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조사의 개요
1) 조사목적
2) 조사설계
3) 결과요약
2. 본론 - 내용 및 결과 분석
1) FGI 내용분석
2) FGI 결과분석
3. 결론
4. SCRIPT
1) 조사목적
2) 조사설계
3) 결과요약
2. 본론 - 내용 및 결과 분석
1) FGI 내용분석
2) FGI 결과분석
3. 결론
4. SCRIPT
본문내용
.
2. 4. 동의한다.
3. 모호하다.
M : 유비쿼터스가 무엇인지 알고 있는가? 광고의 키오스크가 무엇인지 알겠는가?
2. 알고는 있지만 다른 사람들도 느끼겠지만 익숙하지 않은 단어이다.
1. 모르겠다. 젊은 사람들에게 광고하려는 것 아닌가?
M : 가장 호감이 가는 광고는 무엇인가?
1. 푸르지오가 좋다. 거주자의 높은 수준이나, 고급스러움을 잘 표현했다.
2. 자이, 이영애 인지도가 높고, 광고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3. 2.에 동의한다.
5. 자이. 커뮤니티가 나오는 광고가 좋았다.
M : 래미안 모델인 장서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1. 개인적으로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4. 이미지가 약하다. 아파트 광고에 맞지 않다.
2. 자이나 푸르지오에 비해서 광고 모델로서 잘 어울리지 않는다.
M : 래미안의 뜻을 알고 있는가? 최첨단 미래 지향적 아파트라는 것에 공감하는가?
4. 모르겠다.
3. 최첨단은 회사에서 알리고 싶어하는 이미지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M : 최첨단 시설이 어느 정도 갖춰진다면 그것이 아파트 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겠는가?
3. 일단은 지금 현재나 가까운 미래에서는 그런 일은 없을 것 같다.
1. 자이 강남 모델하우스를 갔었는데,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보고 평당 가격이 높긴 했지만 괜찮았다고 생각한다. 영향이 아주 없을 수는 없다.
M : 또 다시 아파트를 선택한다면 어떤 브랜드를 선택할 것인가?
1. 시세 때문에 래미안을 선택할 것이다.
4. 자이나 래미안, 아이파크 중에서 결정하게 될 것 같다.
3. 직장과의 위치와 전체적인 주거 환경, 교육 환경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겠다. 하지만 브랜드가 우선적인 선택 요소가 되진 않을 것이다.
2. 여러 가지를 고려하겠지만, 어떤 브랜드 인가가 영향을 전혀 끼치지 않을 순 없을 것이다.
5. 종합적인 상황을 봐야 할 것 같다.
래미안 비거주자 대상 F.G.I
-조사내용
사회자(Moderator, 이하 M): 래미안이란 브랜드 명을 들으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은?
2. 삼성이다.
3. 비싸다는 것?
4. 3.에 동의한다.
M : 그렇다면 래미안은 자체 브랜드 파워보다는 삼성의 이미지가 강하다고 생각하는가?
1. 삼성은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기업이다. 그럴 수밖에 없다.
M :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를 왜 선택했는가?
1. 일하는 곳의 위치와 가깝기 때문에 결정했다.
2. 집안 구조를 보고 결정했다. 나의 동생이 래미안에 살고 있는데, 래미안보다 집안 구조가 괜찮은 것 같다. (자이)
3. 직장과의 거리를 고려했다.
4. 주변 환경과 위치, 아파트 가격, 세대 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M : 아파트 결정에 브랜드가 큰 영향을 미치는가?
3.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팔 때를 고려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신뢰도의 문제도 있다.
4. 브랜드를 생각하고 고르진 않는다.
1. 4.에 동의한다. 하지만 래미안이 기타 조건을 만족한다면 선택할 것이다.
M : 그렇다면, 아파트를 결정 할 때 고려해 보았던 타 브랜드가 있는가?
3. 래미안을 고려했었다. 하지만 입찰에서 떨어졌다.
1. 아이파크를 고려했다. 지금은 삼성이지만, 이전에 아파트는 현대였다. 아는가? 현대가 지금도 집을 잘해 놓는다고 한다.
M : 래미안이 상대적으로 갖는 장점은 무엇인가? (자신의 아파트와 비교하여)
4. 브랜드다.
2. 정확히 브랜드에 따른 투자 가치다. 시세가 높은 것은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M : 래미안의 단점은 무엇인가?
1. 살지 않고 있기 때문에 딱히 단점이라고 꼬집어 말하기가 애매하다.
2. 아까 말했던 것처럼 구조가 타 아파트 보다 좋지 않은 것 같고, 이름값을 하지 못한다는 생각이 든다.
