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 (환아, 가족, 환경 등)을 설명하고, 중환아실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태도 및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또한 중환아실 아동의 정서적 요구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 (환아, 가족, 환경 등)을 설명하고, 중환아실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태도 및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또한 중환아실 아동의 정서적 요구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 (환아, 가족, 환경 등)을 설명하고, 중환아실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태도 및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또한 중환아실 아동의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를 다각도로 세워보시오 (15점).
1) 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
가. 환아
나. 가족
다. 환경
2) 중환아실 간호사가 갖추어야할 능력, 태도 및 역할
3) 중환아실 아동의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2. 중환아실에 입원한 아동의 체액균형 유지를 위해 간호사가 확인할 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5점).
1) 정맥 내 주입
2) 위장관 주입
3) 수분소실의 측정
4) 비위관 배출
5) 상처배액체계
6) 흉부도관배액체계
7) 기타 체액소실
3. 영아의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이 성인과 다른 점을 설명하고, 후두경 검사 전 후의 간호중재 계획을 세워 보시오 (5점).
1) 영아의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이 성인과 다른 점
2) 후두경 검사 전 후의 간호중재 계획
4. 아동간호 시 고려해야 할 윤리적인 문제들과 해결방안 그리고 아동간호사의 역할을 다각도로 설명하시오 (5점).
1) 아동간호 시 고려해야 할 윤리적인 문제들과 해결방안
2) 아동간호사의 역할을 다각도로 설명

