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사민총론
2.팔도총론
3.복거총론
결론
본론
1.사민총론
2.팔도총론
3.복거총론
결론
본문내용
강을 보며 그 경치에 감탄하고 싶은 것이 아닌 이중환 그가 겪은 고난에서 좌절하지 않고 계속 무언가를 탐구해낸 그러한 정신을 배우고, 살아있는 지리를 피부로 느끼고 싶다. 혼자 가는 것이 다소 억지라면, 함께 가는 답사에서라도 이 책을 접하고 난 뒤 배우는 나의 마음자세와 태도는 다를 것이다.
책에서는 복거를 하는데 있어서 자연 풍수를 무엇보다 중시했다. 지금 우리가 중요시 하는 것은 무엇이겠는가. 우리는 금전적인 요소를 가장 중요시 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자연을 무시한 채 자연을 파괴하면서 입지요건을 찾고 있다. 현재 우리는 자연을 너무 거스르면서 생활하고 있다. 택리지에서 말하는 것처럼 자연 풍수 조건을 고려해 그 속에서 어울려 살아가는 삶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고난을 맞게 되면 좌절부터 하는 우리, 자연을 거스르면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이 시점에서 택리지의 내용을 되새겨 볼 필요성이 있다. 택리지에서 과거와 현재의 지리 뿐 만이 아닌 더 깊은 가치를 배울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현재를 사는 우리 역시 자연과 더불어 자연 속에서,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살아야 할 필요성과 이중환과 같은 좌절하지 않는 자세를 배워야겠다고 느끼며 리포트를 마친다.
책에서는 복거를 하는데 있어서 자연 풍수를 무엇보다 중시했다. 지금 우리가 중요시 하는 것은 무엇이겠는가. 우리는 금전적인 요소를 가장 중요시 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자연을 무시한 채 자연을 파괴하면서 입지요건을 찾고 있다. 현재 우리는 자연을 너무 거스르면서 생활하고 있다. 택리지에서 말하는 것처럼 자연 풍수 조건을 고려해 그 속에서 어울려 살아가는 삶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고난을 맞게 되면 좌절부터 하는 우리, 자연을 거스르면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이 시점에서 택리지의 내용을 되새겨 볼 필요성이 있다. 택리지에서 과거와 현재의 지리 뿐 만이 아닌 더 깊은 가치를 배울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현재를 사는 우리 역시 자연과 더불어 자연 속에서,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살아야 할 필요성과 이중환과 같은 좌절하지 않는 자세를 배워야겠다고 느끼며 리포트를 마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