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세미나의 정의
2. 상담심리 세미나의 필요성
3. 세미나의 활용
3. 1 소집단 교육활동으로서의 세미나
3. 2 집단 카운슬링으로서의 합숙세미나
4. 상담심리 세미나의 장단점
5. 그 외 학습법
5.1 워크샵
5.2 마라톤 그룹(marathon group)
[결론 및 제언]
[본론]
1. 세미나의 정의
2. 상담심리 세미나의 필요성
3. 세미나의 활용
3. 1 소집단 교육활동으로서의 세미나
3. 2 집단 카운슬링으로서의 합숙세미나
4. 상담심리 세미나의 장단점
5. 그 외 학습법
5.1 워크샵
5.2 마라톤 그룹(marathon group)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션에서는 그룹 멤버의 상호작용이 깊지 못하기 때문에 성원간에 발생한 갈등과 대립을 해결하지 못한 채 도중에 무산되어버리기도 한다. 그러나 세션의 시간을 연속하여 연장하게 되면, 집단내에서 발생한 갈등을 성원의 성장의 전기로서 활용할 수가 있다. 특히 집중적인 성원간의 깊은 관계는 그들의 방어적인 태도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작용할 수가 있으며, 그 결과 나타나는 자기노출은 또한 성원간의 친밀도를 높여 주게 된다. 일거에 방어적 태도를 제거하려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본래의 자기로 돌아감으로써 퍼스낼리티의 변화를 얻을 수가 있다.
민쓰(E. E. Mintz)에 의하면 "변화란 강요된 노력에 의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자기 자신으로 돌아감으로써 일어난다" 고 보는 게슈탈트요법 (Gestalt therapy)이 강조하는 '현재, 여기' (here and now)에다 초점을 두는 기법으로서 마라톤 그룹의 방법은 발달되어 간다고 보고 있다. 마라톤 그룹의 기법은 단순히 세션의 시간을 길게 한다고 하는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집약적이며 인텐시브한 기법이 도입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워크샵의 또 하나의 형식으로서는 주말의 2일간을 이용하여, 금요일 저녁부터 시작하여 토요일 저녁에 수면을 취하고 나서, 다음 일요일 오전 중에 종합하는 세션을 갖는 '위크엔드 마라톤 엔카운터' (weekend marathon encounter)의 형식이 정착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토요일 오전 근무의 경우에는 토요일 오후나 저녁부터 시작하여 일요일 정오나 오후까지 가지 않고 하룻밤을 철야하여 계속하는 엔카운터 그룹의 형식도 있다.
[결론 및 제언]
위에서 상담심리 세미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세미나의 형식을 지켜가며 상담심리에 대하여 많은 의견을 내고, 또 그것에 대한 명료화를 통하여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상담심리 세미나의 목적이라 할 수 있겠다.
우리 상담심리를 공부하는 영원한 심리학도들은 이런 세미나를 통해 많은 지식을 습득 할 수 있겠지만, 더 많은 지식을 습득하기위한 가장 중요한 것은 평가라고 생각한다. 상담이론이나, 심리용어, 상담사례에 대한 토론을 통해 스스로 도식을 형성하는 동시에, 세미나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이다. 충분한 의견을 내는 것도 좋지만 현재 이 발언이 이 세미나에 있어 흐름을 방해하진 않는지와 같은 실시간평가 있다. 그리고 세미나의 종결부분에 세미나의 처음 주제에 맞게 적절한 토론을 하였는지에 대한 종결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평가는 더 발전된 상담심리 세미나를 구축하기위한 기본이라고 생각한다. 상담자는 상담을 종결함에 있어서도 평가를 한다. 이것은 이 상담이 잘 이루어 졌는지에 대한 것도 있지만, 이 다음의 상담에 있어서는 성숙한 상담을 하기 위해서다. 발전되고 성숙한 상담을 하기위해 평가를 하듯이 상담심리의 발전을 위해 세미나를 하는 것이고, 그 발전을 더욱 도모하기 위해서는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대학기관, 협회 등에서 상담심리에 관한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그런데 정확한 세미나의 형식이 아닌 워크숍과 마라톤그룹과 같은 형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세미나의 의미가 모호해지고 있다. 어떤 모임은 지식 습득이 아닌 자격증취득이나, 이수시간을 채우기 위하여 참여하기도 한다. 주객이 전도 되어 세미나의 참된 의미가 사라져가고 있다. 대학이 대중화 된 것처럼 이것을 처음으로 돌릴 순 없겠지만, 상담심리의 발전을 위해서 세미나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은 세미나를 잘 이해하고 참여해야 한다.
