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환경디자인의 중요성
Ⅲ. 실내디자인의 의의
Ⅳ. 실내디자인의 조건
1. 조건
2. 가정의 실내 디자인
3. 교실 디자인
4. 사무실 디자인
Ⅴ. 거실의 실내디자인
1. 거실의 기능
2. 거실의 위치
3. 거실의 규모
4. 거실의 형태
5. 거실의 가구와 배치
6. 거실의 조명 계획
7. 거실의 색채 계획
8. 거실의 마감재료 계획
1) 바닥 재료
2) 벽, 천정 마감 재료
Ⅵ. 침실의 실내디자인
1. 침실의 기능
1) 취침의 장소
2) 수납, 갱의의 장소
3) 작업의 장소
4) 휴식의 장소
2. 침실의 분류
1) 주침실
2) 어린이 침실
3) 노인 침실
3. 침실의 위치
4. 침실의 규모
5. 침실의 조명 계획
6. 침실의 색채 계획
7. 침실의 마감 재료
참고문헌
Ⅱ. 환경디자인의 중요성
Ⅲ. 실내디자인의 의의
Ⅳ. 실내디자인의 조건
1. 조건
2. 가정의 실내 디자인
3. 교실 디자인
4. 사무실 디자인
Ⅴ. 거실의 실내디자인
1. 거실의 기능
2. 거실의 위치
3. 거실의 규모
4. 거실의 형태
5. 거실의 가구와 배치
6. 거실의 조명 계획
7. 거실의 색채 계획
8. 거실의 마감재료 계획
1) 바닥 재료
2) 벽, 천정 마감 재료
Ⅵ. 침실의 실내디자인
1. 침실의 기능
1) 취침의 장소
2) 수납, 갱의의 장소
3) 작업의 장소
4) 휴식의 장소
2. 침실의 분류
1) 주침실
2) 어린이 침실
3) 노인 침실
3. 침실의 위치
4. 침실의 규모
5. 침실의 조명 계획
6. 침실의 색채 계획
7. 침실의 마감 재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능이 부합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1) 취침의 장소
침실은 안락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침구가 필요하다.
2) 수납, 갱의의 장소
침실 사용자의 옷, 소지품, 침구류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의 확보와 계절이나 물품에 따른 사용 빈도, 크기, 형태 등을 고려하여 보관, 정리의 수납이 적절해야 한다.
3) 작업의 장소
서재나 가사 작업실을 별도로 두지 않은 경우 가볍게 책을 읽고 글을 쓰며, 간단한 작업을 위한 공간을 함께 마련할 수 있다.
4) 휴식의 장소
음악을 듣거나 TV를 보거나 술을 마실 수 있는 휴식의 장소, 대화의 장소이며 자기 혼자만의 사색을 즐길 수 있는 개인 생활 공간이기도 하다.
2. 침실의 분류
1) 주침실
주침실은 부부 생활의 중심이 되는 침실로 기밀성과 독립성 및 프라이버시가 크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리고 문의 위치와 개폐 방법에 있어서 침대, 갱의실이 바로 보이지 않도록 한다. 주침실에 화장실, 욕실, 갱의실 등을 부속시켜 전용화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2) 어린이 침실
어린이 침실은 취침, 학습, 놀이의 복합적인 공간으로 성별 취침을 원칙으로 하고 7, 8 세 부터는 별도의 어린이실을 갖도록 한다.
3) 노인 침실
노인 침실은 조용한 곳에서 위치하며, 일조 조건이 좋은 남향에 위치하도록 한다. 세면, 화장실 이용에 불편하지 않도록 욕실을 가까이에 배치한다.
3. 침실의 위치
침실은 독립성이 요구되는 정적인 공간으로 거실, 식당, 부엌 등의 동적인 공간과 분리한다. 특히 프라이버시가 강한 주침실은 가장 내측에 두어 소음과 동선이 복잡한 실과 멀리 떨어지도록 한다. 침실은 일조, 통풍 조건이 가장 좋은 남향 또는 동남향이 유리하나 최소한 1일 1회 일사의 조건을 갖도록 한다.
4. 침실의 규모
침실의 규모는 사용 인원수에 따라 필요한 기적과 활동 면적, 가구의 점유 면적및 수납 공간의 면적 등에 따라 결정된다.
5. 침실의 조명 계획
침실은 휴식 공간이므로 명시성보다는 편안하고 분위기 있는 조명으로 계획한다. 전제적으로 침착하고 부드러운 빛이 되도록 한다. 실내의 색채가 난색계일 때에는 백열등으로 조절하여 더욱 온화한 느낌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나치게 밝은 조명을 피하고 분위기를 위한 커튼 조명, 밸런스 조명 등 간접 조명 방식을 취한다. 일반적으로 나이트 테이블 위에 테이블 램프를 두어 조명 자체와 조명 기구의 장식적인 액세서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한다. 전체 조명은 가능한 간단하며 매력적인 중앙 조명 설비가 좋다.
