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한국축구와 일본축구
1. 한국축구와 일본축구 역사
1) 한국축구의 역사
2) 일본축구의 역사
2. K 리그와 J 리그
1) K 리그
2) J 리그
3. 붉은악마와 울트라 닛폰
1) 붉은악마
(1) 붉은악마의 탄생
(2) 붉은악마의 유래
(3) 붉은악마의 연혁
2) 울트라 닛폰
(1) 울트라 닛폰의 소개
(2) 울트라 닛폰의 유래
4. 붉은악마와 울트라 닛폰의 관계
1) 응원기의 유래와 성격비교
(1) 한국의 치우천왕
(2) 일본의 삼족오
2) 붉은악마와 울트라 닛폰의 응원문화
(1) 붉은악마의 응원문화
(2) 울트라 닛폰의 응원문화
3) 붉은악마와 울트라 닛폰의 특성 비교
(1) 개방적인 포용력
(2) 적극적인 홍보활동
(3) 새로운 응원 개발
(4) 분권적 운영 구조
Ⅲ. 결 론
Ⅳ. 참고자료
Ⅴ. 우리들의 생각
Ⅱ. 한국축구와 일본축구
1. 한국축구와 일본축구 역사
1) 한국축구의 역사
2) 일본축구의 역사
2. K 리그와 J 리그
1) K 리그
2) J 리그
3. 붉은악마와 울트라 닛폰
1) 붉은악마
(1) 붉은악마의 탄생
(2) 붉은악마의 유래
(3) 붉은악마의 연혁
2) 울트라 닛폰
(1) 울트라 닛폰의 소개
(2) 울트라 닛폰의 유래
4. 붉은악마와 울트라 닛폰의 관계
1) 응원기의 유래와 성격비교
(1) 한국의 치우천왕
(2) 일본의 삼족오
2) 붉은악마와 울트라 닛폰의 응원문화
(1) 붉은악마의 응원문화
(2) 울트라 닛폰의 응원문화
3) 붉은악마와 울트라 닛폰의 특성 비교
(1) 개방적인 포용력
(2) 적극적인 홍보활동
(3) 새로운 응원 개발
(4) 분권적 운영 구조
Ⅲ. 결 론
Ⅳ. 참고자료
Ⅴ. 우리들의 생각
본문내용
하는 방식의 즐거운 응원에 동참하고픈 국민들이 길거리로 뛰어나왔던 것이다.
울트라 닛폰은 응원 개발이나 홍보에 별 의욕이 없다. 월드컵에는 축구를 모르는 다른 사람들도 많이 오는데, 그 사람들은 울트라 닛폰이 그간 개발한 다채로운 응원을 따라하지 못할 것이라 지레 염려하며, 울트라 닛폰이 지금까지 해왔던 응원은 다 포기하고 누구나 다 따라할 수 있을 만큼 아주 단순한 구호가 좋다는 입장을 취했다. 이에 비해 붉은 악마는 원시적인 응원밖에 할 줄 몰랐던 우리 국민을 상대로 세계적 수준의 응원 방식을 홍보해서 성공시켰다. 이는 또한 우리나라의 응원 문화를 순식간에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이기도 하다.
분권적 운영 구조
대대적인 길거리 응원이 붉은 악마 중앙 조직에 의해 움직였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붉은 악마의 진짜 힘은 지방으로 혈관처럼 뻗은 지역별 작은 모임과 관심사에 따라 나누어진 분야별 작은 모임에서 나오는 것이다. 회원들은 자발적으로 작은 모임에 참여하고, 이 작은 모임들이 수평적으로 연계하여 일을 해내는 것이 붉은 악마 조직으로 완벽한 분권 구조다. 이 같은 분권적 운영 구조가 6월의 신화를 가능케 했다. 회원들은 거주 지역이나 관심사에 따라 작은 모임으로 재조직되어 전국 각지에서 길거리응원을 이끌었다.
