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 & method
3. result & discussion
4. reference
2. material & method
3. result & discussion
4. reference
본문내용
e : For the cultivation of fungi, including yeasts, and other aciduric microorganisms.
2) Method
백금이를 빨갛게 될 때까지 화염멸균 한 후 배지에 식힌다. 미리 준비해 둔 막걸리에 백금이를 접종한 후 YM(yeast maltose) agar가 들어있는 petridish에 획선평판도말 한다.
에탄올에 담겨져 있는 slide glass를 잘 말린 후 화염멸균한 백금이로 증류수를 slide glass에 약간 묻힌다. 백금이를 알코올램프에 배양한 petridish에서 백금이로 효모를 따서 slide glass의 물기가 있는 부분에 백금이로 딴 효모를 smearing한다. 슬라이드글라스에 있는 효모를 고정시키기 위해 증류수를 건조시키는데 smearing한 것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주의하여 알코올램프에 slide glass를 가볍게 왔다 갔다 하면서 물기를 없앤다. 이때 너무 불에 가까이 대거나 천천히 왔다 갔다 하면 균이 탈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증류수를 건조시킨 후 cover glass를 덮는다. slide glass와 cover glass가 떨어지지 않도록 증류수를 약간 넣어준다. 현미경으로 효모를 관찰한다.
3. Result & discussion
막걸리에서 효모를 분리하기 위해 YM agar위에 획선평판도말을 하였다. 그 결과 왼쪽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실험에서 3차 접종을 하였는데 2차 접종 한 부분에 첫 시작에서는 미생물들이 많이 자라고 있지만 점점 접종지점에서 멀어짐에 따라 미생물의 수가 줄어들면서 single colony가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 3차접 종에서는 2차 접종보다 미생물의 수가 현저히 줄어든 게 보이고 streaking의 마지막부분은 거의 희석되어서 미생물이 자라지 않았다.
획선평판도말을 통해 생긴 single colony 를 따서 검경을 하였다. 처음 알코올램프에 slide glass를 가볍게 왔다 갔다 하면서 물기를 없애는 과정에서 너무 불에 가까이 대고 오랫동안 효모를 고정시켜서 그랬는데 검경할 때 효모가 타서 잘 검게 보였다. 그래서 두 번째 검경할 때는 조심해서 알코올램프에 고정을 시켰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효모의 출아하고 있는 모습이 보였다. 우리가 이론 시간에 배운 모세포와 낭세포을 검경을 통해 볼 수 있었다. 효모는 박테리아보다 그 크기가 크다더니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그 사실을 입증하였다. 지금까지 관찰해 왔던 박테리아와 비교해 그 크기가 현저하게 차이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 그 형태가 동그란 난형인 것이 귀여워 보였다. 효모의 bud scar에 따라 출아한 정도를 판단 할 수 있다고 했는데 검경을 통해서 bud scar를 확인 할 수 없어서 조금 아쉬웠다.
검경한 사진의 효모는 Saccharomyces속인 것으로 추정된다. Saccharomyces속은 구형,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다극출아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알콜 발효력이 강한 것이 많고 주류나 빵의 제조 등에 이용된다. 우리가 검경한 효모는 Saccharomyces속중에서도 대표종인 Saccharomyces cerevisiae으로 추정된다. Saccharomyces cerevisiae은 주로 포도주, 맥주, 청주, 탁주, 알콜, 빵의 제조에 이용되는 효모이다.
식품미생물학 실험은 무엇보다도 우리가 평소에 무심코 먹었던 식품에 대해 실험과 실험 후 조사를 통해서 그 식품 속에 들어있는 미생물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어서 다른 이론 수업에 비해 뜻 깊은 것 같다. 수업해 주신 교수님, 실험설명해 주시고 도와주신 조교님 감사합니다.
4. Reference
http://ko.wikipedia.org/wiki/%ED%9A%A8%EB%AA%A8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masterno=174466&contentno=174466
http://www.koreawine.co.kr/
www.mips.biochem.mpg.de/proj/yeast/info/intro.html
강춘기 외 6명, 식품미생물학, 2005, 지구문화사, p36~48
박헌국 외 5명, 식품미생물학, 2004 , 문운당, p75~85
하덕모, 식품미생물학, 2003, 신광출판사, p50~69, 217~221
방병호 외 7명, 식품 미생물학 실험, 1999, 진로연구사, p123~131
2) Method
백금이를 빨갛게 될 때까지 화염멸균 한 후 배지에 식힌다. 미리 준비해 둔 막걸리에 백금이를 접종한 후 YM(yeast maltose) agar가 들어있는 petridish에 획선평판도말 한다.
