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 중격 결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병태생리

종류

증상

합병증

자연경과

치료

본문내용

반된 큰 VSD인 경우 적용되며, Eisenmenger's reaction 환자인 경우는 금기이다.
⇒ 큰 VSD는 포(pach)로 막아주며, 작은 결손은 구멍을 꾀매준다.
⇒ Swiss-cheese VSD는 막아주기 매우 어려워, 폐동맥 banding수술을 해줌.
4) 수술 적응증과 수술 시기
모든 종류의 VSD에서 심부전이나 심한 발육 부전, 폐동맥 고혈압이 있으면 “나이나 체중에 관계없이”진단 즉시 수술
중간 크기의 막양부 결손인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하면서 어느 정도 관찰해 보다가 증상 이 호전안되면 수술
작은 막양부 결손이나 근성부 결손은 합병증이 없으면 수술하지 않는다
큰 판막 하 결손은 진단 즉시 수술하나 판막 하 결손이 작고 대동맥판막 탈출이나 대동 맥판막 역류 등의 합병증이 없으면 계속 관찰해 보거나 1~2세 이후에 수술
막양부 결손이라도 대동맥 판막 탈출 및 대동맥 판막 폐쇄부전이 합병된 경우에는 진단 즉시 수술
이차적으로 폐동맥판막 아래의 우심실 유출로의 협착이나 우심실 양분증의 생긴 경우 수 술
결손을 통해서 좌심실 우심방으로 직접 혈류가 샐 경우 수술
심내막염을 앓은 과거력이 있는 경우 심내막염의 치료가 끝난 후 수술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0.06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