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우리말 속 일본어
2.1. 순일본어
2.2. 일본식 한자어
2.3. 일본식 외래어
3. 종류에 따른 일본어 용례 및 바른 쓰임새
3.1. 순일본어
3.2. 일본식 한자어
3.3. 일본식 외래어
4. 맺음말
*참고문헌
2. 우리말 속 일본어
2.1. 순일본어
2.2. 일본식 한자어
2.3. 일본식 외래어
3. 종류에 따른 일본어 용례 및 바른 쓰임새
3.1. 순일본어
3.2. 일본식 한자어
3.3. 일본식 외래어
4.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최근 생겨난 호프집 브랜드인 ‘조끼조끼’를 들어본 사람이 있을 것이다. 여기서 ‘조끼’ 는 커다란 잔을 뜻하는 영어 ‘jug’에서 나온 말이다. 그냥 ‘저그’라고 하거나 ‘잔’ 으로 해야 옳다. ‘츄리닝’또한 영어 'training'을 일본어로 발음하는 과정에서 변형된 것이다. ‘운동복’ 혹은 ‘연습복’ 으로 바꾸어서 말해야 한다.
4. 맺음말
이상에서는 우리말 속 일본어의 어원에 따른 종류와 그 예 그리고 바른 쓰임새를 살펴보았다. 우리말 속 일본어는 어원에 따라 순일본어, 일본식 한자어, 일본식 외래어 로 나뉘며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올바른 뜻이 아닌 경우가 많다. 일본어를 대체할 우리말이 없다면 할 수 없지만 발음하기도 쉽고, 올바른 의사소통이 가능한 우리말을 씀으로써 국어순화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박숙희, 『반드시 바꿔 써야 할 우리말 속 일본말』, 한울림, 1996.
*목차
1. 머리말
2. 우리말 속 일본어
2.1. 순일본어
2.2. 일본식 한자어
2.3. 일본식 외래어
3. 종류에 따른 일본어 용례 및 바른 쓰임새
3.1. 순일본어
3.2. 일본식 한자어
3.3. 일본식 외래어
4. 맺음말
*참고문헌
4. 맺음말
이상에서는 우리말 속 일본어의 어원에 따른 종류와 그 예 그리고 바른 쓰임새를 살펴보았다. 우리말 속 일본어는 어원에 따라 순일본어, 일본식 한자어, 일본식 외래어 로 나뉘며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올바른 뜻이 아닌 경우가 많다. 일본어를 대체할 우리말이 없다면 할 수 없지만 발음하기도 쉽고, 올바른 의사소통이 가능한 우리말을 씀으로써 국어순화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박숙희, 『반드시 바꿔 써야 할 우리말 속 일본말』, 한울림, 1996.
*목차
1. 머리말
2. 우리말 속 일본어
2.1. 순일본어
2.2. 일본식 한자어
2.3. 일본식 외래어
3. 종류에 따른 일본어 용례 및 바른 쓰임새
3.1. 순일본어
3.2. 일본식 한자어
3.3. 일본식 외래어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