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양윤리학과 동양윤리학
2. 고대 그리스 윤리학
3. 그리스 로마 윤리학
4. 중세 기독교 윤리학
5. 근대 윤리학
2. 고대 그리스 윤리학
3. 그리스 로마 윤리학
4. 중세 기독교 윤리학
5. 근대 윤리학
본문내용
발생시켜 자기부정으로 결과된다는것이다.
두번째, 선택은 윤리적 실존다.
하이데거는 실존철한의 방법을 현상학-존재의 구조를 밝히고자 하는 학파-에서 찾았고 이성을 존중하는 전통적 진리관을 부정하고 이상보다 기분을 중시했다. 그는 키에르케고르로부터 불안의 개념을 이어받았는데, 불안으로 가득찬 인간의 표면적 생활 태도는 본래의 모습과 다르다는 것이다. 디 때의 불안은 죽음과 무에 대한 불안으로서 자기상실의 상태라고 풀이된다. 결국 배려와 근심을 통해 본래적 생활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이 하이데거의 실존주의이다.
2) 실용주의 윤리학
실용주의의 근본 뜻은 지적 행위이다.
듀이는 인간의 본성을 습관, 충동, 지성, 으로 보고 세 가지를 총괄한 것이 이성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성에 대해서는 관심을 표명하지 않고, 세 가지에만 주력했다. 습관은 사회적 환경을 내면화시킨 행위는 동기라는 것이다. 습관이 요구와 결합되면 강력한 추진력을 얻게 된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듀이의 특이산 설명은 스보간이 과거의 반복적 행위가 아니라 창조적 성격을 띠며 미래지향적인 것으로서 항상 개선되고 별화된다는 점이다.
듀이는 선을 경험적 직관의 내용으로 삼고 여러가지 나쁜 습관을 개선하려고 노력했는데 그 방법이 능력 경향성 또는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인간이 만족하면 행복해진다고 듀이는 생각했던 것이다. 이 때 만족은 반드시 노력에 대한 결과이며 행복은 정신적 결과에 있는 것이아니라 사회적 개선의 과정에서 눈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듀이의 행복은 개일의 행복보다 사회적 발전을 전제로 한 공리주의적 행복이었다고 평가된다.
두번째, 선택은 윤리적 실존다.
하이데거는 실존철한의 방법을 현상학-존재의 구조를 밝히고자 하는 학파-에서 찾았고 이성을 존중하는 전통적 진리관을 부정하고 이상보다 기분을 중시했다. 그는 키에르케고르로부터 불안의 개념을 이어받았는데, 불안으로 가득찬 인간의 표면적 생활 태도는 본래의 모습과 다르다는 것이다. 디 때의 불안은 죽음과 무에 대한 불안으로서 자기상실의 상태라고 풀이된다. 결국 배려와 근심을 통해 본래적 생활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이 하이데거의 실존주의이다.
2) 실용주의 윤리학
실용주의의 근본 뜻은 지적 행위이다.
듀이는 인간의 본성을 습관, 충동, 지성, 으로 보고 세 가지를 총괄한 것이 이성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성에 대해서는 관심을 표명하지 않고, 세 가지에만 주력했다. 습관은 사회적 환경을 내면화시킨 행위는 동기라는 것이다. 습관이 요구와 결합되면 강력한 추진력을 얻게 된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듀이의 특이산 설명은 스보간이 과거의 반복적 행위가 아니라 창조적 성격을 띠며 미래지향적인 것으로서 항상 개선되고 별화된다는 점이다.
듀이는 선을 경험적 직관의 내용으로 삼고 여러가지 나쁜 습관을 개선하려고 노력했는데 그 방법이 능력 경향성 또는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인간이 만족하면 행복해진다고 듀이는 생각했던 것이다. 이 때 만족은 반드시 노력에 대한 결과이며 행복은 정신적 결과에 있는 것이아니라 사회적 개선의 과정에서 눈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듀이의 행복은 개일의 행복보다 사회적 발전을 전제로 한 공리주의적 행복이었다고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