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비와 기구
⑴ 기구
① 모니터 (EKG monitor)
② 제세동기 (Defibrillator)
③ 가습기 (humidifier)
④ 산소공급기
⑤ Ambu bag
⑥ Infusion pump (Volume type)
⑦ Nebulizer
⑧ Chest drainage set
⑨ 위세척 set
⑩ 경비관 급식 set
⑵ Emergency kit
① Intubation set
② Venturi mask
③ Suction tip
④ Airway
⑤ Laryngoscope
⑥ Endotracheal tube
⑦ 3 way
2) 약물 종류 - Emergency kit 응급약물
⑴ epinephrine
⑵ dopamine
⑶ atropine
(4)dilantin
(5)lasix
⑴ 기구
① 모니터 (EKG monitor)
② 제세동기 (Defibrillator)
③ 가습기 (humidifier)
④ 산소공급기
⑤ Ambu bag
⑥ Infusion pump (Volume type)
⑦ Nebulizer
⑧ Chest drainage set
⑨ 위세척 set
⑩ 경비관 급식 set
⑵ Emergency kit
① Intubation set
② Venturi mask
③ Suction tip
④ Airway
⑤ Laryngoscope
⑥ Endotracheal tube
⑦ 3 way
2) 약물 종류 - Emergency kit 응급약물
⑴ epinephrine
⑵ dopamine
⑶ atropine
(4)dilantin
(5)lasix
본문내용
때 물은 방안의 온도나 체온 정도로 더운 것을 사용하면 가스가 습기를 더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습화의 효과가 커진다. 특히 기관절개술이나 기관내 삽관을 했을 때 약100%의 습도와 37℃가 적당하다. 스팀이나 차가운 연무를 발생시키는 전기분무기(electric vaporizer)를 사용할 수 있다. 차가운 연무형태의 분무기는 열이나 뜨거운 물을 만들어 내지 않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이 없다. 그러나 적절하게 청소되지 않는다면 병원균의 성장을 위한 매개물이 될 수 있다.
④ 산소공급기
ⅰ. O2 bubble jet
- 사용 목적
비교적 low flow system인 100% O2를 flow meter의 다이얼로 조절하여 O2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 사용 방법
1. Wall에 있는 O2 meter에 Bubble-jet의 위 나사 부분을 연결한다.
2. Jar(O2 bottle)를 열고 \"FILL TO THIS LINE\"이라고 쓰여 있는 곳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3. Cap에 jar를 끼우고 jar ring을 죄면서 잠근다.
4. \"BUBBLE\"이나 \"JET\" 모드 중 필요한 것을 스위치로 조작한다.
5. Bubble jet 출구에 환자에게 제공되는 Oxygen tube를 연결한다.
6. 처방난 O2 flow( ℓ/min)를 맞춘다.
- 관리방법
1. 사용한 O2 bubble-jet Cap은 흐르는 물에 씻은 후 잘 말려 보관한다.
2. Jar는 물에 씻은 후 말려 E.O gas 소독한다.
ⅱ. Portable O2 tank
- 사용목적
환자가 기동중이거나 치료나 검사를 위해 이동시에 지속적으로 산소 공급을 하기 위함이다.
- 사용방법
1. 중간 valve를 열어 O2 tank에 O2 가 있는지 확인한다.
2. 급습 병에 증류수를 채운다.
3. 처방된 양만큼 Oxygen flow meter를 조절한 후 환자에게 연결한다.
4. 사용한 후에는 tank의 Oxygen flow meter를 \"0\"으로 돌려놓은 후 valve를 잠그고, 지정된 장소에 둔다.
- 관리 방법 및 주의사항
1. 급습 병에 증류수는 지정한 일정한 시간(밤 근무 시)에 갈아준다.
2. 금연, 화재 예방교육을 한다.
3. 넘어지지 않도록 항상 받침 걸이를 사용한다.
4. 매 근무 번마다 남아 있는 O2의 양을 확인하고, 비었을 경우 O2를 채워서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⑤ Ambu bag
- 사용 목적
응급상황에서 엠브주머니는 전체 호흡이 끊긴 대상자의 환기를 돕기 위해 사용된다.
- 사용 방법
대상자의 머리를 뒤로 기대게 하고 턱은 윗쪽으로 밀고, 기도를 깨끗이 한 후 마스크를 대상자의 코와 입 주위에 꼭 맞게 고정한다. 시술자의 다른 손은 정상호흡 횟수 (성인 16~20회/min)에 근접한 속도로 주머니를 누른다. 인공적인 환기는 자발적인 호흡이나 기계적 보조가 사용될 수 있을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⑥ Infusion pump (Volume type)
- 사용목적
주입할 정확한 양의 수액을 정확한 시간동안 주입하기 위해 사용하며, 총 주입해야 할 양을 정한 후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한다.
