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딥스, 무엇을 말하는가?.
본론- 딥스, 그 핵심과 주요의미를 찾아서.
- 딥스의 핵심내용 분석과 의의.
- 개인적인 시각으로 보는 딥스.
결론- 딥스,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본론- 딥스, 그 핵심과 주요의미를 찾아서.
- 딥스의 핵심내용 분석과 의의.
- 개인적인 시각으로 보는 딥스.
결론- 딥스,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본문내용
있다..그런 아이들에게 용기를 주고 싶다..그들에게 제대로 클수 있는 기회를 주고 싶다..그러기 위해서는 나부터 바로 서야 한다.부모 자신과 본인들 사이의 문제로 인하여 자신의 자녀가 희생 양이 되게 한다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는 생각이다.
육아, 양육의 문제는 동서의 문화권을 떠나서 중요한 삶의 과제, 문제 중에 하나일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피부치에 대해서 딥스의 부모처럼 이해심이 없고, 매몰 차며, 부모 자신의 인생만을 더욱더 생각해서는 않된다는 것이 나의 가치관이고 아마도 내 자신은 미래에 그렇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자신의 생명은 비록 숨을 다하더라도 다음 세대를 이어 가는 영원 불멸의 생명의 이어짐, 그 것이 바로 자신이 낳은 자기 자식이며 생명의 연속적 이어짐을 중요히 여겨, 자식을 사랑하고 아끼며 교육을 하는 우리의 동양적 사상, 철학의 근본 바탕이기 때문이다.
당장에 약하고 유약한 힘이없는 어린이들은 더 존경하고 대접해야만 한다.실제 딥스의 놀이치료과정을 녹음하고 기록한 자료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더 도움이 되는 부분도 있다.
현실의 나는 딥스가 심리적으로 환경적으로 어떠한 상황에 놓여있었는지 파악하고 그를 치료해 나아가는 일련의 과정들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이해하지 못했다.
책속에서 정말 그것들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려고 했다면 난 아마 딥스를 더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 확실하다.
하지만 난 연구학적으로 딥스를 이해하지 못했지만, 아마도 딥스가 A선생님과의 만남속에서 느꼈던 감정들을 조금이나마 이해할수 있었다.
놀라왔던 것은 딥스의 놀이치료 과정에 치료자의 개입은 전혀 없고 아이를 그냥 내버려두며 스스로 갈등을 풀게 끔 유도만 하는 과정이 인상깊었다.
딥스가 놀잇감을 가지고 스스로 놀면서 역할극으로 가족에 대한 미움을 드러내며 해소하고 용서하는 부분그렇게 자기자신이 쌓아올린 벽을 허무는 모습은 감동적이었다.
책을 읽으며 나는 딥스이기도 하면서 A선생님이기도 하고, 엄마,아빠 또는 제이스 아저씨이기도 했다.
모두들 딥스의 변화에 대해 많은 감정을 표현하지 않았지만, 나는 딥스의 변화의 과정중에서의 기쁨을 내 스스로의 마음속에서 느낄 수 있었다.
교육할 때는 3가지를 명심하라고 한다.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신뢰, 부정적인 질책이 아닌 긍정적인 격려와 인정, 코앞만 바라보는 교육이 아닌 장거리를 뛰어가는 안목과 인내심..자녀교육을 하는 부모들의 필독서라 생각되며 현장에서도 꼭 필요한 책이다.
육아, 양육의 문제는 동서의 문화권을 떠나서 중요한 삶의 과제, 문제 중에 하나일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피부치에 대해서 딥스의 부모처럼 이해심이 없고, 매몰 차며, 부모 자신의 인생만을 더욱더 생각해서는 않된다는 것이 나의 가치관이고 아마도 내 자신은 미래에 그렇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자신의 생명은 비록 숨을 다하더라도 다음 세대를 이어 가는 영원 불멸의 생명의 이어짐, 그 것이 바로 자신이 낳은 자기 자식이며 생명의 연속적 이어짐을 중요히 여겨, 자식을 사랑하고 아끼며 교육을 하는 우리의 동양적 사상, 철학의 근본 바탕이기 때문이다.
당장에 약하고 유약한 힘이없는 어린이들은 더 존경하고 대접해야만 한다.실제 딥스의 놀이치료과정을 녹음하고 기록한 자료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더 도움이 되는 부분도 있다.
현실의 나는 딥스가 심리적으로 환경적으로 어떠한 상황에 놓여있었는지 파악하고 그를 치료해 나아가는 일련의 과정들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이해하지 못했다.
책속에서 정말 그것들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려고 했다면 난 아마 딥스를 더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 확실하다.
하지만 난 연구학적으로 딥스를 이해하지 못했지만, 아마도 딥스가 A선생님과의 만남속에서 느꼈던 감정들을 조금이나마 이해할수 있었다.
놀라왔던 것은 딥스의 놀이치료 과정에 치료자의 개입은 전혀 없고 아이를 그냥 내버려두며 스스로 갈등을 풀게 끔 유도만 하는 과정이 인상깊었다.
딥스가 놀잇감을 가지고 스스로 놀면서 역할극으로 가족에 대한 미움을 드러내며 해소하고 용서하는 부분그렇게 자기자신이 쌓아올린 벽을 허무는 모습은 감동적이었다.
책을 읽으며 나는 딥스이기도 하면서 A선생님이기도 하고, 엄마,아빠 또는 제이스 아저씨이기도 했다.
모두들 딥스의 변화에 대해 많은 감정을 표현하지 않았지만, 나는 딥스의 변화의 과정중에서의 기쁨을 내 스스로의 마음속에서 느낄 수 있었다.
교육할 때는 3가지를 명심하라고 한다.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신뢰, 부정적인 질책이 아닌 긍정적인 격려와 인정, 코앞만 바라보는 교육이 아닌 장거리를 뛰어가는 안목과 인내심..자녀교육을 하는 부모들의 필독서라 생각되며 현장에서도 꼭 필요한 책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