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길이측정과 오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물리]길이측정과 오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목적

2.이론

3.실험방법

4.실험 진행 과정 및 DATA

5.계산 및 오차

6.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002
5×4
종이
(0.085-0.089)²+(0.085-0.089)²+(0.130-0.089)²+(0.070-0.089)²+(0.074-0.089)²≒ 5×4
≒0.011
만원
(0.100-0.107)²+(0.160-0.107)²+(0.080-0.107)²+(0.101-0.107)²+(0.094-0.107)²≒0.014
5×4
100원동전
(1.430-1.440)²+(1.470-1.440)²(+1.425-1.440)²+(1.461-1.440)²+(1.415-1.440)²≒0.011
5×4
칼심
0.070-0.069)²+(0.070-0.069)²+0.080-0.069)²+(0.064-0.069)²+(0.061-0.069)²≒0.004
5×4
4)확률오차=0.6745(신뢰도50%)×표준편차 (단위㎜)
머리카락 0.6745×0.004=0.002689
종이 0.6745×0.021=0.0141645
만원 0.6745×0.028=0.018886
100원동전 0.6745×0.021=0.0141645
칼심 0.6745×0.007=0.0047215
5)보고값=평균값±0.6745×표준편차(신뢰도50%) (단위㎜)
머리카락 0.088±0.6745×0.044≒0.085, 0.091
종이 0.089±0.6745×0.021≒0.075, 0.103
만원 0.107±0.6745×0.028≒ 0.019, 0.126
100원동전 1.440±0.6745×0.021≒1.426, 1.454
칼심 0.069±0.6745×0.007≒0.064, 0.074
6.결과 및 고찰
버니어 캘리퍼로 측정했을 때는 오차가 하나도 생기지 않았다. 따라서, 참값과 거의 동일하게 측정했다고 볼 수 있다.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했을 때는 오차가 생겼는데, 워낙 정밀한 기계이고 힘을 주는 정도가 잴 때마다 달라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체적으로 0저밍 잘 안 맞았거나, 기계자체에 결함이 있어 오차가 생겼을 수도 있다. 만원지폐는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그림부분에서 면의 두께를 달리하는데, 이것으로 인해 어느 부분을 재느냐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질 확률이 높다. 100원 동전도 이와 마찬가지로 두계가 다른 부분이 있을 오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머리카락도 부분에 따라 두께가 다르다.
버니어캘리퍼나 마이크로미터와 같이 정밀한 측정기기로 잴 때는, 힘을 최소한으로 주고 재는 것이 좋고 여러 번 측정해서 평균을 내는 것이 가장 정확한 답을 구하는 방법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9.17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9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