6. 침실의 색채 계획
침실의 색채는 특별한 원칙이 없고 침실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좌우되므로 개인이 좋아하는 색을 주조색으로 개성있고 안락한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무난한 중성계의 색을 주 조색으로 하고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강조할 수 있는 액센트 색을 적절히 사용한다. 녹색은 창이 많은 침실이나 빛이 잘 드는 침실과 같은 남향의 방에 적합하다. 또한 좁은 침실의 경우 한색 계통으로 약간 밝은 분위기를 주면 침착하면서도 넓은 분위기로 연출이 가능하다. 일조 조건이 나쁜 북쪽의 실의 경우 노랑, 주황색과 같은 밝고 따뜻한 난색 계통을 선택한다. 한색 계통은 침실의 이상적인 색채로 긴장을 완화 시켜 주고 행동을 이완시켜 주며 피곤함을 덜어주고 신선한 안락감을 주며 난색 계통은 여성스럽고 따뜻하며 화려하고 명랑한 분위기를 줄 수 있다.
7. 침실의 마감 재료
침실의 마감 재료는 내구적이고 실용적인 것보다 아름다운 것 , 보기좋은 것, 주인의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촉감은 따뜻하고 부드러운 것이 적합하다. 마감 재료에 있어서 , 천정은 따뜻하고 부드러운 천 벽지나 종이 벽지가 일반적이다. 침실의 벽지는 실제의 형상보다 양식화된 것이 좋다. 바닥은 따뜻하고 푹신한 기분을 주며 소리가 나지 않아야 하므로 카페트가 가장 적절하나 일반적으로 비닐계 시트를 많이 사용한다.
참고문헌
▷ 강민주(1994), 주거실내계획에서 전통성 적용에 관한 분석적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 김문덕(1998.10), IMF시대에서의 실내디자인계의 방향설정, plus
▷ 김연정,이연숙(2001), 동서양 전통적인 주택양식의 실내공간 특성 비교분석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7호
▷ 박태옥(1997), 이현경, 상업공간에 대한 실내디자인 및 계획의 변화와 흐름에 관한 연구, 실내디자인학회논문
▷ 양호일(1995), 환경디자인과 행태, 유림출판사
▷ 최정화(1990), 올로 올로, 인테리어
1) 취침의 장소
침실은 안락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침구가 필요하다.
2) 수납, 갱의의 장소
침실 사용자의 옷, 소지품, 침구류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의 확보와 계절이나 물품에 따른 사용 빈도, 크기, 형태 등을 고려하여 보관, 정리의 수납이 적절해야 한다.
3) 작업의 장소
서재나 가사 작업실을 별도로 두지 않은 경우 가볍게 책을 읽고 글을 쓰며, 간단한 작업을 위한 공간을 함께 마련할 수 있다.
4) 휴식의 장소
음악을 듣거나 TV를 보거나 술을 마실 수 있는 휴식의 장소, 대화의 장소이며 자기 혼자만의 사색을 즐길 수 있는 개인 생활 공간이기도 하다.
2. 침실의 분류
1) 주침실
주침실은 부부 생활의 중심이 되는 침실로 기밀성과 독립성 및 프라이버시가 크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리고 문의 위치와 개폐 방법에 있어서 침대, 갱의실이 바로 보이지 않도록 한다. 주침실에 화장실, 욕실, 갱의실 등을 부속시켜 전용화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2) 어린이 침실
어린이 침실은 취침, 학습, 놀이의 복합적인 공간으로 성별 취침을 원칙으로 하고 7, 8 세 부터는 별도의 어린이실을 갖도록 한다.
3) 노인 침실
노인 침실은 조용한 곳에서 위치하며, 일조 조건이 좋은 남향에 위치하도록 한다. 세면, 화장실 이용에 불편하지 않도록 욕실을 가까이에 배치한다.
3. 침실의 위치
침실은 독립성이 요구되는 정적인 공간으로 거실, 식당, 부엌 등의 동적인 공간과 분리한다. 특히 프라이버시가 강한 주침실은 가장 내측에 두어 소음과 동선이 복잡한 실과 멀리 떨어지도록 한다. 침실은 일조, 통풍 조건이 가장 좋은 남향 또는 동남향이 유리하나 최소한 1일 1회 일사의 조건을 갖도록 한다.