Ⅲ. 결론

본문내용

아를 안심시키고, 환아가 지남력을 갖도록 도와준다.
환아에 대한 정서적 지지의 궁극적 목적은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며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부모나 돌보는 사람과의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이며, 환아가 생리적 기능을 회복하고 이 모든 경험과 관련된 불안을 해소하는 것이다.
중환아실 간호사는 환아의 존엄성을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환아의 신체상태를 관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불필요한 노출로부터 환아를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다. 마지막으로 밤에는 환아의 수면이 방해받지 않도록 간호를 계획하여 낮 동안 직면했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중환아실에 입원한 아동의 체액균형 유지를 위해 간호사가 확인할 사항에 대해 설명 하시오.
1) 체액균형유지
(1) 정맥 내 주입
중환아실 안의 거의 모든 환아는 수액공급과 투약을 위해 정맥주입을 필요로 하며, 수액의 주입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수액용 펌프가 사용된다.
환아마다 정맥의 삽입 부위, 수액이 성분, 추가된 투약내용과 수액주입속도의 변경시간이나 펌프의 사용중단시간 등을 기록한다. 또한 수액병이나 도관의 상태, 수액주입속도와 주입량은 과실이 없도록 시간마다 확인하여야 한다. 아동의 팔이나 다리의 삽입 부위가 잘 보존될 수 있도록 고정하되, 투명한 테이프를 사용하여 삽입 부위가 보이도록 함으로써 수액의 조직 내 침윤을 조기발견하도록 한다. 간호사는 수액유지량을 계산하여 환아에게 주입도리 표준수액량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 24시간 동안의 수분 유지 요구량
체중(kg)
수분 요구량
10 이하
100mL/kg
10 이상~20 미만
1,000mL/10kg + 50mL/kg(10kg 초과체중)
20 이상
1,500mL/20kg + 20mL/kg(20kg 초과체중)
출처 : 안효섭(2007), 소아과학 (제9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위장관 주입
위장관으로 직접 수액을 주입하거나 영양분을 안전하게 주입하기 위해서는 다음 몇 가지 기준이 충족되어야 한다.
① 아동의 장관이 잘 기능하고 있어야 한다. 영아가 수유를 시작하면 2~4시간마다 복위를 측정하여 복부팽만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며 계속하여 장음을 모니터하고 복통, 불편함을 확인한다.
② 호흡기능이 안정되어 있어야 한다. 호흡장애 시 위팽창이 폐 확장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먹이는 것을 금한다.
③ 환아가 기민하고 반응이 좋으며 활력이 충분하고 기침, 구역반사로 기도 보호가 가능할 경우에는 구강섭취가 가능하다. 구강을 통한 아동의 에너지 섭취량은 면밀한 간호사정에 의해 결정한다.
(3) 수분소실의 측정
소변배출은 기저귀의 무게측정을 이용하거나 소변채취용 비닐봉지 또는 도뇨관을 통해 배출된 양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영아의 소변량이 충분하고 설사를 하지 않을 때에는 기저귀가 젖기 전과 후의 무게를 재서 그 양을 측정하며, 젖은 기저귀에서 주사기로 소변을 뽑아 소변의 비중, pH, 요당 등을 측정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환아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소변의 성분을 검사할 수 있는 용이한 방법이다. 소변배출은 정상적으로 1mL/kg/시간이며, 그 미만일 경우에는 주치의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4) 비위관 배출
비위관은 2시간마다 관의 구경이 막히지 않도록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주고 기도흡인, 과호흡 후에는 흡인해 주어야 한다. 도관 삽입 후 도관이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하며 비위관을 통한 투약 전·후에 복부팽만 여부를 관찰한다. 딱딱한 도관일 경우는 위점막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2일마다 교환한다.
(5) 상처배액체계
간호사는 상처배액양상에서 벗어나 이상현상이 나타나면 즉시 주치의에게 알려야 한다. 수술 후 6시간 경과 후에 선홍색의 출혈이 있다면 교정이 필요하며, 수술 후의 출혈은 아동의 총 혈액량(75~85mL/kg), 말초관류, 소변배출량, 혈색소 등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한다.
(6) 흉부도관배액체계
흉부도관배액체계에서는 음압을 유지하여 흉곽 내로 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주의하고, 동시에 도관이 응혈로 인하거나 꼬여서 막히지 않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배액병을 환아의 흉부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하여 배액이 유지되도록 한다.
(7) 기타 체액소실
검사를 위한 혈액채취 역시 환아의 체액소실로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특히 체중 10kg 미만아의 혈액채취량은 수액배출량 기록 부분에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
혈액소실 예방법: 첫째 정맥주입관에서 수액과 함께 뽑았던 혈액은 혈액채취후 재주입, 둘째 현미경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적은 혈액으로 혈액분석을 시도한다면 매일매일의 혈액소실을 상당량 줄일 수 있다.
3. 영아의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이 성인과 다른 점을 설명하고, 후두경 검사 전 후의 간호중재 계획을 세워 보시오.
1) 영아의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이 성인과 다른 점
신생아기와 영아기에는 폐포낭의 깊이가 얕아 공기는 통과하나 가스교환은 일어나지 않는 사강(dead air space)이 많다. 또 유아기 이후의 아동보다 비례적으로 폐내로 들어갔다 나오는 공기의 양이 더 많다. 그런 이유로 영아의 호흡빈도는 잦다. 출생 후에는 폐포의 수와 모세기관지의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폐의 성장이 급속히 이루어진다. 성인 폐포의 표면적과 폐의 무게는 신생아의 20배이다. 따라서 연령이 증가하고 폐용적이 증가함에 따라 호흡빈다고 점차 느려진다. 상기도의 특징을 보면 후두가 성인에 비해 상바에 있으며, 성대가 2번째 흉추에서 4번째 흉추 사이에 위치하여 잘 보이지 않는다. 후두개는 길고 뻗뻗하여 후두경으로 잘 젖혀지지 않으며, 성대와 후두개가 이루는 각이 성인에 배해 더 예각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신생아에게 후두경을 사용할 경우에는 곧은 것을 사용해서 후두개 자체를 짖접 들어야만 성대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윤상연골에 의해 기관 부위가 좁아져 있어서 신생아의 상기도 중 가장 좁은 부위를 이룬다. 성대 하부의 섬모원주상피는 소성조직에 의해 약하게 붙어 있기 때문에 부종이 잘 생긴다.
일반적으로 상기도는 5세까지 길이 및 구경이 증가하나 하부기도는 그 성장이 5세 이후에나 이루어지므로 5세 미만의 아동에게 호흡기감염이 있을 때 마취를 하는 것은 위험하다. 영아나 아동은 인후,
  • 가격3,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8.11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3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