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영화 <소년은 울지 않는다 Boys Don't Cry>
(1) 티나 브랜든의 성 정체성
(2) 영화 속에 드러난 편견과 폭력성
(3) 섹스와 젠더, 그 이분법적 사고체계
3. 현재, 섹스와 젠더 간에 벌어지는 문제들
(1) 착한여자 콤플렉스
(2) 우리시대의 화두, 트랜스젠더 하리수
4. 결론
*참고문헌
2. 영화 <소년은 울지 않는다 Boys Don't Cry>
(1) 티나 브랜든의 성 정체성
(2) 영화 속에 드러난 편견과 폭력성
(3) 섹스와 젠더, 그 이분법적 사고체계
3. 현재, 섹스와 젠더 간에 벌어지는 문제들
(1) 착한여자 콤플렉스
(2) 우리시대의 화두, 트랜스젠더 하리수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식 속에서 그는 남자도 여자도 아닌 제 3의 성이다. 진정한 하나의 존재로 그를 이해하기 보다는 성전환 수술을 한 트랜스 젠더, 하나의 상품으로 보는 우리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그 이분법적 잣대에 의해 가해지는 잔인한 폭력성을 찾아 볼 수 있다.
4. 결론
지금까지 영화 <소년은 울지 않는다>를 바탕으로 티나 브랜든의 성 정체성과 남자와 여자를 가르는 이분법적 사고체계가 그녀에게 어떻게 폭력을 가하는가, 그 편견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또한 섹스와 젠더의 고정관념 그리고 그 충돌이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현재의 착한여자 콤플렉스와 트랜스젠더 하리수의 사례를 들어 얘기해보았다.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고정된 남자다움과 여자다움을 배우면서 자란다. 성장하면서 사회가 만들어낸 남녀 성역할의 고정관념을 당연한 진리로 여기게 되며, 이는 곧 남성과 여성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편견으로 작용한다. 즉 인간이 가지고 태어나는 천부적인 인격의 한 부분이 사회적인 칼로 인해 잘라지고 마는 것이다. 성은 단순히 신체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생리현상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역사적·경제적·문화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성은 단순한 성기중심적인 행위가 아니라 신체구조와 심리구조가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영화는 한 여성의, 그리고 한 인간의 성적혼란을 통해 여성에게 주어진, 나아가 '인간'에게 주어진 삶의 고리를 사회라는 테두리 안에서 ‘문제’화했다. 우리는 단지 외모만으로 얼마나 많은 편견을 남성과 여성 서로에게 갖고 있는지에 대해 깨달아야 한다. 또한 우리가 원하는 것이라면 그것에 대한 편견을 넘어 얼마나 거침없이 행동할 수 있는지, 그리고 내가 속한 사회 속에서 자신의 행동의 주체로서 살고 있는가에 대해서 자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시몬느 드 보봐르(1990). 『제2의 성(Le Second Sex)』김기태(역) (부산:선영사)
송명희(2000).『섹슈얼리티, 젠더, 페미니즘』(서울: 푸른사상)
킴벌리 피어스 감독(2000), <소년은 울지 않는다 Boys Don't Cry>, (이십세기 폭스 코리아)
박희경.『Sex, Gender, Parodie - 쥬디스 버틀러의 책 Gender Trouble과 킴벌리 피어스의 영화 <소년은 울지 않는다>에 대하여』http://http://www.skku.ac.kr/~dokmun/kultur01/Butler.htm
인터넷 문화미디어- 큐티즌 http://www.cultizen.co.kr
조약골. 『새로운 성 정체성 Butch & Femme』 http://www.cultizen.co.kr
*목차
1. 서론
2. 영화 <소년은 울지 않는다 Boys Don't Cry>
(1) 티나 브랜든의 성 정체성
(2) 영화 속에 드러난 편견과 폭력성
(3) 섹스와 젠더, 그 이분법적 사고체계
3. 현재, 섹스와 젠더 간에 벌어지는 문제들
(1) 착한여자 콤플렉스
(2) 우리시대의 화두, 트랜스젠더 하리수
4. 결론
*참고문헌
4. 결론
