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본론
1. 맥그리거 X. Y이론 개요
2. 맥그리거의 X. Y 이론의 내용
3. X. Y이론의 이론적 토대
4, X. Y이론의 이용
5. Argyris의 미성숙․성숙이론의 배경과 전개과정
6. Argyris의 미성숙․성숙 이론의 내용
7. 나의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 사정
▶ 결론
참고문헌
▶본론
1. 맥그리거 X. Y이론 개요
2. 맥그리거의 X. Y 이론의 내용
3. X. Y이론의 이론적 토대
4, X. Y이론의 이용
5. Argyris의 미성숙․성숙이론의 배경과 전개과정
6. Argyris의 미성숙․성숙 이론의 내용
7. 나의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 사정
▶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조어다. 한국적인 정서의 신바람에 서구의 합리주의가 합쳐질 때 최상의 기업문화가 창출될 수 있다는 이 사장의 인식을 표현하고 있다.”라고 써있는데 이 또한 위에서 말한 맥그리거와 Argyris가 주장한 경영관리의 방식의 한 예라 할 수 있다.
▶ 결론
미국의 경영학자 맥그리거가 제창한 종업원에 대한 경영자, 관리자 층의 인간관에 관한 이론으로서 이 이론은 조직 경영자들의 인간에 대한 가정에서부터 출발한다.맥그리거는 인간에 대하여 지니고 있는 기본가정을 두 가지 범주로 나누고, 이 범주에 따라서 조직구조의 형성이나 정책수립, 리더십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고 보고 있다. 이 범주에 따라 맥그리거는 인간의 유형은 X유형적 인간과 Y유형적 인간으로 나누고 있다. 먼저 X유형적인 인간관은 전통적인 경영실무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인간관으로 지시와 통제가 인간의 주된 관리수단이 되는 인간관을 말한다. 다음으로 Y유형적인 인간관은 행동과학의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조직구성원 개인의 목표와 조직목표의 통합을 최종목표로 하는 인간관을 말한다.
Argyris는 조직의 모든 구성원들이 조직의 공헌을 위해 일하면서 한편으로는그 자신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고, 조직은 개인의 잠재된 Personality가 성숙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관리함으로써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맥그리거와 아지리스의 이론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이러한 사항들을 동양 윤리관에 비춰보는 시각의 자료도 찾아보았다. 곧, 성악설(性惡設) 성선설(性善說)과 유사하다고 보는 것이다. 순자의 성악설의 내용을 간단히 보면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개인적인 욕망을 지니고 태어났고 이러한 자연적인 욕구는 무한하기 때문에 그대로 놓아두면 서로 다투어 인간 사회가 혼란에 빠지고 무질서 하게되므로 고대의 성왕이 인위적으로 예법을 만들어서 욕구를 절제하도록 했었다고 말한다. 이는 종업원들이 원래부터 일하기 싫어하고 자기 중심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그들을 일하는 기계로만 파악하고 강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조직을 운영해야 효율적으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맥그리거의 X이론, 아지리스의 미성숙이론과 일맥 상통한다 볼수 있다. 맹자의 성선설을 보면 인간은 모두 남에게 차마 어쩌지 못하는 착한 마음씨인 4단(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착한본성을 잃지 않고 사단을 확충하여 본래의 인간성을 실현시키면, 누구나 요순과 같은 성인(聖人)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종업원들은 자발적으로 일할 마음을 가지고 있고 성숙된 인간이기 때문에 자율 창의를 바탕에 두는 경영관리 방식을 도입해야된다는 맥그리거의Y이론 아지리스의 성숙이론과 일맥상통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우리는 x-y이론과 성숙-미성숙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두 가지 이론을 접하면서 앞으로의 경영은 조직이 중심이 아닌, 그렇다고 개인이 중심이 아닌 인간존중의 경영으로 발전해나가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윤우곤, ‘조직관리론’, 다산출판사, 서울, 1996
-박정호 외, ‘간호지도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2
