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작가 연구
1. 작품 활동
2. 이근삼의 생애
3. 작가적 특성
4. 이근삼 작품의 내용과 형식적 측면의 종합적 고찰
5. 최근 활동
6. 이근삼의 작품세계
Ⅱ-작품연구 -《 국물 있사옵니다 》
1. 배경
2. 줄거리 & 주제
3. 등장인물 & 성격
4. 작품 속 언어
5. 작품의 구조
6. 작품의 특성
1. 작품 활동
2. 이근삼의 생애
3. 작가적 특성
4. 이근삼 작품의 내용과 형식적 측면의 종합적 고찰
5. 최근 활동
6. 이근삼의 작품세계
Ⅱ-작품연구 -《 국물 있사옵니다 》
1. 배경
2. 줄거리 & 주제
3. 등장인물 & 성격
4. 작품 속 언어
5. 작품의 구조
6. 작품의 특성
본문내용
언어인 ‘새로운 상식’을 나타냄.
상범 역시 기존 상식을 버리고 새로운 상식을 따르면서 출세하게 됨.
◆엽총
자본주의 경제 논리를 상징.
대상을 야만적으로 포획해야만 하는 남근(男根)적 공격성을 상징하기도 함.
◆사냥
근대의 야만성을 내표하는 것. 물신주의의 어두운 그늘을 상징.
◆적자생존의 법칙
물질만능 사회 속에는 인간이 존재하지 않고 물신만이 존재함을 보여줌.
근대화란 교환가치에 의해 진정한 인간성이 소멸, 건강한 상식이 전도되는 것임을 말함
5.작품의 구조
(1) 갈등 양상
주인공의 의지를 방해하는 장애물에는 대표적으로 탱크를 들 수 있다. 갈등이 가장 고조되는 부분은 바로 탱크와 상범과의 갈등 부분인 것 같다. 또 표면적으로 주인공의 의지와 충돌하지 않지만 주인공이 자신의 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넘어서는 장애물들이 많이 있다.
먼저 상범은 술을 마시고 사고를 친 유봉일이 해고되면서 일반사원으로 승격한다. 이것이 상범이 겪게 되는 갈등의 시작 계기가 된다. 이 후에 경리과장 배영민의 행실을 사장에게 고자질한 대가로 경리과장의 자리를 차지하고 또 탱크의 꾀에 넘어 갈 뻔 하는 위기를 기회로 삼아 회사의 돈을 훔쳐 달아나던 강도를 잡은 영웅으로 상무로 승진하고 사장의 신임도 얻고, 매스컴을 타면서 세상의 영웅이 된다. 그리고 사장의 며느리인 아미와의 결혼도 승낙 받는다. 아미는 박전무와 내연의 관계를 상범에게 들켰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결혼하게 된다. 사장의 죽은 아들의 부인이었던 아미와 결혼하면서 그 아들의 재산을 상범이 차지하게 된다. 이렇게 다양한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를 통해 여러 가지 갈등을 넘어서면서 주인공의 의지는 현실로 완성되어져 간다. 즉 새 상식으로 생활하면서 자신이 원하던 돈, 권력, 여자 이 모든 것을 얻는다.
(2)플롯의 원칙
①통일성: ◆통일된 맥락 유지.
◆순진하고 어리숙한 상범 →불만이 극에 치달은 상범→부정을 행하며 승진가 도를 달리는 상범→원하는 것은 다 얻었으나 뭔가 허전한 상범
②전체성(완결성): 순진하던 상범이 악랄해 지면서 부와 권력 여자를 얻었지만 여전히 허전함을 느낀다는 완결성을 가진 내용.
③연속성
④인과성: 원인 - 순진한 상범 이었을 때 손해만 봄
↓
결과 - 새 상식을 추구하는 악독한 상범으로 변모
(3)플롯의 조건: 시공간적 제약, 개연성, 시대사회적 관습
(4)국물 있사옵니다’의 구성(5단계 구성)
<제시>발단부: 주인공 이자 해설자인 상범이 무대와 인물 등을 설명
↓
<분규>상승부: 상범이 기존 상실에서 새 상식으로 눈을 뜨기 시작하는 단계
↓
위기부, 전환점: 소희와 탱크의 계략에 맞선 상범, 세 사람 사이의 갈등이 보이는 부 ↓ 분.
하강부: 아미와 결혼을 하면서 자신이 얻고자 했던 모든 것을 얻으면서 끝없는 출세 ↓ 길을 봄.
<해결>파국: 신혼여행에서 아미의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상범
6.작품의 특성
서사극의 소외효과
<국물있사옵니다>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서사극 기법은 해설자의 등장이다. 연극의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등장하는 해설자역은 연극의 진행을 설명하면서 과거현재를 왔다 갔다 하며, 또 상범이라는 극중인물의 역할(一人多役)도 맡아 하는 것이다. 해설역과 상범역을 동시에 함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극에 몰입하는 것을 막는다. 해설자는 등장인물에 대해 우월한 위치에 있으면서 사건 전반에 관한 개관을 하고 극을 이끌어 간다. 이를 통해 무대 위의 사건에 직접 말려들지 않는 관객은 이에 대해서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무대 위에서 표현하기 힘들거나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해설자의 설명으로 대치할 수도 있다. 해설자의 설명과 동시적으로 무대
위에서 행동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리얼리즘 양식의 연극의 시간과 개념이 무너지게 된다. 상범은 관객을 향한 대사를 많이 한다.