4. 침실의 규모
침실의 규모는 사용 인원수에 따라 필요한 기적과 활동 면적, 가구의 점유 면적및 수납 공간의 면적 등에 따라 결정된다.
5. 침실의 조명 계획
침실은 휴식 공간이므로 명시성보다는 편안하고 분위기 있는 조명으로 계획한다. 전제적으로 침착하고 부드러운 빛이 되도록 한다. 실내의 색채가 난색계일 때에는 백열등으로 조절하여 더욱 온화한 느낌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나치게 밝은 조명을 피하고 분위기를 위한 커튼 조명, 밸런스 조명 등 간접 조명 방식을 취한다. 일반적으로 나이트 테이블 위에 테이블 램프를 두어 조명 자체와 조명 기구의 장식적인 액세서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한다. 전체 조명은 가능한 간단하며 매력적인 중앙 조명 설비가 좋다.
6. 침실의 색채 계획
침실의 색채는 특별한 원칙이 없고 침실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좌우되므로 개인이 좋아하는 색을 주조색으로 개성있고 안락한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무난한 중성계의 색을 주 조색으로 하고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강조할 수 있는 액센트 색을 적절히 사용한다. 녹색은 창이 많은 침실이나 빛이 잘 드는 침실과 같은 남향의 방에 적합하다. 또한 좁은 침실의 경우 한색 계통으로 약간 밝은 분위기를 주면 침착하면서도 넓은 분위기로 연출이 가능하다. 일조 조건이 나쁜 북쪽의 실의 경우 노랑, 주황색과 같은 밝고 따뜻한 난색 계통을 선택한다. 한색 계통은 침실의 이상적인 색채로 긴장을 완화 시켜 주고 행동을 이완시켜 주며 피곤함을 덜어주고 신선한 안락감을 주며 난색 계통은 여성스럽고 따뜻하며 화려하고 명랑한 분위기를 줄 수 있다.
7. 침실의 마감 재료
침실의 마감 재료는 내구적이고 실용적인 것보다 아름다운 것 , 보기좋은 것, 주인의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촉감은 따뜻하고 부드러운 것이 적합하다. 마감 재료에 있어서 , 천정은 따뜻하고 부드러운 천 벽지나 종이 벽지가 일반적이다. 침실의 벽지는 실제의 형상보다 양식화된 것이 좋다. 바닥은 따뜻하고 푹신한 기분을 주며 소리가 나지 않아야 하므로 카페트가 가장 적절하나 일반적으로 비닐계 시트를 많이 사용한다.
참고문헌
▷ 강민주(1994), 주거실내계획에서 전통성 적용에 관한 분석적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 김문덕(1998.10), IMF시대에서의 실내디자인계의 방향설정, plus
▷ 김연정,이연숙(2001), 동서양 전통적인 주택양식의 실내공간 특성 비교분석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7호
▷ 박태옥(1997), 이현경, 상업공간에 대한 실내디자인 및 계획의 변화와 흐름에 관한 연구, 실내디자인학회논문
▷ 양호일(1995), 환경디자인과 행태, 유림출판사
▷ 최정화(1990), 올로 올로, 인테리어
추천자료
의류직물학과(의류학과, 의상디자인,패션디자인)와 수학과의 관계
(저작권법)화상디자인의 디자인보호법상의 보호와 필요성
신서비스개발 서비스설계요소 서비스청사진 프로세스구조를통한전략적포지셔닝 서비스프로세...
[포장][포장산업][포장디자인][농산물 포장 사례][포장(포장산업) 발전방안]포장의 개념, 포...
[의장][화상디자인의 의장등록출원][글자꼴의 의장법보호][상표]의장의 정의, 의장의 등록요...
[환경미술][학교환경미술][환경디자인교육]환경미술의 개념, 환경미술의 연혁, 환경미술의 창...
서비스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 디자인산업을 중심으로 (한국 디자인 산업의 현황).PPT자료
[흐름][디자인][신체형상][현대미술][르네상스][기하학][현대건축]디자인의 흐름, 신체형상의...
[일본경영, 경제발전, 디자인전략, 품질장려상, 지상파방송, 일제시대]일본경영과 경제발전, ...
[가치측정, 정보 가치측정, 디자인 가치측정, 고객행위 가치측정, 인터넷기업, 환경질 개선편...
[기술개발사업]기술개발사업과 나노핵심기반기술, 디자인기반기술, 기술개발사업과 산업디자...
[기업 전략][국제진출전략][디자인전략][구조조정전략][성장전략]기업의 국제진출전략, 기업...
[중소기업지원기관][한국디자인진흥원][중소기업진흥공단]중소기업지원기관 한국디자인진흥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