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꿈의 해석』감상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드러내고 싶지 않은 욕망에 대한 은폐를 통해 드러내지 않겠다는 의도를 충족시키는 또 하나의 역설적인 소망 충족이 가능해진다.
오랜 세월 동안 서양뿐만 아니라 동양에서도 꿈은 신비하고 예언적인 환상으로서 자리해 왔었다. 우리나라에서도 꿈은 특히 옛 문헌 등을 통해 예언적이고 신화적인 기능을 하는 도구로서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어 보면 대표적으로 태조 이성계의 꿈과 같은 것이다. 어느 날, 이성계는 꿈속에서 양을 잡으려고 했는데, 양의 뿔과 꼬리가 떨어져 나가는 바람에 놀라서 꿈을 깨고는 괴이하게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무학을 찾아가 이야기했더니 크게 기뻐하면서 왕이 될 것이라고 해몽했다는 이야기이다. 이와 같은 여러 이야기들을 보면 옛 사람들이 꿈을 통해 희망을 갖기도 불안한 미래를 대비하기도 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프로이트 이후 우리가 꿈에 대해 갖는 이런 생각들은 사라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는 꿈이 더 이상 신비한 것이 아니라 우리 내면에 잠재해 있는 것이 표출된 산물이라는 것을 안다. 그리고 비록 불완전하지만 그것의 이유와 근원도 어느 정도 해석해낼 수 있게 되었다. 물론 프로이트를 통해 현대 정신 분석학에 지대한 발전이 있었고, 그것은 우리에게 꼭 필요하기 때문에 큰 의미가 있다. 그 의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꿈에 대한 신비감이 존재했던 옛날 또한 그리워하는 것이 사람들의 심리인 것 같다.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지나친 욕심일까. 꿈을 해석하는 일은 현대인의 필요를 충족시켜주는 동시에 환상을 앗아갈 수 밖에 없는 일일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0.01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