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혈액
2. 혈장
3. 혈액의 세포성분
1) 적혈구(Erythrocyte or Red Blood Cells : RBCs)
2) 적혈구 생성을 위한 조절과 필요 조건
3) 백혈구(Leucocytes or White Blood Cell : WBCs)
4) 혈소판(Platelet, Thrombocyte)
5) 지혈(Hemostasis)
2. 혈장
3. 혈액의 세포성분
1) 적혈구(Erythrocyte or Red Blood Cells : RBCs)
2) 적혈구 생성을 위한 조절과 필요 조건
3) 백혈구(Leucocytes or White Blood Cell : WBCs)
4) 혈소판(Platelet, Thrombocyte)
5) 지혈(Hemostasis)
본문내용
관을 수축시켜 출혈을 멈추도록 작용한다. 혈소판 수는 혈액 1mm3 속에 30만~60만 개이다. 혈소판도 골수에서 만들어진다. 골수의 거핵세포(megakaryocyte)의 세포질 조각들이 떨어져서 된 것으로 순환혈액 속에서는 색깔이 없다. 거대한 세포가 그 세포질을 헛발처럼 골수의 정맥동 속에 뻗쳐서 그 끝에서부터 떨어져 나와 혈소판이 된다. 혈액 속에서 혈소판의 수명은 9~12일로 짧다.
5) 지혈(Hemostasis)
① 혈관수축(Vascular Spasm)
혈관수축을 시작하는 인자는 혈관·평활근의 직접적 손상, 내피세포와 혈소판에 의해 방출된 화합물과 국소 통증 감수체에 의해 시작되는 반사를 포함한다.
② 혈소판 마개 형성
serotonin은 혈관수축을 증가시키며, ADP(adenosine diphophate)는 그 부위에 보다 많은 혈소판을 끌어들인다 Thromboxane A2 는 생성되거나 방출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유도체로 이 두가지 과정을 자극하다 또한 prostacyclin 이라 불리는 PGI2는 혈소판 응집의 강력한 억제 인자이다.
③ 응고(Coagulation or Blood Clotting)
혈액이 액체에서 젤의 형태로 변화하는 동안에 응고는 기본적으로 3단계 과정을 거친다.
프로트롬빈 활성 인자가 형성된다 → 프로트롬빈 활성인자는 프로트롬빈이라 불리는 혈장단백질을 트롬빈으로 전환시킨다 → 트롬빈은 혈장 내에 존재하는 섬유소원(fibrinogen) 분자가 섬유소망(fibrin mash)으로 합쳐져 이것이 혈구를 잡고 혈관이 치유될 때까지 효과적으로 구멍을 봉한다.
5) 지혈(Hemostasis)
① 혈관수축(Vascular Spasm)
혈관수축을 시작하는 인자는 혈관·평활근의 직접적 손상, 내피세포와 혈소판에 의해 방출된 화합물과 국소 통증 감수체에 의해 시작되는 반사를 포함한다.
② 혈소판 마개 형성
serotonin은 혈관수축을 증가시키며, ADP(adenosine diphophate)는 그 부위에 보다 많은 혈소판을 끌어들인다 Thromboxane A2 는 생성되거나 방출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유도체로 이 두가지 과정을 자극하다 또한 prostacyclin 이라 불리는 PGI2는 혈소판 응집의 강력한 억제 인자이다.
③ 응고(Coagulation or Blood Clotting)
혈액이 액체에서 젤의 형태로 변화하는 동안에 응고는 기본적으로 3단계 과정을 거친다.
프로트롬빈 활성 인자가 형성된다 → 프로트롬빈 활성인자는 프로트롬빈이라 불리는 혈장단백질을 트롬빈으로 전환시킨다 → 트롬빈은 혈장 내에 존재하는 섬유소원(fibrinogen) 분자가 섬유소망(fibrin mash)으로 합쳐져 이것이 혈구를 잡고 혈관이 치유될 때까지 효과적으로 구멍을 봉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