상범 : (관객에게) 죽은 관리인 영감은 아마 저한테 맡긴 돈 5만원의 사용처에 대해 만족을 느끼고 있을 겁니다. 저의 동생 상출은 아직도 새 상식을 이해 못하고 있읍니다. 때가 오면 그 필요성을 느 끼게 될 줄로 믿습니다.
어쨌든 얼마 있다가 아버지의 환갑도 무사히 보냈고 곧 이어서 형님의 결혼식도 끝냈읍니다. 저의 아내가 되었을 지도 모를 박용자씨는 ‘아파트의 열쇠’라는 영화 때문에 인제는 저의 형수가 됐 읍니다.
어느 날 회사의 일을 끝내고 아파트에 돌아 왔더니 괴상한 사건이 저를 기다리고 있었읍니다.
(상범이 자기방으로 들어가려고 하자 무대 우측에서 현소희가 나온다) ……안녕하셨어요?
서사극의 인물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행동하는 모순성(급조되는 행동)을 갖는 것이 특징인데 김상범은 이 특징과 일치한다. 그래서 상범의 행동변화를 통해 모순된 사회를 반증하는 것이고 관객은 상범의 행동변화를 통해 모순된 사회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을 매개하는 과정이 바로 소외효과이다. 이 소외효과는 관객들로 하여금 연극에 몰입하는 것을 차단 즉 감정이입을 차단함으로써 실제의 사건진행이 아닌 연극을 보고 있음을 자각케 하며 연극을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비판의식을 낳게 한다. 이 의식이 사회전체로 확대되어 나감으로써 서사극의 목적은 달성되는 것이다. 소외효과를 위해서 여러 가지 기법들이 사용된다.
이 작품의 실험적 특성
이 작품은 다양한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우선 무대 장치에서 상상적인 무대를 설정하고 있는데, 즉 사건 진행 과정에 따라 완성되어 가는 서사극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김상범과 해설자를 1인 2역으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관객들이 사건 자체에 감정이 이입된 상태로 몰입하지 않고 이성적이고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연극을 보며 사회 현실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게 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주인공 김상범을 원래의 성격에 의해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사회 환경을 반영하는) 인물상으로 설정하여, 관객들이 연극을 통해 사회의 현실을 인식할 수 있게 한 것도 서사극으로서의 실험적 방식이다. 이 외에도 극적 아이러니의 방법을 사용하여 인물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당시에 유행하던 비속어를 차용하고 있다는 점 등도 서사극의 특성을 반영한 실험적 방법에 해당한다.
상범 역시 기존 상식을 버리고 새로운 상식을 따르면서 출세하게 됨.
◆엽총
자본주의 경제 논리를 상징.
대상을 야만적으로 포획해야만 하는 남근(男根)적 공격성을 상징하기도 함.
◆사냥
근대의 야만성을 내표하는 것. 물신주의의 어두운 그늘을 상징.
◆적자생존의 법칙
물질만능 사회 속에는 인간이 존재하지 않고 물신만이 존재함을 보여줌.
근대화란 교환가치에 의해 진정한 인간성이 소멸, 건강한 상식이 전도되는 것임을 말함
5.작품의 구조
(1) 갈등 양상
주인공의 의지를 방해하는 장애물에는 대표적으로 탱크를 들 수 있다. 갈등이 가장 고조되는 부분은 바로 탱크와 상범과의 갈등 부분인 것 같다. 또 표면적으로 주인공의 의지와 충돌하지 않지만 주인공이 자신의 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넘어서는 장애물들이 많이 있다.
먼저 상범은 술을 마시고 사고를 친 유봉일이 해고되면서 일반사원으로 승격한다. 이것이 상범이 겪게 되는 갈등의 시작 계기가 된다. 이 후에 경리과장 배영민의 행실을 사장에게 고자질한 대가로 경리과장의 자리를 차지하고 또 탱크의 꾀에 넘어 갈 뻔 하는 위기를 기회로 삼아 회사의 돈을 훔쳐 달아나던 강도를 잡은 영웅으로 상무로 승진하고 사장의 신임도 얻고, 매스컴을 타면서 세상의 영웅이 된다. 그리고 사장의 며느리인 아미와의 결혼도 승낙 받는다. 아미는 박전무와 내연의 관계를 상범에게 들켰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결혼하게 된다. 사장의 죽은 아들의 부인이었던 아미와 결혼하면서 그 아들의 재산을 상범이 차지하게 된다. 이렇게 다양한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를 통해 여러 가지 갈등을 넘어서면서 주인공의 의지는 현실로 완성되어져 간다. 즉 새 상식으로 생활하면서 자신이 원하던 돈, 권력, 여자 이 모든 것을 얻는다.