- 사용방법
1. IV pole에 pump의 clamp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접속시킨다.
2. 전원을 연결한다.
3. Pump의 문을 열고 기계 뒤에 있는 POWER 스위치를 켠다.
- POWER 스위치를 켜면 우선 LINE POWER indicator에 불이 켜지게 되고 다른 indicator에도 차례로 불이 들어오고, \"삑\" 소리가 나게 된다.
- AIR-IN-LINE, OCCLUSION, 그리고 DOOR OPEN의 순서대로 alarm이 울린다.
4. Infusion pump용 수액
④ 산소공급기
ⅰ. O2 bubble jet
- 사용 목적
비교적 low flow system인 100% O2를 flow meter의 다이얼로 조절하여 O2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 사용 방법
1. Wall에 있는 O2 meter에 Bubble-jet의 위 나사 부분을 연결한다.
2. Jar(O2 bottle)를 열고 \"FILL TO THIS LINE\"이라고 쓰여 있는 곳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3. Cap에 jar를 끼우고 jar ring을 죄면서 잠근다.
4. \"BUBBLE\"이나 \"JET\" 모드 중 필요한 것을 스위치로 조작한다.
5. Bubble jet 출구에 환자에게 제공되는 Oxygen tube를 연결한다.
6. 처방난 O2 flow( ℓ/min)를 맞춘다.
- 관리방법
1. 사용한 O2 bubble-jet Cap은 흐르는 물에 씻은 후 잘 말려 보관한다.
2. Jar는 물에 씻은 후 말려 E.O gas 소독한다.
ⅱ. Portable O2 tank
- 사용목적
환자가 기동중이거나 치료나 검사를 위해 이동시에 지속적으로 산소 공급을 하기 위함이다.
- 사용방법
1. 중간 valve를 열어 O2 tank에 O2 가 있는지 확인한다.
2. 급습 병에 증류수를 채운다.
3. 처방된 양만큼 Oxygen flow meter를 조절한 후 환자에게 연결한다.
4. 사용한 후에는 tank의 Oxygen flow meter를 \"0\"으로 돌려놓은 후 valve를 잠그고, 지정된 장소에 둔다.
- 관리 방법 및 주의사항
1. 급습 병에 증류수는 지정한 일정한 시간(밤 근무 시)에 갈아준다.
2. 금연, 화재 예방교육을 한다.
3. 넘어지지 않도록 항상 받침 걸이를 사용한다.
4. 매 근무 번마다 남아 있는 O2의 양을 확인하고, 비었을 경우 O2를 채워서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⑤ Ambu bag
- 사용 목적
응급상황에서 엠브주머니는 전체 호흡이 끊긴 대상자의 환기를 돕기 위해 사용된다.
- 사용 방법
대상자의 머리를 뒤로 기대게 하고 턱은 윗쪽으로 밀고, 기도를 깨끗이 한 후 마스크를 대상자의 코와 입 주위에 꼭 맞게 고정한다. 시술자의 다른 손은 정상호흡 횟수 (성인 16~20회/min)에 근접한 속도로 주머니를 누른다. 인공적인 환기는 자발적인 호흡이나 기계적 보조가 사용될 수 있을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⑥ Infusion pump (Volume type)
- 사용목적
주입할 정확한 양의 수액을 정확한 시간동안 주입하기 위해 사용하며, 총 주입해야 할 양을 정한 후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한다.
- 사용방법
1. IV pole에 pump의 clamp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접속시킨다.
2. 전원을 연결한다.
3. Pump의 문을 열고 기계 뒤에 있는 POWER 스위치를 켠다.
- POWER 스위치를 켜면 우선 LINE POWER indicator에 불이 켜지게 되고 다른 indicator에도 차례로 불이 들어오고, \"삑\" 소리가 나게 된다.
- AIR-IN-LINE, OCCLUSION, 그리고 DOOR OPEN의 순서대로 alarm이 울린다.
4. Infusion pump용 수액
추천자료
성인 응급간호
CPR성인 소아차이점, 응급 장비 사용법, 응급약물, ABGA해석
성인간호학 case - 응급실 (상황, 우선순위, case, 비상약품종류와 간호),case study-뇌졸중
성인간호학실습case-응급실케이스(Cerebro infarction)
성인 간호학 실습- 응급실 (ER) 실습 레포트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응급실 실습 충수돌기염 (Appendicitis) 케이스 스터디
성인 CVA 응급실 간호진단
(성인) 응급실 데일리 케이스
성인간호학 간호진단 컨퍼런스[ER(응급실)]
성인간호학 (응급실) 간호진단 (조절되지 않은 높은 혈당과 관련된 불안정 혈당 위험성, 질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