울트라 닛폰의 조직은 느슨하다. 즉, 울트라 닛폰 역시 중앙집권적 조직은 아니다. 따라서 집단논리 강요 같은 것은 없지만 거기에는 회원간의 차별이 있다. 회원마다 권한과 자격에 차등을 두고 일종의 계급 사회 같은 형태가 된다. 심지어 울트라 닛폰이 주관하는 행사장에 출입하는 것도 자격이 있는 회원과 없는 회원이 따로 있다. 이런 식의 계급적 운영 구조에서 붉은 악마 같은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볼 때, 붉은악마의 특성은 평등, 민주, 분권, 적극, 개방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PC통신에서 형성되었던 동호회 운영 구조의 특성과 일치한다. 현실 사회에서 조직된 울트라 닛폰은 현실적인 한계를 띠고 있으나, 가상공간에서 조직된 붉은악마는 가상을 현실로 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그런 붉은악마 덕분에 우리 국민은 월드컵 기간동안, 현실의 길거리에서 가상의 세계에 빠지는 기쁨을 맛볼 수 있었다. PC통신 동호회 운영방식을 그대로 현실에 적용한 붉은악마의 성공이었던 것이다.
Ⅲ. 결론
길거리응원이 보여준 응집력과 역량을 어떻게 전 사회적으로 돌릴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많다. 긍정적인 논의라 생각하면서도 아쉬운 것은 너무 피상적이기 때문이다. 감상적인 수식어들에만 그쳐서는, 결국 이번에 붉은 악마가 보여준 역량은 한 때의 추억으로 사라질 것이다. 붉은 악마의 길거리응원 성공 요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그 체계와 구조 등을 사회 각 분야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한다. 그렇게 해야 각 분야에서 길거리응원 같은 성공의 신화가 이어질 것이다.
가령, 붉은 악마의 분권적 운영이나 개방성, 적극성 등을 잘 분석해서, 지방자치단체나 공무원 구조에 도입할 수도 있다. 기존 방식의 지방자치단체와 공무원들은 이번 월드컵에서도 여지없이 그 저력을 드러냈다고 한다. 버스 정류장 위치도 모르고 길 안내조차 할 수 없는 경찰들이 경기장 주변을 지켰으며, 지하철 공사와 철도청간에 말이 맞지 않아 월드컵 경기장에서 연장 운행하기로 약속했던 전철이 사라져버리는 등, 세계인을 상대로 우리나라 특유의 행정 능력을 유감 없이 발휘했다는 것이다. 이런 분야에 붉은 악마의 행정 구조를 도입해 보는 건 값진 시도일 것이다. 혹은 망신스러울 정도로 낮은 투표율을 자랑하는 정치권에서 붉은 악마 방식의 설득과 홍보를 배워보는 것도 유용할 것이다. 물론 그보다 앞서 붉은 악마처럼 조직과 활동이 투명해져야하겠지만 말이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이 새로운 문화가 우리만의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월드컵 역사상 처음 보는 형태의 응원이라며 전 세계가 놀라고 있다. 그리고 우리 이웃 일본에서도, 현지로 파견된 붉은 악마들을 중심으로 한국을 응원하는 일본인들의 길거리응원이 벌어지고 있다. 어쩌면 이 새로운 체계는 한국에만 필요한 것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지금까지 한국과 일본의 축구를 중심으로 한 붉은악마와 울트라 닛폰의 활동 등을 알아보았다.
한국은 지금까지 보여주지 못했던 뛰어난 단결력과 결집된 운영으로 4강 신화라는 신화를 포함한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를 이룩하였다.
이는 우리가 우리 스스로에게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과 희망감을 가져다 준 것이다. 정치경제사회 전반적으로 어려운 시기이다. 아직까지 우리가 갈 길은 멀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자신감이다.
월드컵 때 한창 유행 했던 말이 생각난다.
“꿈은 이루어진다.”
Ⅳ. 참고자료
고수유『붉은 악마 대한민국 키워드』 서울 .2002,:Leaders.
