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바울서신 개관
2. 에베소서
3. 골로새서
4. 빌립보서
5. 빌레몬서
2. 에베소서
3. 골로새서
4. 빌립보서
5. 빌레몬서
본문내용
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다른 곳에서 안 사용한 단어라고 해서 이곳에서 사용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 그는 바울 저작설을 주장한다.
▶ 신학적, 사상적인 면에서 보면 3개의 신학을 담고 있다.
ㄱ. 그리스도의 신적인 본질(6) - '그는 하나님의 형상 가운데 계시며' - 하나님과의 동등됨이라는 표현을 씀.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선재하심에 동참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 비하를 위해 신적 본질을 포기했다고 말함. 그리스도의 신적 본질은 선재한 것이지 역사적으로 탈취되거나 획득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res rapta - 이미 빼앗은 일 : 이제 앞으로 될 일보다는 이미 일어난 일로서 하나님의 신적인 본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
ㄴ. 그리스도의 역사적 사건(7-8)
그리스도의 자기비하
그리스도의 성육신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죽으심
ㄷ. 그리스도의 종말론적인 위치, 현상(9-11)
그리스도의 영광이 중요한 위치, 그의 절대적인 승귀와 만인, 모든 것 위에 위치하는 자리와, 주님으로서의 영광이 설명되어진다.
우주의 통치자로서의 그리스도를 소개해준다.
5. 빌레몬서
J. D. G. Dumn, The Epistles to the Colossians and to Philemon(NIGTC) , 1996
F.Laub(라우트), 고대노예제도와 초기그리스도교, 한국신학연구소
▶내용
1.서론 (1-7)
2.본론 (8-22)
1)간구(8-21)
2)요청(22상반절)
3)소망(22하반절)
3.결론 (23-25)
- 빌레몬은 단란한 가정을 이루고 있는 사람이었다. 아킵보는 빌레몬의 아들일 것이다. 그는 주님안에서 이미 봉사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었을 것이다.(골4:17). '바울은 나이가 많은 나 바울은'이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 빌레몬도 나이가 많은 사람이었을 것이다. 자기집을 교회로 사용하도록 내어주었다. 빌레몬을 가르켜서 바울은 '사랑받는 자(1)', '동역자(1)', '형제(7,20)'라는 세 가지 호칭을 붙였다. 이러한 빌레몬에게 오네시모라는 노예가 도망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 당시 상황에서 노예가 발생하는 경우는 먼저는 전쟁포로이고 둘째는 경제적으로 빚을 갚을 수 없는 사람들이었다. 오네시모는 아마 둘째의 경우로 인해 노예가 되었을 것이다(18). 왜 도망쳤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잡혀서 바울이 있던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그래서 바울은 갇힌 자중의 아들(10)이라고 불렀다. 바울은 오네시모에 대하여 빌레몬에게 친필로 편지를 썼다고 말한다(19).
- 이 편지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두 가지 내용(2층구조)이 있는데 먼저 이 편지는 노예제도라는 사회구조에 대한 바울의 아픔과 당시의 상황에 대한 편지이다. 이러한 사회구조가 개선되는 방법은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인해,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음으로 가능하다고 함. 그래서 그리스도의 정신을 강조한다. 복음이 모든 사회적인 한계를 초월하여 작용한다는 예증을 보여주는 것이다. 바울은 오네시모를 다시 빌레몬에게 보내게 되었다.
또한 빌레몬의 실책에 대한 부분을 볼 수 있다. 8절에 사랑 받는 자이며 동역자인 빌레몬이 마땅히 하지 않은 일을 나타내고 있다. 13절을 보면 바울의 투옥 중에 그것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바울은 마땅히 빌레몬이 해야할 일을 다시 권면 하고 있다. 빌레몬이 이 편지를 받고 나서 그가 내용보다 더 행할 것을 알고 있다고 한다. 바울은 오네시모의 문제 뿐 아니라 빌레몬에게 선교사업에 대한 더 큰 지원을 기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K. P. Donfried/ I. H. Marshall, The Theology of the Shorter Pauline Letters(NTT), Cambridge 1993
▶ 신학적, 사상적인 면에서 보면 3개의 신학을 담고 있다.
ㄱ. 그리스도의 신적인 본질(6) - '그는 하나님의 형상 가운데 계시며' - 하나님과의 동등됨이라는 표현을 씀.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선재하심에 동참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 비하를 위해 신적 본질을 포기했다고 말함. 그리스도의 신적 본질은 선재한 것이지 역사적으로 탈취되거나 획득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res rapta - 이미 빼앗은 일 : 이제 앞으로 될 일보다는 이미 일어난 일로서 하나님의 신적인 본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
ㄴ. 그리스도의 역사적 사건(7-8)
그리스도의 자기비하
그리스도의 성육신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죽으심
ㄷ. 그리스도의 종말론적인 위치, 현상(9-11)
그리스도의 영광이 중요한 위치, 그의 절대적인 승귀와 만인, 모든 것 위에 위치하는 자리와, 주님으로서의 영광이 설명되어진다.