(2)플롯의 원칙
①통일성: ◆통일된 맥락 유지.
◆순진하고 어리숙한 상범 →불만이 극에 치달은 상범→부정을 행하며 승진가 도를 달리는 상범→원하는 것은 다 얻었으나 뭔가 허전한 상범
②전체성(완결성): 순진하던 상범이 악랄해 지면서 부와 권력 여자를 얻었지만 여전히 허전함을 느낀다는 완결성을 가진 내용.
③연속성
④인과성: 원인 - 순진한 상범 이었을 때 손해만 봄
↓
결과 - 새 상식을 추구하는 악독한 상범으로 변모
(3)플롯의 조건: 시공간적 제약, 개연성, 시대사회적 관습
(4)국물 있사옵니다’의 구성(5단계 구성)
<제시>발단부: 주인공 이자 해설자인 상범이 무대와 인물 등을 설명
↓
<분규>상승부: 상범이 기존 상실에서 새 상식으로 눈을 뜨기 시작하는 단계
↓
위기부, 전환점: 소희와 탱크의 계략에 맞선 상범, 세 사람 사이의 갈등이 보이는 부 ↓ 분.
하강부: 아미와 결혼을 하면서 자신이 얻고자 했던 모든 것을 얻으면서 끝없는 출세 ↓ 길을 봄.
<해결>파국: 신혼여행에서 아미의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상범
6.작품의 특성
서사극의 소외효과
<국물있사옵니다>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서사극 기법은 해설자의 등장이다. 연극의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등장하는 해설자역은 연극의 진행을 설명하면서 과거현재를 왔다 갔다 하며, 또 상범이라는 극중인물의 역할(一人多役)도 맡아 하는 것이다. 해설역과 상범역을 동시에 함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극에 몰입하는 것을 막는다. 해설자는 등장인물에 대해 우월한 위치에 있으면서 사건 전반에 관한 개관을 하고 극을 이끌어 간다. 이를 통해 무대 위의 사건에 직접 말려들지 않는 관객은 이에 대해서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무대 위에서 표현하기 힘들거나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해설자의 설명으로 대치할 수도 있다. 해설자의 설명과 동시적으로 무대
위에서 행동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리얼리즘 양식의 연극의 시간과 개념이 무너지게 된다. 상범은 관객을 향한 대사를 많이 한다.
상범 : (관객에게) 죽은 관리인 영감은 아마 저한테 맡긴 돈 5만원의 사용처에 대해 만족을 느끼고 있을 겁니다. 저의 동생 상출은 아직도 새 상식을 이해 못하고 있읍니다. 때가 오면 그 필요성을 느 끼게 될 줄로 믿습니다.
어쨌든 얼마 있다가 아버지의 환갑도 무사히 보냈고 곧 이어서 형님의 결혼식도 끝냈읍니다. 저의 아내가 되었을 지도 모를 박용자씨는 ‘아파트의 열쇠’라는 영화 때문에 인제는 저의 형수가 됐 읍니다.
어느 날 회사의 일을 끝내고 아파트에 돌아 왔더니 괴상한 사건이 저를 기다리고 있었읍니다.
(상범이 자기방으로 들어가려고 하자 무대 우측에서 현소희가 나온다) ……안녕하셨어요?
서사극의 인물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행동하는 모순성(급조되는 행동)을 갖는 것이 특징인데 김상범은 이 특징과 일치한다. 그래서 상범의 행동변화를 통해 모순된 사회를 반증하는 것이고 관객은 상범의 행동변화를 통해 모순된 사회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을 매개하는 과정이 바로 소외효과이다. 이 소외효과는 관객들로 하여금 연극에 몰입하는 것을 차단 즉 감정이입을 차단함으로써 실제의 사건진행이 아닌 연극을 보고 있음을 자각케 하며 연극을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비판의식을 낳게 한다. 이 의식이 사회전체로 확대되어 나감으로써 서사극의 목적은 달성되는 것이다. 소외효과를 위해서 여러 가지 기법들이 사용된다.
이 작품의 실험적 특성
이 작품은 다양한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우선 무대 장치에서 상상적인 무대를 설정하고 있는데, 즉 사건 진행 과정에 따라 완성되어 가는 서사극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김상범과 해설자를 1인 2역으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관객들이 사건 자체에 감정이 이입된 상태로 몰입하지 않고 이성적이고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연극을 보며 사회 현실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게 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주인공 김상범을 원래의 성격에 의해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사회 환경을 반영하는) 인물상으로 설정하여, 관객들이 연극을 통해 사회의 현실을 인식할 수 있게 한 것도 서사극으로서의 실험적 방식이다. 이 외에도 극적 아이러니의 방법을 사용하여 인물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당시에 유행하던 비속어를 차용하고 있다는 점 등도 서사극의 특성을 반영한 실험적 방법에 해당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