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T산업의 분류
2. IT산업의 특징
3. IT산업에 대한 전망
4. 국내 IT산업의 4가지 주요 이슈
5. 몇 가지 알아두어야 할 기술용어
2. IT산업의 특징
3. IT산업에 대한 전망
4. 국내 IT산업의 4가지 주요 이슈
5. 몇 가지 알아두어야 할 기술용어
본문내용
로젝션 등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각 제품은 시장 선점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
- LCD
현재 40인치대 제품이 나오고 있으며 초기에는 PC 모니터가 주종이었으나 화면이 대형화되면서 디지털TV시장에서 주력제품으로 부상하면서 PDP와 경합중임
- PDP
가격이 LCD보다 저렴한 점이 가장 큰 장점이며 현재 70인치 대의 초대형제품이 개발되어 있어 대형화면 부문에서 경쟁력이 있음
- 프로젝션
PDP, LCD에 비해 가격이 저렴함
화질이 상대적으로 낮고 두꺼워 당초에는 시장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신기술의 발전으로 화질 및 부피 면에서 개선이 이루어져 가격경쟁력을 기반으로 매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음
○ 디지털TV 시장에서 어느 사이즈의 제품이 주력제품으로 부각하게 되는가에 따라 관련업계의 부침이 극명하게 나뉠 것으로 보임
- 제품 표준화 경쟁은 특히 삼성전자와 LG필립스LCD 간에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음
중국산 가전 제품 위협의 본격화
- 거대 시장과 글로벌 생산 기지로서의 중국이 기회라면, 강력한 경쟁 상대로 부상해 국내 기업을 압박해 오는 수퍼 파워로서의 중국은 위협이라고 할 수 있음
- (위협1) 이미 중국 제품들은 가전분야의 많은 품목에서 국산 제품들을 제치고 해외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예) 품목별로 미국 수입시장 시장점유율을 보면, 중국산이 국산 제품에 비해 TV의 경우 2.6배, 냉장고 2.8배, 진공청소기의 경우 4.9배 높음
- (위협2) 중국제품들은 전통적인 저가형 가전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있음
(예) DVD 플레이어의 경우 중국 제품이 이미 미국 시장의 40% 안팎을 점유하고 있으며, 29인치 이상의 완전평면 TV 등 고급형 디지털 가전에서도 중국 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이 급속히 증가
- (기회1) 중국 가전기업들의 생산 확대에 따라 관련 부품시장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경우 국내 기업들은 새로운 기회를 향유할 가능성이 있음
- (기회2) 중국 가전기업 또는 중국산 제품의 위협은 국내 가전산업 구조의 변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됨. 즉 중소형 TV와 같은 단순조립 가전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거나, 중국으로 생산 설비를 이전시키는 등 적극적인 생산 구조조정을 하면서 상대적으로 기술적 우위에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채용 디지털 TV, 홈씨어터형 DVD 플레이어, 투도어 냉장고 등 고급 제품 위주로의 제품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서두를 것으로 보임
성장의 전기를 마련하는 포스트 PC
- 현재 PC 산업에 있어서 최대 이슈는 PC 시장이 지난 2년간의 불황을 극복할 것인가 하는 것과 한걸음 더 나아가 불황 타개의 탈출구로 제시된 신개념 PC 및 포스트 PC가 뿌리를 내릴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임
- 1999년과 2000년, 국내 PC 시장에서는 Y2K 특수, 인터넷PC 열풍에 힘입어 총 530여만대 이상의 PC가 판매되었는데, 통상적으로 PC 교체주기가 3~4년임을 감안할 때, PC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경제회복이 관건임
- 특히 신개념 PC(미디어센터 PC, 슬림PC, 태블릿PC) 및 포스트 PC(무선 PDA, 씬 클라이언트, 스마트 디스플레이, 무선 멀티미디어 어댑터)의 선전 여부는 성장세 가속을 결정지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임
5. 몇 가지 알아두어야 할 기술용어
※ 신개념PC와 포스트PC : 신개념PC가 운영체제(OS)중앙연산장치(CPU)부품 등에서 표준화된 PC 제품구조를 따른다면, 포스트PC는 개별 제품별로 독자적인 구조를 가짐. 또 신개념PC가 범용성을 바탕으로 특정기능의 고도화를 추구한다면, 포스트PC는 특정기능을 중심으로 관련기능의 흡수를 추구함
※ Tablet PC : 노트북을 대체할 차세대 PC라 불리우며 A4용지 크기에 10.4인치 LCD 모니터를 장착한 휴대용 PC로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전자펜으로 글을 쓰듯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이 특징
※ Thin Client : CD-ROM 드라이브, 디스켓 드라이브 및 확장 슬롯 등이 없이 오직 필수적인 장치들로서 구성되어,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업무용 PC로서 넷PC 또는 네트웍 컴퓨터(NC) 등과 비슷한 용어
※ Smart Display : 가정이나 회사 등 실내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PC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거나 초고속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차세대 디지털 기기로 초고속 통신망에 연결된 PC와 무선으로 연결해 인터넷 접속, 온라인 쇼핑, E-메일 송수신, 문서 작성 등 PC와 같은 기능을 발휘
- LCD
현재 40인치대 제품이 나오고 있으며 초기에는 PC 모니터가 주종이었으나 화면이 대형화되면서 디지털TV시장에서 주력제품으로 부상하면서 PDP와 경합중임
