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류와 외국 주류의 비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개념정리

2. 주류의 분류
2.1 제조방법에 따른 분류
2.1 양조주
2.2 증류주
2.3 혼성주
2.2 원료의 따른 분류

3. 한국 주류와 외국 주류의 비교
3.1 한국 주류의 특징
3.2 외국 주류의 특징

4. 한국 주류와 외국 주류의 경쟁력
4.1 주류의 수출입 정도
4.1.1 한국 주류의 외국 수출 정도
4.1.2 외국 주류의 한국 수입 정도
4.2 한국 주류와 외국 주류의 인식 비교
4.3 한국 주류소비의 현 상황
4.4 한국 주류 발전 방향

5.결론
5.1 요약

*참고 자료

본문내용

을까? 다른 여러 가지 이유들이 존재하겠지만 한 가지 이유로 웰빙에 관한 문화 형성에 있다. 지난 5년간 약주, 과실주 등 저 도주 소비가 크게 늘어나고 반면으로 소주, 맥주, 위스키 등의 소비는 제 자리 걸음 이거나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렇다고 해서 와인에 대한 수입만 늘릴 수만은 없다. 사실 우리나라 술에는 거의 소주, 맥주, 탁주 등 수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와인이나 여러 타 고급 주류에 뒤지지 않을 법한 전통주가 셀 수 없이 많이 있다. 조선시대까지만 하더라도 행세께나 하는 집안에는 '봉제사 접빈객(奉祭祀 接賓客)'을 위해 전해 내려오는 가양주가 있었을 정도라고 한다. 또 1827년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역임한 서유구(1764-1845)가 '임원경제지(林園經濟誌)'에 무려 171종의 술 만드는 법을 소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의 전통주는 대갓집뿐만 아니라 여염집, 농가에서도 누구나 쉽게 빚어 마시던 하나의 음식 이였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발전되어왔던 우리의 전통주가 현대에 와서 이렇게 침체된 원인은 술의 종류를 단순화 하고 제조방법을 획일화 하여 지나치게 규제한 데서 찾을 수 있으며 일제가 주세의 징수편의를 위해 주류의 종류를 탁주와 소주, 약주로 단순화 시키고 허가를 받지 않은 가양주의 제조를 금지했던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또 6.25 직후 식량부족에 따른 술을 빚는 데에 곡물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양곡관리법'이 등장하면서 더욱더 우리의 전통주가 줄어드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던 전통술에 숨통이 트인 것이 88올림픽 덕분인데 세계인의 축제라는 올림픽을 앞두고 문화공보부가 18종의 전통주 주류제조 기능보유자를 무형문화제로 지정하고 전통주를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2005년 주류업체 1422개중 민속주 와 농민 주를 합한 우리 술의 가짓수는 전체의 16.3%를 차지하지만 이들이 생산한 출고량과 납세액은 각기 0.32%와 0.71%에 지나지 않는다. 전통주를 약주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이처럼 전통주도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그리고 상품화한다면 와인이나 브랜디 못지않은 고급술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또 전통주의 육성은 우리 농산물의 소비를 촉진하고 부가가치를 중대하며, 농어촌 관광을 촉진하는 콘텐츠이자 전통 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자 농업과 농촌을 동시에 살리는 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전통주를 발전시키기 위해 체계적으로 변화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술 업체들은 높은 세금으로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발효주에는 30% 증류주에는 72%의 주세를 부과하지만 여기에 교육세와 부가가치세를 합하면 각기 43~46^및 113%의 세금을 납부해야 하니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가 된다. 더구나 전통주의 경우 연간 생산량이 10KL 미만의 영세한 업체가 64%를 넘기 때문에 이들에게도 대기업과 같은 수준의 세금을 납부 하게 한다는 것은 부당하지 않은가?
5.결론
5.1 요약
여기까지 한국 주류와 외국주류에 술에 관한 분류와 특징, 인식, 등을 알아보고 한국 주류에 대한 문제점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현재의 한국의 주류는 서민적 대중적인 이미지가 강하고 외국 주류는 고급스러움의 이미지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의 전통주도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개량하고 상품화 하면 충분히 고급스러운 술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또한 전통주는 옛 부터 전해져 내려오던 것으로 우리가 계승하고 더욱 발전시켜 후에 자손들에게 그대로 물려주어야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닐까? 현재에는 많은 큰 주류 회사에서도 전통주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는데 더욱더 발전하여 와인과 같이 세계에 널려 알려졌으면 한다. 전통주를 통한 한국 주류 산업의 발전 외에도 다양하고 많은 방법들이 존재 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들을 찾아내고 개발하여 세계 술 소비 1등인 국가라는 이미지를 벗어나고 술 수출 및 판매를 1등인 국가의 이미지로 되는 것이 국가 경쟁력 및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국세청, 국세통계연도, 각 연도.
김종선&이동필&조영우(2002), 주류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마켓 트랜드(Market Trends), 주류시장(2002. 7)
이종기(2000), 술, 술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도서출판 한송
황인홍(1997. 12), 국내의 주류(酒類) 트렌드, 제일기획사보
인터넷
대한 주류 공업협회 : http://www.kalia.or.kr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09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1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