3. 목이 좋은 곳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곳도 많다고 한다. 정말 좋은 아파트가 되려면 종합적으로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한다고 본다. 하지만, 다른 아파트도 부분적으로 다 가지는 문제들이다.
4. 딱히 다른 점이 없다.
M: 브랜드가 프라이드나 개인적인 만족감을 주는가?
3. 브랜드는 자신감에 크게 영향을 미치진 않는다.
1.2. 동의한다.
M : 래미안 광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4. 보지 못했다.
3. 동의한다.
2. 잘 모르겠다. 보긴 했지만,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안 간다.
1. 초기 광고가 좋았다.
M: ‘클라이막스를 산다’ 라는 카피를 이해하는가?
1. 모르겠다.
2. 이해한다? 잘 모르겠다. 광고는 단지 기업에서 보여주고 싶어하는 이미지일 뿐이다.
구매에 실제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M : 유비쿼터스가 무엇인지 알고 있는가? 광고의 키오스크가 무엇인지 알겠는가?
3. 모르겠다.
4. 젊은 사람들에겐 필요할지 모르지만, 단어도 어렵고, 잘 와 닿지 않는다.
M : 가장 호감이 가는 광고는 무엇인가?
2. 자이 광고가 좋다. 이영애가 아파트 광고나 자신감의 표현에 좋은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이영애를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것은 아니고, 내가 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괜찮지 않은가?
4. 자이 광고가 좋았다.
3. 푸르지오 광고가 이미지가 좋더라.
M : 래미안 모델인 장서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1. 호감이 가지 않는다.
4. 딱히 생각이 없다.
M : 래미안의 뜻을 알고 있는가? 최첨단 미래 지향적 아파트라는 것에 공감하는가?
1. 최첨단? 잘 모르겠다.
3. 동의한다.
2. 홈 네트워킹 같은 것을 얘기하는 것이라면, 타 아파트와 비교해 특별한 점은 없다고 생각한다.
M : 최첨단 시설이 어느 정도 갖춰진다면 그것이 아파트 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겠는가?
2. 잘 모르겠다. 이미지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M : 또 다시 아파트를 선택한다면 어떤 브랜드를 선택할 것인가?
2. 지금 살고 있는 자이가 편하기 때문에 이 것이 고려될 것 이지만, 기본적으로 브랜드를 따지진 않겠다.
4. 마찬가지로 주거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보겠다.
1.3. 직장과의 거리, 아이들의 교육 문제 등을 고려하겠다.
2. 4. 동의한다.
3. 모호하다.
M : 유비쿼터스가 무엇인지 알고 있는가? 광고의 키오스크가 무엇인지 알겠는가?
2. 알고는 있지만 다른 사람들도 느끼겠지만 익숙하지 않은 단어이다.
1. 모르겠다. 젊은 사람들에게 광고하려는 것 아닌가?
M : 가장 호감이 가는 광고는 무엇인가?
1. 푸르지오가 좋다. 거주자의 높은 수준이나, 고급스러움을 잘 표현했다.
2. 자이, 이영애 인지도가 높고, 광고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3. 2.에 동의한다.
5. 자이. 커뮤니티가 나오는 광고가 좋았다.
M : 래미안 모델인 장서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1. 개인적으로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4. 이미지가 약하다. 아파트 광고에 맞지 않다.
2. 자이나 푸르지오에 비해서 광고 모델로서 잘 어울리지 않는다.
M : 래미안의 뜻을 알고 있는가? 최첨단 미래 지향적 아파트라는 것에 공감하는가?
4. 모르겠다.
3. 최첨단은 회사에서 알리고 싶어하는 이미지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M : 최첨단 시설이 어느 정도 갖춰진다면 그것이 아파트 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겠는가?
3. 일단은 지금 현재나 가까운 미래에서는 그런 일은 없을 것 같다.
1. 자이 강남 모델하우스를 갔었는데,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보고 평당 가격이 높긴 했지만 괜찮았다고 생각한다. 영향이 아주 없을 수는 없다.
M : 또 다시 아파트를 선택한다면 어떤 브랜드를 선택할 것인가?
1. 시세 때문에 래미안을 선택할 것이다.
4. 자이나 래미안, 아이파크 중에서 결정하게 될 것 같다.
3. 직장과의 위치와 전체적인 주거 환경, 교육 환경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겠다. 하지만 브랜드가 우선적인 선택 요소가 되진 않을 것이다.
2. 여러 가지를 고려하겠지만, 어떤 브랜드 인가가 영향을 전혀 끼치지 않을 순 없을 것이다.
