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의 약물복용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사회의 약물복용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약물문제의 정의

Ⅲ. 약물문제의 현황

Ⅳ. 해결책 및 대안

Ⅴ. 결론

본문내용

양을 생산하고, 인도·루마니아·중국·헝가리·폴란드·터키 등이 중요 생산국이다.
삼(hemp)
대마 줄기의 섬유는 삼베를 짜거나 로프·그물·모기장·천막 등의 원료로 쓰이고, 열매는 향신료의 원료로 쓰인다. 종자는 조미용이나 기름을 짜는 데 쓰인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화마인(火麻仁)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변비와 머리카락이 나지 않을 때 효과가 있다. 삼의 잎과 꽃에는 테트라히드로카나비놀(THC)을 주성분으로 하는 마취 물질이 들어 있어 담배로 만들어 흡연하면 중독 증세를 보인다. 이것을 대마초라고 한다.
대마초는 사고력의 저하·비현실감·망상·흥분·주의력 저하를 일으키고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감각을 변화시키며 시각과 운동신경에 장애를 일으킨다. 인도산의 인도대마초(C. sativa var. indica)는 삼과 같은 종이지만 THC가 더욱 많이 들어 있다.
대마초도 재배 삼의 암그루 꽃이삭과 잎에서 얻은 것을 간자(ganja), 야생 삼에서 얻은 것을 마리화나(marihuana) 또는 브항(bhang)이라고 한다. 한편 마리화나라는 이름은 포르투칼어의 Mariguango(취하게 만드는 것)라는 말이 와전되어 생긴 말이라고 한다.
마리화나와 파이프
종류
약리작용
의약용도
사용방법
부작용
메스암페타민(히로뽕)
중추신경 각성
식욕억제
경구, 주사, 코흡입
환시, 환청, 환촉, 피해망상, 사망
바르비탈 류
중추신경 억제
정신, 수면
경구, 주사
취한행동, 뇌손상, 호흡기 장애, 감각상실 등
베조디아제핀 류
정신신경 안정
LSD
중추신경 흥분, 억제
없음
환각, 환청, 환시
대마
경구, 흡연
도취감, 약한환각
3. 약물문제의 현황
l연도별 마약류사범 단속현황(단위 : 명)
구분
99
00
01
02
03
04
05
06
합계
10589
10304
10102
10673
7546
7747
7154
7709
마약
923
954
661
790
1211
1203
768
868
향정
7479
7066
7959
7918
4727
5313
5354
6006
대마
2187
2284
1482
1965
1608
1231
1032
835
대검찰청의 통계에 의하면, 한국의 마약류사범은 1990년 4,222명이 검거되어 1985년의
1190명과 비교하면 5년동안 3.5배의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던 마약류사범이 1999년 통계
에 1만명선을 넘어선 뒤 2002년 까지 4년 연속 1만명선을 상회하였으나, 2003년에는
사스확산에 따라 해외여행자들에 대한 검문검색의 강화와 검찰에서 밀수·밀매 등 공급
조직 10개파 224명을 강력히 단속함으로써 2003년 7546명이 검거되어 2002년 10673
명과 비교하면 -29.3%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l 성별 단속현황(단위 : 명)
마약류
마약
향정
대마
합계
성별








사범수
(구성비)
34
(82.9)
7
(17.1)
1,315
(88.9)
164 (11.1)
225
(94.9)
12
(5.1)
1,574
(89.6)
183
(10.4)
성별로 보자면 마약, 향정, 대마 세 종류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월등히 많은 수치를 기
록하고 있으며 합계에 있어서도 남자는 89.6% 여자는 10.4%로 남자가 마약을 많이 한
다는 것을 보여준다.
l직업별 단속현황(단위 : 명)
직업별
합계
구성비
합 계
1,757
100
무 직
692
39.4
회사원
119
6.8
서비스업
90
5.1
노동업
84
4.8
도소매업
84
4.8
여러 직업이 있지만 많은 순서대로 표로 정리해보았다.
무직이 39.4%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은 회사원(6.8%), 서비스업(5.1%), 노동업·도소매업(4.8%) 순이었다.
l 연령별 단속현황(단위 : 명)
연령별
20세
미만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미상
합계
사범수
(구성비)
1
(0.1)
175
(10.0)
602
(34.3)
728
(41.4)
178
(10.1)
27
(1.5)
46
(2.6)
1,757
(100)
다양한 연령에서 마약을 이용하지만, 많이 들어왔던 20세 미만인 청소년 마약남용보다는 30대~40대가 75.7%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 하는 것을 할 수 있었다.
4. 해결책 및 대안
(1)약물공급측면에서의 대책
① 약물남용 예방교육 프로그램 실시
② 마약으로 인한 처벌에 대해 인지시킴
③ 머니론더링을 규제하는 입법을 통해 약물유통 관련 범죄자금을 통제
④ 마약류의 불법거래와 관련된 이동수단 등의 재산과 불법거래의 이익금을 국가가 몰수하여 마약 수사 활동비로 활용
⑤ 의료기관을 통해 유출되는 약물에 대한 지도관리를 엄격히 하여 약물 남용자들이 의료기관에서 약물을 조달하지 못하도록 해야함
(2) 약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홍보 및 예방
(3) 치료, 재활 또는 사회생활유지 대책관점이 수정-범법자가 아닌 사회구조의 희생자
가. 치료관련 법령의 개정
나. 입원치료 프로그램의 확대
다. 교정시설 내에서의 치료와 재활
라. 정신보건정책으로서의 치료, 재활대책
마. 약물남용자 치료모델 개발
㉮ 의학적 모델 영양요법(nutrition therapy) 약물남용자의 영양학적 불균형을 치료하기 위해 결핍된 신진대사 등 영양학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이 이 요법의 핵심이다 메타돈 유지(methadone maintenance drug) : 대용약물인 메타돈을 제공함으로써 약물중독자 의 생존을 도모하는 요법이다.
영국 모델 : 영국에서는 약물중독자는 치료받아야 할 환자로서 정부의 유관 사무소 에 등록하여 의사의 치료 서비스를 받는다. 마약을 의사로부터 처방 받아 복용한다. ㉯ 사회적 모델 지역사회 자원활용 * 치료공동체 ㉰심리적 모델 : 변화주도체는 자아(self)이다.
행동수정 : 사회학습이론에 따라 이루어지는 치료법 실제 약물남용자의 치료과정에는 위에서 소개한 의학적인 접근과 심리적인 접근, 그리 고 사회적인 접근이 모두 동원된다. 이를 다방면 접근(A multi-Pronged Approach)이 라고 하는데 혐오요법과 심리치료, 그리고 자조모임과 같은 다각적인 집단접근을 활용 한다.

키워드

약물복용,   약물,   마약,   히로뽕,   대마초,   헤로인,   아편,   몰핀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10.10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