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을 통해 본 권위가 대화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거침없이 하이킥을>을 통한 실례 분석
1. 부부 사이의 대화
2. 부자 사이의 대화
3. 모자 사이의 대화
4.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의 대화
5. 형제 사이의 대화
6. 연인 사이의 대화

Ⅲ 맺음말

본문내용

못하고 있으며 형인 민호는 동생의 이러한 언어 사용에 익숙한 듯한 모습을 보여 형으로서의 권위가 없음을 드러내고 있다. 즉, 연년생인 형과 동생 사이에서는 학력이나 연령이라는 요소가 크게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6.연인 사이의 대화
남성과 여성의 권위가 대등하게 작용하다가도 연인 사이가 되면서 그 권위에 차등이 생기는 모습도 파악할 수 있었다. 최민용과 서민정은 학교 교사로서 그 사회적 지위가 대등하게 작용했다. 따라서 처음에는 서로 존댓말을 사용한다. 그러나 둘의 사이가 연인으로 발전함에 따라 나이가 많고 남성인 최민용이 나이가 더 적고 여성인 서민정보다 높은 권위를 가지게 되는 모습을 보인다. 먼저 최민용과 서민정이 연인이 되기 전의 언어 사용의 모습을 살펴보기로 한다.
예1)
민용: (버럭)야! 니들 조심 안할래!!? (민정보고) 괜찮으세요?
민정: (얼굴 감싸고) 괜찮아요. 가세요.
민용: 정말 괜찮아요?
민정: (얼굴 감싼채) 코피가 좀 나는거 같애요. 그냥 가세요.
민용: 코피나면 치료를 해야죠. 어디봐요.
민정: (얼굴 감싼채) 괜찮아요. 그냥 가세요. 창피해서 그래요.
민용: 창피하긴..어디봐요
다음으로는 최민용과 서민정이 연인이 된 이후의 언어 사용 모습이다.
예2)
민정: 어깨 좀 펴시죠. 아무리 여자친구가 보고 싶어도 그렇지..
민용: (두리번 거리는)
맞은편 인도에서 민정이 핸드폰 하며 걸어오고 있다. 민용이 쳐다보자 민정, 웃으며 바라본다. 핸드폰으로 대화한다
민용: (어이없어하며) 뭐야?
민정: 도망나왔어요.
민용: 뭐?
민정: 엄마, 아버지 문상 가셨거든요. 10시까지만 들어가면 돼요. 반갑죠?
민용: (웃음이 번지는) 반갑네.
두 대화 장면은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최민용의 경우 연인이 되기 전의 언어사용에서 ‘괜찮으세요?’라는 존댓말을 사용하고 있으며 의문문이 아닌 상황에서도 말 끝마다 ‘-요’를 붙이며 상대에게 공손하게 말하고 있다. 하지만 연인이 된 이후 권위의 측면에서 우위를 차지하면서 의문문에서 ‘뭐야?’,‘뭐?’와 같이 반말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서민정의 경우에는 언어 사용이 부드러워진 것 이외에는 큰 변화가 없이 줄곧 존댓말을 사용하고 있다. 서민정의 언어 사용에서 또 하나 주목 할 점은 ‘엄마 아버지’라고 호칭하고 있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경우 딸이 아버지보다 어머니를 더 가깝게 느껴 ‘엄마’라는 호칭을 ‘아빠’라는 호칭보다 더 길게 유지하는 현상이 있지만 친밀감 이외에도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좀 더 높은 권위를 가지고 있음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Ⅲ 맺음말
지금까지 <거침없이 하이킥>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간의 대화를 통해 사회적 지위가 권위를 형성하고 그렇게 형성된 권위가 대화에서 크게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권위를 형성하는 요인은 대단히 다양하다고 할 수 있으며, 한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사회적 지위가 다양한 만큼 권위의 형성은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거침없이 하이킥>에서는 학력의 높고 낮음, 연령의 높고 낮음, 성별의 차이에 의한 일반적인 권위와 더불어 가족 내에서 얻어지는 지위에 따른 권위가 함께 작용할 때 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중점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물론 드라마에서 보여 지는 인물의 특징을 고려해야 하겠지만 그것을 배제하고 대화의 상황에 주목해 봤을 때 <거침없이 하이킥>에서는 연령이 권위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른 대화 상황에서 성별에 의한 권위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반면 남성의 사회적 지위가 낮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을 경우에는 성별에 의한 권위가 크게 작용하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족 내에서의 서열에 상관없이 사회적 요인이 대화에서 우위를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모습도 고학력과 전문직에 종사하는 며느리의 대화나 형제 사이에서 동생이 권위가 더 높은 모습 등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연인 사이에서는 여전히 성별과 연령에 의해 형성되는 권위가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적인 지위가 대화 상황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가족 내에서 차지하는 지위와 함께 맞물렸을 때에는 권위의 형성이 다양하게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거침없이 하이킥을>을 통한 실례 분석
1. 부부 사이의 대화
2. 부자 사이의 대화
3. 모자 사이의 대화
4.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의 대화
5. 형제 사이의 대화
6. 연인 사이의 대화
Ⅲ 맺음말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06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