5. 종합적인 상황을 봐야 할 것 같다.
래미안 비거주자 대상 F.G.I
-조사내용
사회자(Moderator, 이하 M): 래미안이란 브랜드 명을 들으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은?
2. 삼성이다.
3. 비싸다는 것?
4. 3.에 동의한다.
M : 그렇다면 래미안은 자체 브랜드 파워보다는 삼성의 이미지가 강하다고 생각하는가?
1. 삼성은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기업이다. 그럴 수밖에 없다.
M :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를 왜 선택했는가?
1. 일하는 곳의 위치와 가깝기 때문에 결정했다.
2. 집안 구조를 보고 결정했다. 나의 동생이 래미안에 살고 있는데, 래미안보다 집안 구조가 괜찮은 것 같다. (자이)
3. 직장과의 거리를 고려했다.
4. 주변 환경과 위치, 아파트 가격, 세대 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M : 아파트 결정에 브랜드가 큰 영향을 미치는가?
3.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팔 때를 고려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신뢰도의 문제도 있다.
4. 브랜드를 생각하고 고르진 않는다.
1. 4.에 동의한다. 하지만 래미안이 기타 조건을 만족한다면 선택할 것이다.
M : 그렇다면, 아파트를 결정 할 때 고려해 보았던 타 브랜드가 있는가?
3. 래미안을 고려했었다. 하지만 입찰에서 떨어졌다.
1. 아이파크를 고려했다. 지금은 삼성이지만, 이전에 아파트는 현대였다. 아는가? 현대가 지금도 집을 잘해 놓는다고 한다.
M : 래미안이 상대적으로 갖는 장점은 무엇인가? (자신의 아파트와 비교하여)
4. 브랜드다.
2. 정확히 브랜드에 따른 투자 가치다. 시세가 높은 것은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M : 래미안의 단점은 무엇인가?
1. 살지 않고 있기 때문에 딱히 단점이라고 꼬집어 말하기가 애매하다.
2. 아까 말했던 것처럼 구조가 타 아파트 보다 좋지 않은 것 같고, 이름값을 하지 못한다는 생각이 든다.
3. 목이 좋은 곳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곳도 많다고 한다. 정말 좋은 아파트가 되려면 종합적으로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한다고 본다. 하지만, 다른 아파트도 부분적으로 다 가지는 문제들이다.
4. 딱히 다른 점이 없다.
M: 브랜드가 프라이드나 개인적인 만족감을 주는가?
3. 브랜드는 자신감에 크게 영향을 미치진 않는다.
1.2. 동의한다.
M : 래미안 광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4. 보지 못했다.
3. 동의한다.
2. 잘 모르겠다. 보긴 했지만,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안 간다.
1. 초기 광고가 좋았다.
M: ‘클라이막스를 산다’ 라는 카피를 이해하는가?
1. 모르겠다.
2. 이해한다? 잘 모르겠다. 광고는 단지 기업에서 보여주고 싶어하는 이미지일 뿐이다.
구매에 실제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M : 유비쿼터스가 무엇인지 알고 있는가? 광고의 키오스크가 무엇인지 알겠는가?
3. 모르겠다.
4. 젊은 사람들에겐 필요할지 모르지만, 단어도 어렵고, 잘 와 닿지 않는다.
M : 가장 호감이 가는 광고는 무엇인가?
2. 자이 광고가 좋다. 이영애가 아파트 광고나 자신감의 표현에 좋은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이영애를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것은 아니고, 내가 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괜찮지 않은가?
4. 자이 광고가 좋았다.
3. 푸르지오 광고가 이미지가 좋더라.
M : 래미안 모델인 장서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1. 호감이 가지 않는다.
4. 딱히 생각이 없다.
M : 래미안의 뜻을 알고 있는가? 최첨단 미래 지향적 아파트라는 것에 공감하는가?
1. 최첨단? 잘 모르겠다.
3. 동의한다.
2. 홈 네트워킹 같은 것을 얘기하는 것이라면, 타 아파트와 비교해 특별한 점은 없다고 생각한다.
M : 최첨단 시설이 어느 정도 갖춰진다면 그것이 아파트 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겠는가?
2. 잘 모르겠다. 이미지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M : 또 다시 아파트를 선택한다면 어떤 브랜드를 선택할 것인가?
2. 지금 살고 있는 자이가 편하기 때문에 이 것이 고려될 것 이지만, 기본적으로 브랜드를 따지진 않겠다.
4. 마찬가지로 주거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보겠다.
1.3. 직장과의 거리, 아이들의 교육 문제 등을 고려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