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시타 전기의 중국 진출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중국 시장의 전반적인 전자산업 환경』
『마쓰시타 전기산업 주식회사 (松下電器産業株式會社,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소개』
『마쓰시타 전기의 중국시장 진입』
『마쓰시타 전기의 중국시장에서의 위기』
『현지화 전략을 통한 재도약』
『마쓰시타 전기의 현 상황과 향후계획』

본문내용

면서 ‘송하전기연구개발중국유한공사(CMRD)'를 설립하였고, 중국정부의 과학기술 입국화 정책에 부응하는 한편 본사가 개발한 제품을 조속히 현지 시장에 적응시키기 위해 현지 연구개발 활동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목적 때문에 마쓰시타의 중국 R&D조직은 연구소와 센터로 구별되는데, 연구소는 글로벌한 제품개발에 집중하고, 센터는 현지에서의 기술응용과 제품개발에 주력한다.
『마쓰시타 전기의 현 상황과 향후계획』
마쓰시타는 PDP TV의 판매에 주력하여 고기능 제품에서 중국이나 한국기업에 패배하지 않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으며, 중국 현지법인의 최고경영진의 대부분을 중국인으로 하여 경영의 현지화를 추진하고 싶어 한다. 그리고 내륙지역에 대한 판매활동에 한층 주력할 생각이며, 가전 양판점에 마쓰시타의 판매사원을 파견하여 판매의 최일선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등 판매의 최일선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광대한 중국에서는 물류망의 효율화를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지역총괄회사와 물류관련 자회사가 중심이 되어 각 공장이나 사업소를 통합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중이다.
마쓰시타는 계열사인 마쓰시타 전공과의 협력으로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기에 중국에서도 서로 협력하여 가전제품의 판매활동을 통합하고, 양사의 강점을 합쳐서 개인주택, 맨션, 빌딩 등의 전기설비나 가전을 일괄적으로 설치하는 제품 판매서비스를 추진해 나가고 있으며, 중국의 대형 가전 업체인 TCL(The Creative Life)와도 협력하고 있다. 마쓰시타의 중국 매출액은 2004년에 약 6,700억엔으로 전년대비 25%의 증가를 보였었고, 2006년엔 7,670억엔이였으며, 연간 조달액이 약 6,000억엔이며 현지 조달비율도 60%에 달한다.
가전은 그 나라의 생활습관에 근거하지 않으면 절대로 팔리지 않기 때문에 마쓰시타는 상해에 ‘중국생활연구센터’를 개설하고 중국의 생활이나 문화에 맞는 제품을 연구하고 있으며, 중국을 세계적인 개발 거점지역으로 육성하려 하고 있다.
『참고자료』
삼성경제연구소(www.seri.org)-『세계 전자 기업들의 중국전략 분석과 시사점』
LG경제연구원(www.lgeri.com)-『일본의 공세, 신흥시장이 흔들린다』
아시아경제(www.asiaeconomy.co.kr)-『日마쓰시타, 중국서 회사명 변경 안해』
2008.04.23
한국경제(www.hankyung.com)-『중국의 진짜 친구가 돼라』2008.05.20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0.01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