*참고자료
평생교육방법론 / 기영화 / 학지사
상담심리학의 기초이론 전5권 중 제1권 / 정인석 / 대왕사
naver 용어사전
naver 백과사전
민쓰(E. E. Mintz)에 의하면 "변화란 강요된 노력에 의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자기 자신으로 돌아감으로써 일어난다" 고 보는 게슈탈트요법 (Gestalt therapy)이 강조하는 '현재, 여기' (here and now)에다 초점을 두는 기법으로서 마라톤 그룹의 방법은 발달되어 간다고 보고 있다. 마라톤 그룹의 기법은 단순히 세션의 시간을 길게 한다고 하는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집약적이며 인텐시브한 기법이 도입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워크샵의 또 하나의 형식으로서는 주말의 2일간을 이용하여, 금요일 저녁부터 시작하여 토요일 저녁에 수면을 취하고 나서, 다음 일요일 오전 중에 종합하는 세션을 갖는 '위크엔드 마라톤 엔카운터' (weekend marathon encounter)의 형식이 정착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토요일 오전 근무의 경우에는 토요일 오후나 저녁부터 시작하여 일요일 정오나 오후까지 가지 않고 하룻밤을 철야하여 계속하는 엔카운터 그룹의 형식도 있다.
[결론 및 제언]
위에서 상담심리 세미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세미나의 형식을 지켜가며 상담심리에 대하여 많은 의견을 내고, 또 그것에 대한 명료화를 통하여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상담심리 세미나의 목적이라 할 수 있겠다.
우리 상담심리를 공부하는 영원한 심리학도들은 이런 세미나를 통해 많은 지식을 습득 할 수 있겠지만, 더 많은 지식을 습득하기위한 가장 중요한 것은 평가라고 생각한다. 상담이론이나, 심리용어, 상담사례에 대한 토론을 통해 스스로 도식을 형성하는 동시에, 세미나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이다. 충분한 의견을 내는 것도 좋지만 현재 이 발언이 이 세미나에 있어 흐름을 방해하진 않는지와 같은 실시간평가 있다. 그리고 세미나의 종결부분에 세미나의 처음 주제에 맞게 적절한 토론을 하였는지에 대한 종결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평가는 더 발전된 상담심리 세미나를 구축하기위한 기본이라고 생각한다. 상담자는 상담을 종결함에 있어서도 평가를 한다. 이것은 이 상담이 잘 이루어 졌는지에 대한 것도 있지만, 이 다음의 상담에 있어서는 성숙한 상담을 하기 위해서다. 발전되고 성숙한 상담을 하기위해 평가를 하듯이 상담심리의 발전을 위해 세미나를 하는 것이고, 그 발전을 더욱 도모하기 위해서는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대학기관, 협회 등에서 상담심리에 관한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그런데 정확한 세미나의 형식이 아닌 워크숍과 마라톤그룹과 같은 형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세미나의 의미가 모호해지고 있다. 어떤 모임은 지식 습득이 아닌 자격증취득이나, 이수시간을 채우기 위하여 참여하기도 한다. 주객이 전도 되어 세미나의 참된 의미가 사라져가고 있다. 대학이 대중화 된 것처럼 이것을 처음으로 돌릴 순 없겠지만, 상담심리의 발전을 위해서 세미나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은 세미나를 잘 이해하고 참여해야 한다.
*참고자료
평생교육방법론 / 기영화 / 학지사
상담심리학의 기초이론 전5권 중 제1권 / 정인석 / 대왕사
naver 용어사전
naver 백과사전
추천자료
[상담심리학] 상담의 기본 요소 요약 및 느낌 정리
[상담심리학] 상담에 대한 분석
사회복지사와 심리상담가(임상심리상담 등)과 정신과의사의 역할구분
[상담심리학]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측면의 교육심리학적 분석
사회복지사와 심리상담가(임상심리상담 등)과 정신과의사의 역할구분
[심리상담] 상담자의 인간적 자질에 관해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사1.2급 시험] 정리정신병리(발달심리)정리
2015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2015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상담심리학] 현대사회에서 상담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현대사회]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을 자신의 의견도 넣어서 기술하시오.
미술심리)미술심리상담사에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상담심리학] 상담자는 전문적 자질과 인간적 자질 모두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인간적 자질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