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문헌고찰
황달-광선치료,약물요법,교환수혈
태아수신증
신생아패혈증
간호사정
-진단검사
-생화학검사
-투약
-간호과정
1. 광선치료와 관련된 손상위험성
2. 잠재된 환아의 질환 및 병원 환경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문헌고찰
황달-광선치료,약물요법,교환수혈
태아수신증
신생아패혈증
간호사정
-진단검사
-생화학검사
-투약
-간호과정
1. 광선치료와 관련된 손상위험성
2. 잠재된 환아의 질환 및 병원 환경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본문내용
요법시 기저귀만 채워 광선아래 눕혔다.
6. 2시간마다 선생님이 대상자의 체 위를 변경하는 것을 관찰하고 도왔다.
7. 매 시간마다 광선이 꺼지거나 약 해지지는 않았는지 확인하였다.
8. 광선요법 중 1시간마다 대상자는 안대를 착용중임을 사정하였다.
9. 간호사 선생님께서 대상자의 안대를 1일 1회 가는 것을 관찰하였다.
10 처방된 수액 (Dextrose 10%)을 정맥주입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1. 수유시간 마다 광선치료를 중단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2. 광선치료 중단 시 또는 수유 시에는 안대를 제거하여 시각적 자극을 주었다.
1.2008년 6월 4일 대상자의 빌리루빈 수치가 4.9㎎/㎗로 정상범위는 아니었지만 감소하였다.
2. 대상자는 광선요법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보이지 않았다.
3. 대상자는 광선요법으로 인한 안구손상을 보이지 않았다.
4. 대상자는 입원 시보다는 높은 체온을 보였지만 정상범위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다.
5. 대상자는 황달증상이 완하 되어 2008년 6월 4일 4pm 광선요법을 종료하였다.
#2. 잠재된 환아의 질환 및 병원 환경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객관적 자료>
1. 6/2 현재 환아는 R/O sepsis를 진단받고 있다.
2. 6월 3일, 눈가의 분비물은 누런 색을 띔.
3. 현재 환아가 있는 곳은 NICU 03방으로 같은 공간에 sepsis로 입원한 환아가 다수 있다.
4. 28일 혈액검사에서 WBC 14660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5. 28일 혈액검사 결과 CRP는 0.04로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6. 29일 소화기 배양검사와, 30일 비뇨기, 생식기 배양검사를 하여 아직 그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장기목표>
환아는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1. 환아의 눈 부비물의 색은 누런 색을 띄지 않을 것이다.
2. 환아의 WBC 및 CRP 수치는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3. 환아는 sepsis 진단을 받지 않는다.
<진단적 측면>
1. 매 4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2. 감염의 징후(발열,불안정,눈꼽)가 있는지 사 정한다.
3. 환아의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치료적 측면>
4. 대상자를 다루기 전후에 철저한 손씻기를 시행한다.
5. 대상자와 접촉하는 모든 기구는 깨끗하고 무균적으로 유지한다.
6. 감염이 되는 병을 가진 다른 영아와 격리한다.
7. 개별물품을 사용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8. 환아가 현재 지내고 있는 보육기를 청결히 유지한다.
9. 매일 제대부위간호, 눈간호를 실시한다.
10.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1.감염의 1차적인 증상은 고체온증이다.(기본간호학 상)
2.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4.시술자의 손을 통해서 많은 세균과 미생물이 환아에게 전달된다.
(기본간호학 상)
5.감염력이 낮기 때문에 감염병을 가진 환아와 격리시켜야 한다.
(아동간호학 2)
8.보육기를 통해서 외부 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받고, 자극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아동간호학 2)
9.제대, 눈, 구강은 감염
이 일어나기 쉽다.
(아동간호학 2)
10. 항생제는 세균의 발육을 억제, 세균을 사멸시킴으로서 감염을 치료, 완하한다. (기본간호학 상)
1. 매 4시간마다 V/S 측정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2. V/S을 측정할 때마다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 사정하였다.
3. 4일 혈액검사 결과 WBC 7890, CRP 0.01로 측정되었다.
4. 대상자를 다루기 전후에 꼭 손을 씻고 소독액을 사용하였으며, 필요시 poly glove를 사용하였다.
5. IV부위를 통해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무균법을 적용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6. 감염병을 가진 환아와 다른 방으로 격리되어 있었다.
7. 체온계, 오일 등 등 환아의 물품이 개별 사용하도록 되는 것을 관찰 하였다.
8. 보육기 외부는 이틀에 한 번 정도 hycrod-S 라는 소독액을 뿌려 닦았다.
9. 매duty마다 거즈에 생리식염수를 적셔서 눈을 닦아주었다.