에탄올에 담겨져 있는 slide glass를 잘 말린 후 화염멸균한 백금이로 증류수를 slide glass에 약간 묻힌다. 백금이를 알코올램프에 배양한 petridish에서 백금이로 효모를 따서 slide glass의 물기가 있는 부분에 백금이로 딴 효모를 smearing한다. 슬라이드글라스에 있는 효모를 고정시키기 위해 증류수를 건조시키는데 smearing한 것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주의하여 알코올램프에 slide glass를 가볍게 왔다 갔다 하면서 물기를 없앤다. 이때 너무 불에 가까이 대거나 천천히 왔다 갔다 하면 균이 탈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증류수를 건조시킨 후 cover glass를 덮는다. slide glass와 cover glass가 떨어지지 않도록 증류수를 약간 넣어준다. 현미경으로 효모를 관찰한다.
3. Result & discussion
막걸리에서 효모를 분리하기 위해 YM agar위에 획선평판도말을 하였다. 그 결과 왼쪽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실험에서 3차 접종을 하였는데 2차 접종 한 부분에 첫 시작에서는 미생물들이 많이 자라고 있지만 점점 접종지점에서 멀어짐에 따라 미생물의 수가 줄어들면서 single colony가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 3차접 종에서는 2차 접종보다 미생물의 수가 현저히 줄어든 게 보이고 streaking의 마지막부분은 거의 희석되어서 미생물이 자라지 않았다.
획선평판도말을 통해 생긴 single colony 를 따서 검경을 하였다. 처음 알코올램프에 slide glass를 가볍게 왔다 갔다 하면서 물기를 없애는 과정에서 너무 불에 가까이 대고 오랫동안 효모를 고정시켜서 그랬는데 검경할 때 효모가 타서 잘 검게 보였다. 그래서 두 번째 검경할 때는 조심해서 알코올램프에 고정을 시켰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효모의 출아하고 있는 모습이 보였다. 우리가 이론 시간에 배운 모세포와 낭세포을 검경을 통해 볼 수 있었다. 효모는 박테리아보다 그 크기가 크다더니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그 사실을 입증하였다. 지금까지 관찰해 왔던 박테리아와 비교해 그 크기가 현저하게 차이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 그 형태가 동그란 난형인 것이 귀여워 보였다. 효모의 bud scar에 따라 출아한 정도를 판단 할 수 있다고 했는데 검경을 통해서 bud scar를 확인 할 수 없어서 조금 아쉬웠다.
검경한 사진의 효모는 Saccharomyces속인 것으로 추정된다. Saccharomyces속은 구형,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다극출아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알콜 발효력이 강한 것이 많고 주류나 빵의 제조 등에 이용된다. 우리가 검경한 효모는 Saccharomyces속중에서도 대표종인 Saccharomyces cerevisiae으로 추정된다. Saccharomyces cerevisiae은 주로 포도주, 맥주, 청주, 탁주, 알콜, 빵의 제조에 이용되는 효모이다.
식품미생물학 실험은 무엇보다도 우리가 평소에 무심코 먹었던 식품에 대해 실험과 실험 후 조사를 통해서 그 식품 속에 들어있는 미생물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어서 다른 이론 수업에 비해 뜻 깊은 것 같다. 수업해 주신 교수님, 실험설명해 주시고 도와주신 조교님 감사합니다.
4. Reference
http://ko.wikipedia.org/wiki/%ED%9A%A8%EB%AA%A8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masterno=174466&contentno=174466
http://www.koreawine.co.kr/
www.mips.biochem.mpg.de/proj/yeast/info/intro.html
강춘기 외 6명, 식품미생물학, 2005, 지구문화사, p36~48
박헌국 외 5명, 식품미생물학, 2004 , 문운당, p75~85
하덕모, 식품미생물학, 2003, 신광출판사, p50~69, 217~221
방병호 외 7명, 식품 미생물학 실험, 1999, 진로연구사, p123~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