- PDP
가격이 LCD보다 저렴한 점이 가장 큰 장점이며 현재 70인치 대의 초대형제품이 개발되어 있어 대형화면 부문에서 경쟁력이 있음
- 프로젝션
PDP, LCD에 비해 가격이 저렴함
화질이 상대적으로 낮고 두꺼워 당초에는 시장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신기술의 발전으로 화질 및 부피 면에서 개선이 이루어져 가격경쟁력을 기반으로 매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음
○ 디지털TV 시장에서 어느 사이즈의 제품이 주력제품으로 부각하게 되는가에 따라 관련업계의 부침이 극명하게 나뉠 것으로 보임
- 제품 표준화 경쟁은 특히 삼성전자와 LG필립스LCD 간에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음
중국산 가전 제품 위협의 본격화
- 거대 시장과 글로벌 생산 기지로서의 중국이 기회라면, 강력한 경쟁 상대로 부상해 국내 기업을 압박해 오는 수퍼 파워로서의 중국은 위협이라고 할 수 있음
- (위협1) 이미 중국 제품들은 가전분야의 많은 품목에서 국산 제품들을 제치고 해외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예) 품목별로 미국 수입시장 시장점유율을 보면, 중국산이 국산 제품에 비해 TV의 경우 2.6배, 냉장고 2.8배, 진공청소기의 경우 4.9배 높음
- (위협2) 중국제품들은 전통적인 저가형 가전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있음
(예) DVD 플레이어의 경우 중국 제품이 이미 미국 시장의 40% 안팎을 점유하고 있으며, 29인치 이상의 완전평면 TV 등 고급형 디지털 가전에서도 중국 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이 급속히 증가
- (기회1) 중국 가전기업들의 생산 확대에 따라 관련 부품시장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경우 국내 기업들은 새로운 기회를 향유할 가능성이 있음
- (기회2) 중국 가전기업 또는 중국산 제품의 위협은 국내 가전산업 구조의 변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됨. 즉 중소형 TV와 같은 단순조립 가전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거나, 중국으로 생산 설비를 이전시키는 등 적극적인 생산 구조조정을 하면서 상대적으로 기술적 우위에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채용 디지털 TV, 홈씨어터형 DVD 플레이어, 투도어 냉장고 등 고급 제품 위주로의 제품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서두를 것으로 보임
성장의 전기를 마련하는 포스트 PC
- 현재 PC 산업에 있어서 최대 이슈는 PC 시장이 지난 2년간의 불황을 극복할 것인가 하는 것과 한걸음 더 나아가 불황 타개의 탈출구로 제시된 신개념 PC 및 포스트 PC가 뿌리를 내릴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임
- 1999년과 2000년, 국내 PC 시장에서는 Y2K 특수, 인터넷PC 열풍에 힘입어 총 530여만대 이상의 PC가 판매되었는데, 통상적으로 PC 교체주기가 3~4년임을 감안할 때, PC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경제회복이 관건임
- 특히 신개념 PC(미디어센터 PC, 슬림PC, 태블릿PC) 및 포스트 PC(무선 PDA, 씬 클라이언트, 스마트 디스플레이, 무선 멀티미디어 어댑터)의 선전 여부는 성장세 가속을 결정지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임
5. 몇 가지 알아두어야 할 기술용어
※ 신개념PC와 포스트PC : 신개념PC가 운영체제(OS)중앙연산장치(CPU)부품 등에서 표준화된 PC 제품구조를 따른다면, 포스트PC는 개별 제품별로 독자적인 구조를 가짐. 또 신개념PC가 범용성을 바탕으로 특정기능의 고도화를 추구한다면, 포스트PC는 특정기능을 중심으로 관련기능의 흡수를 추구함
※ Tablet PC : 노트북을 대체할 차세대 PC라 불리우며 A4용지 크기에 10.4인치 LCD 모니터를 장착한 휴대용 PC로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전자펜으로 글을 쓰듯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이 특징
※ Thin Client : CD-ROM 드라이브, 디스켓 드라이브 및 확장 슬롯 등이 없이 오직 필수적인 장치들로서 구성되어,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업무용 PC로서 넷PC 또는 네트웍 컴퓨터(NC) 등과 비슷한 용어
※ Smart Display : 가정이나 회사 등 실내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PC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거나 초고속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차세대 디지털 기기로 초고속 통신망에 연결된 PC와 무선으로 연결해 인터넷 접속, 온라인 쇼핑, E-메일 송수신, 문서 작성 등 PC와 같은 기능을 발휘
추천자료
실리콘벨리와 it 산업의 전망
[북한산업] 북한의 IT 산업 연구
IT 산업의 현재와 미래
IT가 기업조직과 기업성과에 미친 영향&산업별 IT활용과 노동생산성
IT서비스 산업 동향 분석
IT 산업의 창업지원제도
IT 산업의 발전이 경제구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IT 산업에 관한 조사
중국의 IT 산업 현황
호텔 산업에서의 IT발전
IT 산업의 세계 현황
[기술인력, 산업기술인력, 과학기술인력]기술인력과 산업기술인력, 기술인력과 과학기술인력,...
[미국, 산업기술]미국의 산업기술, 미국의 정보기술(IT), 과학기술, 미국의 신공정기술, 웹기...
[도시개발 계획] CITY 이론을 적용한 청주생태산업단지 조성방안, 도시 개발 계획, 도시 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