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양제과
중국시장에서의 인지도 및 충성도 점유율
브랜드 세계화를 위한 비전
브랜드 전략
브랜드 세계화 배경
브랜드 개발
제품 및 디자인 개발
제품 경쟁력을 제고를 위한 노력
브랜드 마케팅 체제
<인력>
<정보시스템>
<고객만족시스템>
브랜드 촉진 전략
브랜드 촉진을 위한 유통전략
주요 성공요인
중국시장에서의 인지도 및 충성도 점유율
브랜드 세계화를 위한 비전
브랜드 전략
브랜드 세계화 배경
브랜드 개발
제품 및 디자인 개발
제품 경쟁력을 제고를 위한 노력
브랜드 마케팅 체제
<인력>
<정보시스템>
<고객만족시스템>
브랜드 촉진 전략
브랜드 촉진을 위한 유통전략
주요 성공요인
본문내용
하고 있다. 그리고 할인점을 대상으로 대형 패키지를 개발 중에 있으며, 일반 영업에 있어서는 슈퍼, 특수영업에 있어서는 대형할인점, 군대, 학교 등을 이용한다.
또한, 업계 최초의 진열프로그램인 OMP(orion merchandising program)을 실시하였고, 동양제과는 해외마케팅을 지속적인 전략으로 펼쳐나가면서 판매의 기본이 되는 영업망 구축에 큰 노력을 기울려왔다. 동양제과는 유통망의 개발을 위해서 3단계의 유통전략을 실시하였다. 그 1단계는 93년부터 94년까지의 약 1년 동안의 간접유통판매 전략의 실천이었다. 이 시기는 해외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위해, 기존 시장에 보다 많은 수출 경로를 통해 진출하는 것이 관건이었다.
동양제과는 94년말부터 96년말까지 강력한 시장 확대전략인 Master Sole System 전략을 구사하면서 2단계의 영업망 구축에 들어갔다. 이것은 국가별, 품목별 총대리점을 지정하여 안정적인 수출물량 확보는 물론 해당국가내 초코파이의 가격안정, 시장안정을 추구하는 전략이며, 해당지역의 물류 및 유통을 현지 학습화함으로써 중국 같은 경우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Route Sale 개념을 도입한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현지 유통을 직접 운영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Master Sole System 전략은 동양제과가 수출전략을 추진하는 데 있어 안정된 수급망의 확보, 일관된 가격정책을 유지해 제품의 이미지를 제고함으로써 수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이러한 2단계의 Master Sole System을 토대로 3단계의 시장을 완전히 확보하기 위한 Area Sole System 유통전략이 확립됐다. 이는 2단계의 전략을 통해 확대된 해당 국가내 문화적, 지리적 차별화된 시장을 거점으로 세분화하여 궁극적으로는 현지화 전략을 구사, 거점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동양제과는 향후 2005년까지 해당지점내 물류 및 영업정책으로 직조직 형태의 판매전문회사를 설립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이를 실현을 위한 노력을 집중해 나가고 있다.
주요 성공요인
첫째로, 고품질을 들 수 있다. 머쉬멜로우와 쵸컬릿 비스켓을 혼합하고 수분평형을 유지하며 지금의 차별화된 맛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력에 그 성공요인을 들 수 있다.