10. 하루에1회 제대가 떨어진 부위를 알코올로 소독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1. 의사에 처방에 따라 netilmycin(하루에 3회) rukasyn(하루에 3번)을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 6월 4일 환아의 눈에서 누런 분비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2. 6월 4일 혈액검사 결과 WBC 7890, CRP 0.01로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3. 6월 5일 배양검사의 결과 아무런 박테리아도 발견되지 않음으로써 환아는 최종적으로 R/O sepsis 진단이 철회되었다.
Ⅷ. 결론
6월 2일 ~ 6월 7일 일주일동안 부산 백 병원 NICU 실습을 무사히 끝마쳤다. 처음에 인큐베이터에 있는 아기들을 봤을 때는 마냥 신기하기만 했다. 대부분 미숙아가 많았기 때문에 너무 작았고 숨을 쉬기조차 버거워보지만 하루하루 숨 쉬고 살아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분유를 먹기 위해 그 작은 아기들이 용쓰면서 젖병을 빠는 것도 너무 신기했다. 작은 생명이기에 더 크게 느껴졌었다. 내 케이스 환아는 미숙아는 아니었지만jaundice, hydronephrosis, R/O sepsis을 진단받은 환아 였다. 선생님들이 그 환아를 어떻게 다루고 간호하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관찰하였으며 또 나름대로 성인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공부 하였다.
NICU 실습을 하면서 아쉬웠던 점은 케이스가 다양하지 않고 대부분이 미숙아 아니면 황달 치료를 받는 환아들 뿐이었던 점이다. 물론 기형의 아기들이 없다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우리가 이번 실습을 하기 일주일 전만해도 우리가 배운 토순이랑 구개파열이 있는 환아도 있다고 했었는데 우리가 실습하기 전에 퇴원해버려 관찰할 수 없어 아쉬웠다. 또 NICU 1,2번방은 정말 중환아들이 있는 방인데 그 방은 observation도 못하게 해서 아쉬웠다. 선생님들이 투약을 하고 또 어떤 간호를 하는지 관찰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참고 문헌>
홍창의 (2001), 소아과학.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조결자 외 (2000), 아동간호학 Ⅰ,Ⅱ권. 현문사
유해영 (2004), 최신 임상간호매뉴얼 Ⅰ, 현문사.
김명자 외 (2005), 최신기본간호학, 현문사.
6. 2시간마다 선생님이 대상자의 체 위를 변경하는 것을 관찰하고 도왔다.
7. 매 시간마다 광선이 꺼지거나 약 해지지는 않았는지 확인하였다.
8. 광선요법 중 1시간마다 대상자는 안대를 착용중임을 사정하였다.
9. 간호사 선생님께서 대상자의 안대를 1일 1회 가는 것을 관찰하였다.
10 처방된 수액 (Dextrose 10%)을 정맥주입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1. 수유시간 마다 광선치료를 중단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2. 광선치료 중단 시 또는 수유 시에는 안대를 제거하여 시각적 자극을 주었다.
1.2008년 6월 4일 대상자의 빌리루빈 수치가 4.9㎎/㎗로 정상범위는 아니었지만 감소하였다.
2. 대상자는 광선요법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보이지 않았다.
3. 대상자는 광선요법으로 인한 안구손상을 보이지 않았다.
4. 대상자는 입원 시보다는 높은 체온을 보였지만 정상범위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다.
5. 대상자는 황달증상이 완하 되어 2008년 6월 4일 4pm 광선요법을 종료하였다.
#2. 잠재된 환아의 질환 및 병원 환경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객관적 자료>
1. 6/2 현재 환아는 R/O sepsis를 진단받고 있다.
2. 6월 3일, 눈가의 분비물은 누런 색을 띔.
3. 현재 환아가 있는 곳은 NICU 03방으로 같은 공간에 sepsis로 입원한 환아가 다수 있다.
4. 28일 혈액검사에서 WBC 14660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5. 28일 혈액검사 결과 CRP는 0.04로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6. 29일 소화기 배양검사와, 30일 비뇨기, 생식기 배양검사를 하여 아직 그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장기목표>
환아는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1. 환아의 눈 부비물의 색은 누런 색을 띄지 않을 것이다.
2. 환아의 WBC 및 CRP 수치는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3. 환아는 sepsis 진단을 받지 않는다.
<진단적 측면>
1. 매 4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2. 감염의 징후(발열,불안정,눈꼽)가 있는지 사 정한다.
3. 환아의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치료적 측면>
4. 대상자를 다루기 전후에 철저한 손씻기를 시행한다.
5. 대상자와 접촉하는 모든 기구는 깨끗하고 무균적으로 유지한다.