-박우순. ‘현대조직론’. 법문사, 서울, 1997
-오석홍, ‘조직이론’ 박영사, 서울, 1999
-백기복, ‘조직행동연구’, 법문사, 서울, 2000
목차
▶ 서론
▶본론
1. 맥그리거 X. Y이론 개요
2. 맥그리거의 X. Y 이론의 내용
3. X. Y이론의 이론적 토대
4, X. Y이론의 이용
5. Argyris의 미성숙성숙이론의 배경과 전개과정
6. Argyris의 미성숙성숙 이론의 내용
7. 나의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 사정
▶ 결론
참고문헌
▶ 결론
미국의 경영학자 맥그리거가 제창한 종업원에 대한 경영자, 관리자 층의 인간관에 관한 이론으로서 이 이론은 조직 경영자들의 인간에 대한 가정에서부터 출발한다.맥그리거는 인간에 대하여 지니고 있는 기본가정을 두 가지 범주로 나누고, 이 범주에 따라서 조직구조의 형성이나 정책수립, 리더십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고 보고 있다. 이 범주에 따라 맥그리거는 인간의 유형은 X유형적 인간과 Y유형적 인간으로 나누고 있다. 먼저 X유형적인 인간관은 전통적인 경영실무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인간관으로 지시와 통제가 인간의 주된 관리수단이 되는 인간관을 말한다. 다음으로 Y유형적인 인간관은 행동과학의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조직구성원 개인의 목표와 조직목표의 통합을 최종목표로 하는 인간관을 말한다.
Argyris는 조직의 모든 구성원들이 조직의 공헌을 위해 일하면서 한편으로는그 자신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고, 조직은 개인의 잠재된 Personality가 성숙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관리함으로써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맥그리거와 아지리스의 이론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이러한 사항들을 동양 윤리관에 비춰보는 시각의 자료도 찾아보았다. 곧, 성악설(性惡設) 성선설(性善說)과 유사하다고 보는 것이다. 순자의 성악설의 내용을 간단히 보면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개인적인 욕망을 지니고 태어났고 이러한 자연적인 욕구는 무한하기 때문에 그대로 놓아두면 서로 다투어 인간 사회가 혼란에 빠지고 무질서 하게되므로 고대의 성왕이 인위적으로 예법을 만들어서 욕구를 절제하도록 했었다고 말한다. 이는 종업원들이 원래부터 일하기 싫어하고 자기 중심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그들을 일하는 기계로만 파악하고 강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조직을 운영해야 효율적으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맥그리거의 X이론, 아지리스의 미성숙이론과 일맥 상통한다 볼수 있다. 맹자의 성선설을 보면 인간은 모두 남에게 차마 어쩌지 못하는 착한 마음씨인 4단(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착한본성을 잃지 않고 사단을 확충하여 본래의 인간성을 실현시키면, 누구나 요순과 같은 성인(聖人)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종업원들은 자발적으로 일할 마음을 가지고 있고 성숙된 인간이기 때문에 자율 창의를 바탕에 두는 경영관리 방식을 도입해야된다는 맥그리거의Y이론 아지리스의 성숙이론과 일맥상통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우리는 x-y이론과 성숙-미성숙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두 가지 이론을 접하면서 앞으로의 경영은 조직이 중심이 아닌, 그렇다고 개인이 중심이 아닌 인간존중의 경영으로 발전해나가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윤우곤, ‘조직관리론’, 다산출판사, 서울, 1996
-박정호 외, ‘간호지도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2
-박우순. ‘현대조직론’. 법문사, 서울, 1997
-오석홍, ‘조직이론’ 박영사, 서울, 1999
-백기복, ‘조직행동연구’, 법문사, 서울, 2000
목차
▶ 서론
▶본론
1. 맥그리거 X. Y이론 개요
2. 맥그리거의 X. Y 이론의 내용
3. X. Y이론의 이론적 토대
4, X. Y이론의 이용
5. Argyris의 미성숙성숙이론의 배경과 전개과정
6. Argyris의 미성숙성숙 이론의 내용
7. 나의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 사정
▶ 결론
참고문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