우에다 아사히 ,『울트라니뽄』
http://www.nmetro.com/weeklly/20010426/theme_02/main.html
http://www.sportsseoul.com/news/soccer/general/040521/200405219380641000.htm
http://www.happycampus.com/pages/2003/02/06/D1185751.html
http://www.k-leaguei.com
http://www.kfa.or.kr
http://japanology,org
http://www.sportsnavi.com/lycos/topics/Article/ZZZGOMF023D.html
http://sportsnavi.yahoo.co.jp/lycos/topics/Article/ZZZ9VVSP32D.html
http://www.yomiuri.co.jp/hochi/wc2002/jun/o20020622_80.htm
http://www.i-soccer.co.kr/section-006100000/2001/12/006100000200112311653022.html
http://www.jsa-npo.or.jp
http://www.jsa-npo.or.jp
일본울트라닛폰 홈페이지.
http://www.ultranippon.co.jp/html/index.html
울트라 닛폰은 응원 개발이나 홍보에 별 의욕이 없다. 월드컵에는 축구를 모르는 다른 사람들도 많이 오는데, 그 사람들은 울트라 닛폰이 그간 개발한 다채로운 응원을 따라하지 못할 것이라 지레 염려하며, 울트라 닛폰이 지금까지 해왔던 응원은 다 포기하고 누구나 다 따라할 수 있을 만큼 아주 단순한 구호가 좋다는 입장을 취했다. 이에 비해 붉은 악마는 원시적인 응원밖에 할 줄 몰랐던 우리 국민을 상대로 세계적 수준의 응원 방식을 홍보해서 성공시켰다. 이는 또한 우리나라의 응원 문화를 순식간에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이기도 하다.
분권적 운영 구조
대대적인 길거리 응원이 붉은 악마 중앙 조직에 의해 움직였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붉은 악마의 진짜 힘은 지방으로 혈관처럼 뻗은 지역별 작은 모임과 관심사에 따라 나누어진 분야별 작은 모임에서 나오는 것이다. 회원들은 자발적으로 작은 모임에 참여하고, 이 작은 모임들이 수평적으로 연계하여 일을 해내는 것이 붉은 악마 조직으로 완벽한 분권 구조다. 이 같은 분권적 운영 구조가 6월의 신화를 가능케 했다. 회원들은 거주 지역이나 관심사에 따라 작은 모임으로 재조직되어 전국 각지에서 길거리응원을 이끌었다.
울트라 닛폰의 조직은 느슨하다. 즉, 울트라 닛폰 역시 중앙집권적 조직은 아니다. 따라서 집단논리 강요 같은 것은 없지만 거기에는 회원간의 차별이 있다. 회원마다 권한과 자격에 차등을 두고 일종의 계급 사회 같은 형태가 된다. 심지어 울트라 닛폰이 주관하는 행사장에 출입하는 것도 자격이 있는 회원과 없는 회원이 따로 있다. 이런 식의 계급적 운영 구조에서 붉은 악마 같은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볼 때, 붉은악마의 특성은 평등, 민주, 분권, 적극, 개방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PC통신에서 형성되었던 동호회 운영 구조의 특성과 일치한다. 현실 사회에서 조직된 울트라 닛폰은 현실적인 한계를 띠고 있으나, 가상공간에서 조직된 붉은악마는 가상을 현실로 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그런 붉은악마 덕분에 우리 국민은 월드컵 기간동안, 현실의 길거리에서 가상의 세계에 빠지는 기쁨을 맛볼 수 있었다. PC통신 동호회 운영방식을 그대로 현실에 적용한 붉은악마의 성공이었던 것이다.
Ⅲ. 결론
길거리응원이 보여준 응집력과 역량을 어떻게 전 사회적으로 돌릴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많다. 긍정적인 논의라 생각하면서도 아쉬운 것은 너무 피상적이기 때문이다. 감상적인 수식어들에만 그쳐서는, 결국 이번에 붉은 악마가 보여준 역량은 한 때의 추억으로 사라질 것이다. 붉은 악마의 길거리응원 성공 요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그 체계와 구조 등을 사회 각 분야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한다. 그렇게 해야 각 분야에서 길거리응원 같은 성공의 신화가 이어질 것이다.
