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회로의 과도응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개요
2.실험의 목표
3.사용기기와 부품
4.실험 내용과 방법
5.결과치와 실측치의 오차내용
6.결과값및 실험을 통한 느낀점

본문내용

어떠한 기능으로 나타나는 지를 이해함으로써 회로를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도응답, 임피던스의 개념, 주파수응답, 과도응답과 주파수 사이의 관계, filter의 개념, 기억소자 동작 등을 공부한다.
3. 사용 기기와 부품
오실로스코프
파형 발생기
디지털 멀티미터 ( 고장수리 이용)
BNC probe 3개
저항 ( 1kΩ, 5kΩ, 10kΩ, 20kΩ)
콘덴서 (0.1uF)
4. 실험 내용과 방법
1. 1kΩ의 저항과 0.1uF의 콘덴서로 회로를 구성한다. (그림 1. 참조)
2. 파형발생기를 이용하여 Vs(t)에 구형파 인가
peak - to - peak 5V , 주기 = Time constant의 20배 이상.
10KHz 의 주파수 인가
3. Time constant 를 측정하고 이론치와 비교하고 아래 표를 완성하여라.
- V(t)가 0부터 63% 까지 변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론치와 비교.
R
1K
5K
10K
20K
Time
constant
이론치
100us
500us
1ms
2ms
측정치
132us
640us
1.24ms
2.2ms
표 - 1 실제 결과 값
Time constant : RC(=)
ex> 0.1uF × 1kΩ = 100us 0.1uF × 5kΩ = 500us
5 . 이론치와 측정치의 실질적인 오차이유
저항의 ± 의 오차값
콘덴서의 ±의 오차값
스코프 프로브의 ± 오차값 등등....
6. 결과 값 및 실험을 통한 느낀 점.
이번 RC 과도응답의 가장 큰 Point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압이 증가하고, 입력전압과 전압이 같아지면, 나중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이 가장 큰 Point같다. 또 t = 1에서 최대전압의 63% ( 5 × 0.63 = 3.15V )에서의 저항값을 다르게 하여 저항이 콘덴서(0.1uF)의
충전시간에 실질적으로 미치는 영향까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Time constant : RC(=)라는 공식에 따라 저항과 콘덴서는 서로 비례한다고 볼 수 있고,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진 간단한 회로이지만, 앞으로 어떠한 제품을 개발하거나, 연구할 때 실질적인 도움이 많이 될 것이다.
실제 7조의 실험 결과값.
1kΩ 일 때, Time constant 132us
5kΩ 일 때, Time constant 640us
10kΩ 일 때, Time constant 1.24ms
20kΩ 일 때, Time constant 2.2ms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0.09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