두번째는, 차별적인 촉진 전략이다. 국내에서 개발한 정(情)이라는 컨셉을 바탕으로 하여 해외 각 나라에 맞는 정이라는 컨셉을 개발함으로써, 고객들의 마음속에 초코파이의 이미지를 정으로 차별화하고, 더 나아가 기업이미지로 정착시켜 가도록 하는 성공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것은 초코파이의 맛을 변화시킨 것이 아니라, 의미를 변화시켜 일구어낸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세번째로, 디자인을 들 수 있다. 시중의 초코파이의 포장이 유사하기 때문에 오리온 초코파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알리기 위해서 오리온 초코파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정의 개념을 표시하는 도안을 포장에 도입하고, 각 국가에 맞는 포장제품패키지를 차별화(4팩, 6팩, 12팩, 33팩 등)하고, 철저한 소비자 조사를 통해서 각 국가별로 선호하는 색상으로 포장함으로써, 각 국의 고객들에게 맞는 정서에 통합된 소구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네번째로, 경영진들의 해외진출의 강력한 의지와 바이어와의 신뢰를 들 수 있다. 초창기 수출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동양제과는 한 번 개척한 시장은 절대 놓치지 않는다는 기본 마인드를 토대로 한 장기 시장개발 전략으로 바이어에 대한 서비스를 철저히 지켜나갔다. 이러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바이어들이 점점 시장을 넓혀나가는데 큰 기여를 하였으며, 이는 동양이 해외시장 개척에 성공하게된 하나의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업계 최초의 진열프로그램인 OMP(orion merchandising program)을 실시하였고, 동양제과는 해외마케팅을 지속적인 전략으로 펼쳐나가면서 판매의 기본이 되는 영업망 구축에 큰 노력을 기울려왔다. 동양제과는 유통망의 개발을 위해서 3단계의 유통전략을 실시하였다. 그 1단계는 93년부터 94년까지의 약 1년 동안의 간접유통판매 전략의 실천이었다. 이 시기는 해외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위해, 기존 시장에 보다 많은 수출 경로를 통해 진출하는 것이 관건이었다.
동양제과는 94년말부터 96년말까지 강력한 시장 확대전략인 Master Sole System 전략을 구사하면서 2단계의 영업망 구축에 들어갔다. 이것은 국가별, 품목별 총대리점을 지정하여 안정적인 수출물량 확보는 물론 해당국가내 초코파이의 가격안정, 시장안정을 추구하는 전략이며, 해당지역의 물류 및 유통을 현지 학습화함으로써 중국 같은 경우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Route Sale 개념을 도입한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현지 유통을 직접 운영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Master Sole System 전략은 동양제과가 수출전략을 추진하는 데 있어 안정된 수급망의 확보, 일관된 가격정책을 유지해 제품의 이미지를 제고함으로써 수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이러한 2단계의 Master Sole System을 토대로 3단계의 시장을 완전히 확보하기 위한 Area Sole System 유통전략이 확립됐다. 이는 2단계의 전략을 통해 확대된 해당 국가내 문화적, 지리적 차별화된 시장을 거점으로 세분화하여 궁극적으로는 현지화 전략을 구사, 거점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동양제과는 향후 2005년까지 해당지점내 물류 및 영업정책으로 직조직 형태의 판매전문회사를 설립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이를 실현을 위한 노력을 집중해 나가고 있다.
주요 성공요인
첫째로, 고품질을 들 수 있다. 머쉬멜로우와 쵸컬릿 비스켓을 혼합하고 수분평형을 유지하며 지금의 차별화된 맛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력에 그 성공요인을 들 수 있다.
두번째는, 차별적인 촉진 전략이다. 국내에서 개발한 정(情)이라는 컨셉을 바탕으로 하여 해외 각 나라에 맞는 정이라는 컨셉을 개발함으로써, 고객들의 마음속에 초코파이의 이미지를 정으로 차별화하고, 더 나아가 기업이미지로 정착시켜 가도록 하는 성공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것은 초코파이의 맛을 변화시킨 것이 아니라, 의미를 변화시켜 일구어낸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세번째로, 디자인을 들 수 있다. 시중의 초코파이의 포장이 유사하기 때문에 오리온 초코파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알리기 위해서 오리온 초코파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정의 개념을 표시하는 도안을 포장에 도입하고, 각 국가에 맞는 포장제품패키지를 차별화(4팩, 6팩, 12팩, 33팩 등)하고, 철저한 소비자 조사를 통해서 각 국가별로 선호하는 색상으로 포장함으로써, 각 국의 고객들에게 맞는 정서에 통합된 소구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네번째로, 경영진들의 해외진출의 강력한 의지와 바이어와의 신뢰를 들 수 있다. 초창기 수출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동양제과는 한 번 개척한 시장은 절대 놓치지 않는다는 기본 마인드를 토대로 한 장기 시장개발 전략으로 바이어에 대한 서비스를 철저히 지켜나갔다. 이러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바이어들이 점점 시장을 넓혀나가는데 큰 기여를 하였으며, 이는 동양이 해외시장 개척에 성공하게된 하나의 요인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