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세시풍속의 의의
3.세시풍속의 성격
4.월별로 보는 세시풍속
5.세시풍속의 이미지
2.세시풍속의 의의
3.세시풍속의 성격
4.월별로 보는 세시풍속
5.세시풍속의 이미지
본문내용
조상들에게 올리는 의례를 말해요. 10월이 열두 달 가운데 으뜸 가는 달이라는 뜻으로 ‘상달’이라고 하는 거예요. 상달고사를 지낼 때에는 멥쌀에 팥고물을 얹어 시루떡을 찌는데, 팥의 붉은빛이 귀신을 쫓는다고 믿었기 때문이지요.
11월과 12월의 세시 풍속
동지는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으로, 1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에요. 그러나 이 날을 기준으로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므로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라고 봅니다. 그래서 동지를 ‘작은 설’이라고도 부르지요. 동짓날에는 귀신을 쫓으려고 팥죽을 쑤어 먹습니다.
섣달그믐은 음력 12월 마지막 날로, ‘제석’ 또는 ‘제야’라고도 합니다. 한 해를 마감하는 마지막 밤이라는 뜻이에요. 이 날 저녁에는 사당에 절을 올리고 설날 세배를 하듯 어른들에게 절을 하는데, 이를 ‘묵은세배’라고 합니다. 또 이 날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센다고 해서 집 안 구석구석 불을 밝혀 놓고 온 가족이 둘러 앉아 재미있는 이야기나 놀이를 하며 밤을 새웠답니다.
<제철음식>
▶정초 : 떡국, 밤초, 대추초.
▶대보름 : 약밥, 부름
▶2월 초하룻날 : 송편,
▶3월 3일 : 두견화전, 국수, 쑥떡
▶한식 : 조개탕, 애탕(艾湯)
▶봄철 : 수란(水卵), 산자, 시루떡
▶4월 8일 : 느티떡, 삶은 콩, 도미, 국수
▶이른 여름 : 증편, 개피떡, 장미화전, 어채(魚菜), 어만두(魚饅頭), 영계찜, 미나리 강회
▶단오 : 수리치떡, 준치국
▶유두 : 밀국수, 수단(水團), 건단(乾團), 상화(霜花)떡, 연병(連餠), 수교위
▶삼복 : 복죽, 개장, 영계백숙
▶여름 : 창면, 수제비, 밀쌈
▶추석 : 송편, 토란국
▶가을 : 무시루떡, 호박시루떡, 동부인절미, 밤경단
▶9월 9일 : 국화전, 화채
▶10월 : 붉은 팥떡
▶겨울 : 전골, 만두, 신선로, 연포국, 쑥경단, 꿀경단, 강정
▶동지 : 팥죽, 약과
▶깊은 겨울 : 냉면, 국수비빔, 동치미, 수정과
▶섣달 : 생치, 참새구이
세시풍속의 이미지
<설날> <단오>
<추석> <동지>
<출처>
세시풍속과 우리 음식 조후종 | 한림출판사
우리의 세시풍속과 전통놀이백과사전 허순봉 | 가람문학사
<관련 사이트>
http://www.sesistory.pe.kr/ 세시이야기
http://hanja.pe.kr/tra_1/t1_main.htm
[출처] 세시 풍속|작성자 호롱불
11월과 12월의 세시 풍속
동지는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으로, 1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에요. 그러나 이 날을 기준으로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므로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라고 봅니다. 그래서 동지를 ‘작은 설’이라고도 부르지요. 동짓날에는 귀신을 쫓으려고 팥죽을 쑤어 먹습니다.
섣달그믐은 음력 12월 마지막 날로, ‘제석’ 또는 ‘제야’라고도 합니다. 한 해를 마감하는 마지막 밤이라는 뜻이에요. 이 날 저녁에는 사당에 절을 올리고 설날 세배를 하듯 어른들에게 절을 하는데, 이를 ‘묵은세배’라고 합니다. 또 이 날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센다고 해서 집 안 구석구석 불을 밝혀 놓고 온 가족이 둘러 앉아 재미있는 이야기나 놀이를 하며 밤을 새웠답니다.
<제철음식>
▶정초 : 떡국, 밤초, 대추초.
▶대보름 : 약밥, 부름
▶2월 초하룻날 : 송편,
▶3월 3일 : 두견화전, 국수, 쑥떡
▶한식 : 조개탕, 애탕(艾湯)
▶봄철 : 수란(水卵), 산자, 시루떡
▶4월 8일 : 느티떡, 삶은 콩, 도미, 국수
▶이른 여름 : 증편, 개피떡, 장미화전, 어채(魚菜), 어만두(魚饅頭), 영계찜, 미나리 강회
▶단오 : 수리치떡, 준치국
▶유두 : 밀국수, 수단(水團), 건단(乾團), 상화(霜花)떡, 연병(連餠), 수교위
▶삼복 : 복죽, 개장, 영계백숙
▶여름 : 창면, 수제비, 밀쌈
▶추석 : 송편, 토란국
▶가을 : 무시루떡, 호박시루떡, 동부인절미, 밤경단
▶9월 9일 : 국화전, 화채
▶10월 : 붉은 팥떡
▶겨울 : 전골, 만두, 신선로, 연포국, 쑥경단, 꿀경단, 강정
▶동지 : 팥죽, 약과
▶깊은 겨울 : 냉면, 국수비빔, 동치미, 수정과
▶섣달 : 생치, 참새구이
세시풍속의 이미지
<설날> <단오>
<추석> <동지>
<출처>
세시풍속과 우리 음식 조후종 | 한림출판사
우리의 세시풍속과 전통놀이백과사전 허순봉 | 가람문학사
<관련 사이트>
http://www.sesistory.pe.kr/ 세시이야기
http://hanja.pe.kr/tra_1/t1_main.htm
[출처] 세시 풍속|작성자 호롱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