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ntilator (인공호흡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Ventilator (인공호흡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한다.
- 인공호흡기, 가습기, 필터를 규칙적으로 소독하여 교환한다.(매 5일마다.)
- 인공호흡기 기계는 매일 소독제로 닦아 청결을 유지한다.
- 합병증을 관찰한다.
- Ambu bag, 산소마스크, 구강기도 등을 침상 가에 늘 준비한다.
2) 정서적 간호
- 환자의 불안에 대해서 변화가 있을 때 설명을 해주고, 행해질 모니터와 관찰사항을 설명해 준다.
-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안전장치와 경보기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
- 의사소통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한다.
- 수면장애, 시청각 자극으로 인한 계속적인 감각장애 등으로 환자는 심각한 행동장애를 일으킬 수 있 다.
- 창문, 시계, 큰 달력 등은 환자가 지남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지지체계를 이용하고, 환자가 현재 필요한 간호를 제공받고 있다는 확신감을 환자에게 주어야 한다.
- 희망을 증진시키고 독립심을 유발하기 위해 간호에 환자의 참여를 격려한다.
(5) Ventilator 대상자 합병증
1) 기관튜브 합병증
- 장기간 기관튜브 삽입하면, 후두손상, 심각한 위장관 팽만
- 오른쪽 기관지에 기관튜브가 삽입된 경우에는 폐포과환기, 무기폐, 기흉 등 초래.
2) 감염
- 저항력이 떨어져 감염되기 쉽다.
- 모든 기구는 24시간마다 교환 (위험요소-가습치료: 그람음성 박테리아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번 식을 잘함.)
3) 압력으로 인한 폐손상
- 계속해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게 되면 폐에 양압이 가해져 기흉이 올 수 있다.
- 기흉초래현상→ ball-valving현상: 흡기때 들어 온 가스가 호기때 배출되지 못하는 현상.
4) 저혈압
- 인공호흡기는 양압으로 폐를 팽창시키므로 흉곽 내에 압력이 생기고 상하대정맥에서의 혈액 흐름이 감소하여 심장으로의 정맥혈 귀환이 저하되어 심박출량도 감소한다.
- 저혈량이나 PEEP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저혈압이 심해질 수 있음.
5) 이밖에 ,혈액학적 불안정, 산 염기 장애, 체액과다, 위장관 출혈, 황달, 영양결핍,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문제 등이 있음.
(6) Ventilator 제거기준
① 흡기력(inspiratory force) 최소 -20㎝H2O
② 일회호흡량(Tidal volume) 〉 5㎖/㎏
③ 폐활량(Vital capacity) 〉 10-15㎖/㎏
④ 호흡수(Raspiration) 12회/분~20회/분
⑤ 호기력(Expiratory force) 〉+60㎝H2O
⑥ 안정시 분당 환기량 〉10L/min
⑦ 동맥혈 탄산가스 분압(PaCO₂) 35-45㎜Hg
⑧ 동맥혈 산소분압(PaO₂) 60%이상(FiO₂40%이하 사용시)
⑨ 1회 호흡량에 대한 사강 0.55- 0.60
⑩ 100% 산소에서 동맥혈 산소분압 〉300㎜Hg
⑪ 혼입(shunt fraction) 〈15%
⑫ 안정된 활력징후
※ 참고 문헌
전시자 외 공저(2000), 성인간호학 상(2), 현문사, p 982~989
www.pemed,com , 구글 (사진)
네이버 블로그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9.16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9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