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방산이 부족하게 되며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상태가 나빠진다. 하루에 큰 스푼 1-2개의 기름을 사용하여 사라다등을 먹을 수 있다.
7. 정기가 되면, 지방의 소화능력이 회복되므로 보통식이 가능하게 된다.
8. 수술 후, 폭음, 폭식만 하지 않으면 반년이 넘어서는 무엇이든지 먹을 수 있다.
9) 합병증
검사 시 흡인으로 인한 호흡곤란, 청색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처치 약물에 의한 어지러움, 눈부심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내시경의 삽입과정에 의한 출혈, 천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조영제의 배출 지연으로 인해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다.
10) 검사 결과로 내릴 수 있는 진단.
담도 폐쇄(biliary obstruction )
담도 협착(biliary stricture)
담도암(cholangiocarcinoma)
담도염(cholangitis)
총수 담관 결석증(choledocholithiasis)
담석증(cholelithiasis)
만성 췌장염(chronic pancreatitis)
췌관 개구부 기형(pancreas divisum)
췌장암(pancreatic carcinoma)
경화성 담도염(sclerosing cholangitis)
7. 정기가 되면, 지방의 소화능력이 회복되므로 보통식이 가능하게 된다.
8. 수술 후, 폭음, 폭식만 하지 않으면 반년이 넘어서는 무엇이든지 먹을 수 있다.
9) 합병증
검사 시 흡인으로 인한 호흡곤란, 청색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처치 약물에 의한 어지러움, 눈부심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내시경의 삽입과정에 의한 출혈, 천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조영제의 배출 지연으로 인해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다.
10) 검사 결과로 내릴 수 있는 진단.
담도 폐쇄(biliary obstruction )
담도 협착(biliary stricture)
담도암(cholangiocarcinoma)
담도염(cholangitis)
총수 담관 결석증(choledocholithiasis)
담석증(cholelithiasis)
만성 췌장염(chronic pancreatitis)
췌관 개구부 기형(pancreas divisum)
췌장암(pancreatic carcinoma)
경화성 담도염(sclerosing cholang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