지금까지 영화 <소년은 울지 않는다>를 바탕으로 티나 브랜든의 성 정체성과 남자와 여자를 가르는 이분법적 사고체계가 그녀에게 어떻게 폭력을 가하는가, 그 편견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또한 섹스와 젠더의 고정관념 그리고 그 충돌이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현재의 착한여자 콤플렉스와 트랜스젠더 하리수의 사례를 들어 얘기해보았다.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고정된 남자다움과 여자다움을 배우면서 자란다. 성장하면서 사회가 만들어낸 남녀 성역할의 고정관념을 당연한 진리로 여기게 되며, 이는 곧 남성과 여성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편견으로 작용한다. 즉 인간이 가지고 태어나는 천부적인 인격의 한 부분이 사회적인 칼로 인해 잘라지고 마는 것이다. 성은 단순히 신체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생리현상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역사적·경제적·문화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성은 단순한 성기중심적인 행위가 아니라 신체구조와 심리구조가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영화는 한 여성의, 그리고 한 인간의 성적혼란을 통해 여성에게 주어진, 나아가 '인간'에게 주어진 삶의 고리를 사회라는 테두리 안에서 ‘문제’화했다. 우리는 단지 외모만으로 얼마나 많은 편견을 남성과 여성 서로에게 갖고 있는지에 대해 깨달아야 한다. 또한 우리가 원하는 것이라면 그것에 대한 편견을 넘어 얼마나 거침없이 행동할 수 있는지, 그리고 내가 속한 사회 속에서 자신의 행동의 주체로서 살고 있는가에 대해서 자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시몬느 드 보봐르(1990). 『제2의 성(Le Second Sex)』김기태(역) (부산:선영사)
송명희(2000).『섹슈얼리티, 젠더, 페미니즘』(서울: 푸른사상)
킴벌리 피어스 감독(2000), <소년은 울지 않는다 Boys Don't Cry>, (이십세기 폭스 코리아)
박희경.『Sex, Gender, Parodie - 쥬디스 버틀러의 책 Gender Trouble과 킴벌리 피어스의 영화 <소년은 울지 않는다>에 대하여』http://http://www.skku.ac.kr/~dokmun/kultur01/Butler.htm
인터넷 문화미디어- 큐티즌 http://www.cultizen.co.kr
조약골. 『새로운 성 정체성 Butch & Femme』 http://www.cultizen.co.kr
*목차
1. 서론
2. 영화 <소년은 울지 않는다 Boys Don't Cry>
(1) 티나 브랜든의 성 정체성
(2) 영화 속에 드러난 편견과 폭력성
(3) 섹스와 젠더, 그 이분법적 사고체계
3. 현재, 섹스와 젠더 간에 벌어지는 문제들
(1) 착한여자 콤플렉스
(2) 우리시대의 화두, 트랜스젠더 하리수
4. 결론
*참고문헌
추천자료
얼굴없는 미녀, 영화 속 등장인물의 심리 분석
오늘날 한국영화 속의 여성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영화 <어둠 속에서>에 나타난 영화형식으로서의 몽타주와 데쿠파주의 특...
영화<가루지기> 비평문- 성담론적 관점에서
대중 영화의 언어 분석 - 영화 '미녀는 괴로워' 속 존칭과 호칭, 화법, 비속어
<죽어도 좋아>라는 영화를 감상하고 노년기의 성과 재혼에 대한 귀하의 견해 제시
지극히 형식적인 홍상수식 리얼리즘의 정체성 - 영화 『생활의 발견』을 중심으로-
영화 Kukushka 속에서 바라본 이름의 의미-
영화 상의원(장애인주인공, 사회복지적측면, 사회복지사의역할, 사회복지프로그램)
인적자원관리_영화나 소설 속 인적자원관리를 찾아보고 그에 대해 평가하세요. 우선 재미있게...
자신이 인상 깊게 본 영화나 드라마 또는 소설 속 가족을 소개하고 작품 속 가족이 겪는 갈등...
장애인이 주인공이 되는 영화를 감상한 후 과제 내용을 작성하여 제출 할 것
영화 감상문 - 오만과 편견
[영화 속 경제원리 A+]위대한 쇼맨REPORT (베블런 효과 밴드왜건 효과 바넘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