가령, 붉은 악마의 분권적 운영이나 개방성, 적극성 등을 잘 분석해서, 지방자치단체나 공무원 구조에 도입할 수도 있다. 기존 방식의 지방자치단체와 공무원들은 이번 월드컵에서도 여지없이 그 저력을 드러냈다고 한다. 버스 정류장 위치도 모르고 길 안내조차 할 수 없는 경찰들이 경기장 주변을 지켰으며, 지하철 공사와 철도청간에 말이 맞지 않아 월드컵 경기장에서 연장 운행하기로 약속했던 전철이 사라져버리는 등, 세계인을 상대로 우리나라 특유의 행정 능력을 유감 없이 발휘했다는 것이다. 이런 분야에 붉은 악마의 행정 구조를 도입해 보는 건 값진 시도일 것이다. 혹은 망신스러울 정도로 낮은 투표율을 자랑하는 정치권에서 붉은 악마 방식의 설득과 홍보를 배워보는 것도 유용할 것이다. 물론 그보다 앞서 붉은 악마처럼 조직과 활동이 투명해져야하겠지만 말이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이 새로운 문화가 우리만의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월드컵 역사상 처음 보는 형태의 응원이라며 전 세계가 놀라고 있다. 그리고 우리 이웃 일본에서도, 현지로 파견된 붉은 악마들을 중심으로 한국을 응원하는 일본인들의 길거리응원이 벌어지고 있다. 어쩌면 이 새로운 체계는 한국에만 필요한 것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지금까지 한국과 일본의 축구를 중심으로 한 붉은악마와 울트라 닛폰의 활동 등을 알아보았다.
한국은 지금까지 보여주지 못했던 뛰어난 단결력과 결집된 운영으로 4강 신화라는 신화를 포함한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를 이룩하였다.
이는 우리가 우리 스스로에게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과 희망감을 가져다 준 것이다. 정치경제사회 전반적으로 어려운 시기이다. 아직까지 우리가 갈 길은 멀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자신감이다.
월드컵 때 한창 유행 했던 말이 생각난다.
“꿈은 이루어진다.”
Ⅳ. 참고자료
고수유『붉은 악마 대한민국 키워드』 서울 .2002,:Leaders.
우에다 아사히 ,『울트라니뽄』
http://www.nmetro.com/weeklly/20010426/theme_02/main.html
http://www.sportsseoul.com/news/soccer/general/040521/200405219380641000.htm
http://www.happycampus.com/pages/2003/02/06/D1185751.html
http://www.k-leaguei.com
http://www.kfa.or.kr
http://japanology,org
http://www.sportsnavi.com/lycos/topics/Article/ZZZGOMF023D.html
http://sportsnavi.yahoo.co.jp/lycos/topics/Article/ZZZ9VVSP32D.html
http://www.yomiuri.co.jp/hochi/wc2002/jun/o20020622_80.htm
http://www.i-soccer.co.kr/section-006100000/2001/12/006100000200112311653022.html
http://www.jsa-npo.or.jp
http://www.jsa-npo.or.jp
일본울트라닛폰 홈페이지.
http://www.ultranippon.co.jp/html/index.html
추천자료
일본 문화의 이해 - 일본의 음식문화
일본문화의 이해
일본문화의 이해
일본정치의 이해 관료편
일본에 대한 이해 및 일본의 무역정책과 우리나라의 관계(진출 방안)
일본문화의 이해
현대 일본의 이해
동서양의 광장의 개념, 이해, 공간 연구, 유럽의 광장, 한국형 광장, 중국형 광장, 일본형 광...
[일본 대중문화의 이해] 에코 파머 (エコハァーマー/Echo Farmer) : 일...
[독후감] ‘일본문화의 이해’를 읽고
[서평] 일본문화의 이해
[국제자본이동의 이해] 일본 주식시장의 이해
일본의 이해 - 개호보험(介護保險)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