6. 감염이 되는 병을 가진 다른 영아와 격리한다.
7. 개별물품을 사용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8. 환아가 현재 지내고 있는 보육기를 청결히 유지한다.
9. 매일 제대부위간호, 눈간호를 실시한다.
10.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1.감염의 1차적인 증상은 고체온증이다.(기본간호학 상)
2.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4.시술자의 손을 통해서 많은 세균과 미생물이 환아에게 전달된다.
(기본간호학 상)
5.감염력이 낮기 때문에 감염병을 가진 환아와 격리시켜야 한다.
(아동간호학 2)
8.보육기를 통해서 외부 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받고, 자극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아동간호학 2)
9.제대, 눈, 구강은 감염
이 일어나기 쉽다.
(아동간호학 2)
10. 항생제는 세균의 발육을 억제, 세균을 사멸시킴으로서 감염을 치료, 완하한다. (기본간호학 상)
1. 매 4시간마다 V/S 측정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2. V/S을 측정할 때마다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 사정하였다.
3. 4일 혈액검사 결과 WBC 7890, CRP 0.01로 측정되었다.
4. 대상자를 다루기 전후에 꼭 손을 씻고 소독액을 사용하였으며, 필요시 poly glove를 사용하였다.
5. IV부위를 통해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무균법을 적용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6. 감염병을 가진 환아와 다른 방으로 격리되어 있었다.
7. 체온계, 오일 등 등 환아의 물품이 개별 사용하도록 되는 것을 관찰 하였다.
8. 보육기 외부는 이틀에 한 번 정도 hycrod-S 라는 소독액을 뿌려 닦았다.
9. 매duty마다 거즈에 생리식염수를 적셔서 눈을 닦아주었다.
10. 하루에1회 제대가 떨어진 부위를 알코올로 소독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1. 의사에 처방에 따라 netilmycin(하루에 3회) rukasyn(하루에 3번)을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 6월 4일 환아의 눈에서 누런 분비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2. 6월 4일 혈액검사 결과 WBC 7890, CRP 0.01로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3. 6월 5일 배양검사의 결과 아무런 박테리아도 발견되지 않음으로써 환아는 최종적으로 R/O sepsis 진단이 철회되었다.
Ⅷ. 결론
6월 2일 ~ 6월 7일 일주일동안 부산 백 병원 NICU 실습을 무사히 끝마쳤다. 처음에 인큐베이터에 있는 아기들을 봤을 때는 마냥 신기하기만 했다. 대부분 미숙아가 많았기 때문에 너무 작았고 숨을 쉬기조차 버거워보지만 하루하루 숨 쉬고 살아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분유를 먹기 위해 그 작은 아기들이 용쓰면서 젖병을 빠는 것도 너무 신기했다. 작은 생명이기에 더 크게 느껴졌었다. 내 케이스 환아는 미숙아는 아니었지만jaundice, hydronephrosis, R/O sepsis을 진단받은 환아 였다. 선생님들이 그 환아를 어떻게 다루고 간호하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관찰하였으며 또 나름대로 성인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공부 하였다.
NICU 실습을 하면서 아쉬웠던 점은 케이스가 다양하지 않고 대부분이 미숙아 아니면 황달 치료를 받는 환아들 뿐이었던 점이다. 물론 기형의 아기들이 없다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우리가 이번 실습을 하기 일주일 전만해도 우리가 배운 토순이랑 구개파열이 있는 환아도 있다고 했었는데 우리가 실습하기 전에 퇴원해버려 관찰할 수 없어 아쉬웠다. 또 NICU 1,2번방은 정말 중환아들이 있는 방인데 그 방은 observation도 못하게 해서 아쉬웠다. 선생님들이 투약을 하고 또 어떤 간호를 하는지 관찰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참고 문헌>
홍창의 (2001), 소아과학.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조결자 외 (2000), 아동간호학 Ⅰ,Ⅱ권. 현문사
유해영 (2004), 최신 임상간호매뉴얼 Ⅰ, 현문사.
김명자 외 (2005), 최신기본간호학, 현문사.
추천자료
신생아실 케이스스터디
폐암 케이스스터디
재활간호 케이스스터디입니다.
정신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정신분열증)
63병동 케이스스터디 북대
노인실습 케이스스터디(척추관협착증, 쇼그렌증후군)
정신분열병 케이스스터디
디스크환자 케이스스터디+문헌고찰
정신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정신분열증 (SPR ; Schizophrenia)
정신분열병 케이스스터디
정신분열병 케이스스터디
모성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골반염(pelvic inflammatory disease)
정형외과 케이스스터디-Lt. distal radius open fx. c ulna styloid process open fx.
자궁선근종 간호 케이스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