우주의 통치자로서의 그리스도를 소개해준다.
5. 빌레몬서
J. D. G. Dumn, The Epistles to the Colossians and to Philemon(NIGTC) , 1996
F.Laub(라우트), 고대노예제도와 초기그리스도교, 한국신학연구소
▶내용
1.서론 (1-7)
2.본론 (8-22)
1)간구(8-21)
2)요청(22상반절)
3)소망(22하반절)
3.결론 (23-25)
- 빌레몬은 단란한 가정을 이루고 있는 사람이었다. 아킵보는 빌레몬의 아들일 것이다. 그는 주님안에서 이미 봉사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었을 것이다.(골4:17). '바울은 나이가 많은 나 바울은'이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 빌레몬도 나이가 많은 사람이었을 것이다. 자기집을 교회로 사용하도록 내어주었다. 빌레몬을 가르켜서 바울은 '사랑받는 자(1)', '동역자(1)', '형제(7,20)'라는 세 가지 호칭을 붙였다. 이러한 빌레몬에게 오네시모라는 노예가 도망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 당시 상황에서 노예가 발생하는 경우는 먼저는 전쟁포로이고 둘째는 경제적으로 빚을 갚을 수 없는 사람들이었다. 오네시모는 아마 둘째의 경우로 인해 노예가 되었을 것이다(18). 왜 도망쳤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잡혀서 바울이 있던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그래서 바울은 갇힌 자중의 아들(10)이라고 불렀다. 바울은 오네시모에 대하여 빌레몬에게 친필로 편지를 썼다고 말한다(19).
- 이 편지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두 가지 내용(2층구조)이 있는데 먼저 이 편지는 노예제도라는 사회구조에 대한 바울의 아픔과 당시의 상황에 대한 편지이다. 이러한 사회구조가 개선되는 방법은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인해,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음으로 가능하다고 함. 그래서 그리스도의 정신을 강조한다. 복음이 모든 사회적인 한계를 초월하여 작용한다는 예증을 보여주는 것이다. 바울은 오네시모를 다시 빌레몬에게 보내게 되었다.
또한 빌레몬의 실책에 대한 부분을 볼 수 있다. 8절에 사랑 받는 자이며 동역자인 빌레몬이 마땅히 하지 않은 일을 나타내고 있다. 13절을 보면 바울의 투옥 중에 그것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바울은 마땅히 빌레몬이 해야할 일을 다시 권면 하고 있다. 빌레몬이 이 편지를 받고 나서 그가 내용보다 더 행할 것을 알고 있다고 한다. 바울은 오네시모의 문제 뿐 아니라 빌레몬에게 선교사업에 대한 더 큰 지원을 기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K. P. Donfried/ I. H. Marshall, The Theology of the Shorter Pauline Letters(NTT), Cambridge 1993
추천자료
[해석학][종교신학][신학][윤리][겸손][확신][바울][해석학과 종교신학][해석학, 신학, 윤리]...
[그리스][그리스도신학][헬라][바울신학][천국][지옥]그리스의 문화, 그리스의 철학, 그리스...
사도바울이 아닌 인간바울
[교회][상담사역][바울][전도사역][제자훈련][가정사역][구원적 신앙]교회의 상담사역, 바울...
[신약신학] <바울의 기독론>과 <바울이 말하는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구원사역> (기독교, 신학)
[바울신학] 바울의 윤리(倫理) [그리스도인과 십계명] {율법의 제3의 용도, 기독교적 직관론...
[바울신학] 죄와 “아담 안에 있는 사람” 사람의 도덕적 부패와 책임, 죄의 결과, 율법의 기능...
[바울Paul신학] 바울 복음의 구약적 근거 (바울이 그의 교회들을 구약 성경의 신학과 연결시...
[바울Paul신학] 바울의 칭의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이 도구로서 행하는 기능, 칭의의 ...
[바울Paul신학] 바울의 종말론에 대한 이해 (현재, 중간 상태, 미래 상태의 단계로 설명)
[바울Paul신학] 바울의 사역에서 배우는 선교사들을 위한 교훈(15가지)
[바울신학 Pauline theology] 하나님의 아들의 구원 사역 (바울이 그리스도의 사역과 그의 죽...
바울의 생애,바울의 전도여행,바울의 교육,디아스포라 유대인,유대교 교육,바리새파,가말리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