 시계’를 작성한다. 작성한 학습지는 starry night pro 5.0를 이용하여 잘 작성하였는지 확인해 본다. 개별 학습지는 수업이 끝난 후 제출하여 평가에 반영된다.
6. 평가와 수정
가. 학습자 성취의 평가
1) 학습자 성취의 사정
본 수업에서 학습자 성취의 사정은 3가지로 이루어진다.
①모둠별 활동지 평가, ② 개별 학습지, ③ 모둠활동 발표
이 3가지를 아래의 기준에 맞추어 동료평가와 교사평가를 병행 한다.
2) 문제 이해 (30점)
시간에 따라 별자리의 위치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해하는가?
왜 북쪽 하늘의 별자리를 관측하는지 이해하였는가?
별자리 시계를 만들 수 있는 원리를 이해하였는가?
2) 모둠 활동&발표 (40점)
모둠에서 이해한 내용과 해석한 내용을 제시하였는가?
해석한 내용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들었는가?
질문에 대한 대답을 원활히 하였는가?
모둠원이 활발히 활동에 참여 하였는가?
3) 문제 적용 (30점)
시간에 따른 별자리의 위치를 예상하고 실제 하늘에서 찾을 수 있는가?
별자리의 위치를 예상하여 별자리 시계를 만들 수 있는가?
천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간대별 별자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가?
나. 방법과 매체의 평가
적당한 방법과 매체가 사용되었는지는 수업이 끝난 후 설문지를 통해서 평가 받는다. 설문지는 익명임을 보장해주고 사실대로 기입할 수 있도록 배려해준다. 설문지에 들어갈 문항은 다음과 같다.
수업 목표를 수행하기에 모둠활동이 효과적이었는가?
모둠 활동은 즐거웠는가?
‘별의 일주사진’은 흥미로웠는가?
'starry night pro 5.0' 프로그램은 별자리를 찾는데 효과적이었는가?
'starry night pro 5.0' 프로그램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별자리의 이동을 관찰하는데 효과적이었는가?
'starry night pro 5.0' 프로그램은 사용하는데 어렵지 않았는가?
프로젝트TV로 제시된 자료는 잘 보였는가?
다. 수정
이상의 학습자 성취의 평가와 방법과 매체의 평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부족한 점을 찾아 수정 보완한다. 그리고 미리 만들어둔 교수법 평가양식에 맞추어 교사 스스로 평가해보고 부족한 점을 보완하도록 한다. 교수법 평가양식에 들어갈 문항은 다음과 같다.
자연스럽고 친근한 말투를 사용하였다.
의도한 내용이 잘 전달되었다.
행동이 자연스럽고 긴장하지 않았다.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가하였다.
제시한 자료가 학습 목표에 적절하였다.
사용한 매체가 수업에 적절하였다.
사용한 매체를 적절히 활용 하였다.
학생의 학습 성취도가 어느 정도인가?
※ Starry Night Pro 5.0 캡쳐 화면
<일반 밤하늘 화면>
<별자리와 그림 표시 화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