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국사회의 이해] 한류열풍 그 허와 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 본론
한류 열풍의 원인
Ⅰ.분석
한류의 열풍이 우리 사회에 끼치는 영향
한류 열풍의 현주소
Ⅱ. 평가
한류의 전망
한류를 살려내기 위해

4 .맺은 말
한국적 색채 없으면 머잖아 한류 열풍 ‘반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의 인기 가수와 탤런트가 그들의 우상으로 떠올랐다고 많은 언론이 전하고 있다. 심지어 이들 나라의 상당수 청소년은 한국의 인기 연예인처럼 보이기 위해 얼굴을 성형수술 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고, 이런 현상에 힘입어 한류가 대중문화 분야에 그치지 않고 한국식 패션·한국식 요리나 한글 배우기 등의 바람도 불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 유행에 따른 ‘거품’에 불과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많다. 중국 베이징에 상주하는 한국 기업 등의 주재원 77%가 앞으로 길어도 3년안에 한류 열풍이 퇴색할 것으로 전망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최근 조사결과도 이를 잘 말해준다. 한국의 인기 댄스그룹으로 지난 9월 중국에서 공연한 베이비 복스, NRG 등은 성황을 기대하고 2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운동장을 빌렸으나 막상 공연장에는 800여명밖에 찾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인기그룹 HOT, SES, 신화 등을 스타로 만들어낸 데다가 이들을 통해 한국 대중가수들의 한류 열풍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온 것으로 평가받는 공연기획사 대표 이수만씨는 얼마전 사석에서 “2천만 원을 들여 HOT의 음반을 중국 시장에 내놓았으나 사실은 2백만 원밖에 건지지 못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물밀듯이 밀려드는 외국문화를 받아들이기만 하는 수용자 위치를 벗어나 문화 발신자 역할을 하며 우리 나라의 진정한 문화 역량을 발휘하는 계기로 한류 열풍을 장기적으로 살려나가기 위해 문화계 안팎의 차분한 접근과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한 때이다
5. 참고문헌
딴지일보 [한류 그 허와 실]
월간우리문화 김종호 [한류열풍과 우리문화]
한국일보 [박규헌의 논술강좌]

키워드

한류,   중국,   험한류,   허와 실,   열풍
  • 가격1,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9.20
  • 저작시기200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1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