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중심정맥카테터(Central Venous Catheter)
(2)Hickman catheter
A. 히크만 카테터의 삽입 위치
B. 일상관리 및 유지
1) 출구관리(Exit site care)
2) 카테터의 유지관리
3) 채혈(Blood Sampling)
4) 안전관리
(2)Hickman catheter
A. 히크만 카테터의 삽입 위치
B. 일상관리 및 유지
1) 출구관리(Exit site care)
2) 카테터의 유지관리
3) 채혈(Blood Sampling)
4) 안전관리
본문내용
의료진의 드레싱 과정에서 가위로 잘리는 경우도 있으며 과도한
힘이 주어져 빠지기도 한다. 부딪힘에 주의해야 하며 수영 등 신체적 활동이
큰 운동 또한 삼가야 한다. 대처방법으로 가정에서 연결부위나 헤파린 켑이
열려 출혈이 있을 경우 즉시 안전 클램프를 잠그고 식염수를 주입하여 카테
터가 막히지 않도록 하고, 카테터가 잘렸을 경우 잘린 위 쪽을 꺾거나 켈리
로 잠근 후 급히 응급실로 방문하여야 하는 등의 일상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을 충분히 숙지시켜 위험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참고자료>
1. http://blog.naver.com/guryduc/11021954
2. http://k.daum.net/qna/kin/home/qdetail_view.html?boardid=M&qid=0ALo5
힘이 주어져 빠지기도 한다. 부딪힘에 주의해야 하며 수영 등 신체적 활동이
큰 운동 또한 삼가야 한다. 대처방법으로 가정에서 연결부위나 헤파린 켑이
열려 출혈이 있을 경우 즉시 안전 클램프를 잠그고 식염수를 주입하여 카테
터가 막히지 않도록 하고, 카테터가 잘렸을 경우 잘린 위 쪽을 꺾거나 켈리
로 잠근 후 급히 응급실로 방문하여야 하는 등의 일상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을 충분히 숙지시켜 위험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참고자료>
1. http://blog.naver.com/guryduc/11021954
2. http://k.daum.net/qna/kin/home/qdetail_view.html?boardid=M&qid=0ALo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