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키친’의 문체 분석에 앞서
1) ‘키친’의 줄거리
2) ‘키친’의 등장 인물
3)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키친’, 그리고 ‘키친’의 문체적 특징
4) ‘키친’의 문체적 특징
2. ‘키친’의 문체 분석 - 무엇이 ‘비정상’을 ‘정상’으로 만드는가?
1) 대략적 분석
2) 무엇이 비정상을 정상으로 만드는가.
3. ‘키친’ -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의 ‘평범한’ 소설
<참고 문헌>
<참 고> - * 요시모토 바나나
1) ‘키친’의 줄거리
2) ‘키친’의 등장 인물
3)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키친’, 그리고 ‘키친’의 문체적 특징
4) ‘키친’의 문체적 특징
2. ‘키친’의 문체 분석 - 무엇이 ‘비정상’을 ‘정상’으로 만드는가?
1) 대략적 분석
2) 무엇이 비정상을 정상으로 만드는가.
3. ‘키친’ -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의 ‘평범한’ 소설
<참고 문헌>
<참 고> - * 요시모토 바나나
본문내용
해 보았다. 우선 1인칭 주인공 시점을 사용하여 주인공이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효과를 주고 있고, 문장에서 쉼표의 사용, 괄호의 사용, 어휘 면에서는 만화 주인공이나 영화 제목 등의 사용 등을 통하여 독자가 마치 이야기를 직접 ‘듣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한다. 마치 현실 속에 누군가가 직접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에 더하여 ‘키친’ 속 인물들의 말하는 투와 또 그들이 세상을 대하는 방식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담담한 태도’가 독자들 역시 ‘담담하게’ 해 준다. 이는 바나나 특유의 짧고 군더더기 없는 문체에서 드러난다.
또한 ‘키친’은 쉽고 일상적인 단어의 사용과 짧고 문장, 빠른 전개 등 오늘날 독자들에게 사랑받을 만한 점들을 모두 갖추고 있다. ‘키친’이 몇 십 년 전에 발표되었다면 당시에 이렇게 널리 얽혀지지는 못했을 것이다. 종합해 보면, ‘키친’은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의 ‘평범한’ 소설인 것이다.
<참고 문헌>
요시모토 바나나(김난주), 키친, 2000, 민음사
<참 고> - * 요시모토 바나나
바나나는 1964년 도쿄에서 출생했으며 일본대학 예술학부 문예과를 졸업했다. 문학평론가였던 아버직 덕분에 어릴 때부터 많은 책더미 속에서 자랐다. 지난 87년 졸업학년이었던 그녀는 레스토랑에서 일하면서 데뷔작 '키친'을 완성하여 발표하면서 카이엔 신인 문학상, 이즈미 쿄카상을 받았다. 본명은 '요시모토 마호코'이며 "국제적 감각을 지향하기 위해 성별 불명, 국적 불명"의 '바나나'라는 필명을 생각해 냈다고 한다.
그녀의 소설은 80년대 후반 이후 일본 젊은이들의 정서를 대변하면서 '키친'이 일본에서 1백만부 이상 팔려 나가고, '바나나 현상'이란 유행어를 낳았을 정도로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켰으며 '키친'은 89년 출간 이후 30여개국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바나나 문학의 기본주제는 소비사회 속에서 성장한 일본 젊은이들의 황폐한 내면이며 이러한 고독, 상실, 절망, 죽음, 사랑, 냉소 등을 몽환적이면서 재치있게 묘사하고 있다.
특히 서양언론들의 찬사와 함께 인터넷 공간속에서는 전세계 젊은이들이 바나나 문학에 대해 토론하는 '바나나 랜드'가 넘쳐나고 있다. 현재 한국에는 'N.P' (삼문) '멜랑코리아'(한뜻) '푸른방'(청운) '키친''도마뱀'(민음사) 등이 출간 되었다.
- 민태규, 요시모토 바나나(吉本ばなな)의 『키친(キッチン)』에 나타난 '재생(再生)'에 관하여, http://my.dreamwiz.com/mintk/japan/kitchen.html
*목차
1. ‘키친’의 문체 분석에 앞서
1) ‘키친’의 줄거리
2) ‘키친’의 등장 인물
3)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키친’, 그리고 ‘키친’의 문체적 특징
4) ‘키친’의 문체적 특징
2. ‘키친’의 문체 분석 - 무엇이 ‘비정상’을 ‘정상’으로 만드는가?
1) 대략적 분석
2) 무엇이 비정상을 정상으로 만드는가.
3. ‘키친’ -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의 ‘평범한’ 소설
<참고 문헌>
<참 고> - * 요시모토 바나나
그에 더하여 ‘키친’ 속 인물들의 말하는 투와 또 그들이 세상을 대하는 방식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담담한 태도’가 독자들 역시 ‘담담하게’ 해 준다. 이는 바나나 특유의 짧고 군더더기 없는 문체에서 드러난다.
또한 ‘키친’은 쉽고 일상적인 단어의 사용과 짧고 문장, 빠른 전개 등 오늘날 독자들에게 사랑받을 만한 점들을 모두 갖추고 있다. ‘키친’이 몇 십 년 전에 발표되었다면 당시에 이렇게 널리 얽혀지지는 못했을 것이다. 종합해 보면, ‘키친’은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의 ‘평범한’ 소설인 것이다.
<참고 문헌>
요시모토 바나나(김난주), 키친, 2000, 민음사
<참 고> - * 요시모토 바나나
바나나는 1964년 도쿄에서 출생했으며 일본대학 예술학부 문예과를 졸업했다. 문학평론가였던 아버직 덕분에 어릴 때부터 많은 책더미 속에서 자랐다. 지난 87년 졸업학년이었던 그녀는 레스토랑에서 일하면서 데뷔작 '키친'을 완성하여 발표하면서 카이엔 신인 문학상, 이즈미 쿄카상을 받았다. 본명은 '요시모토 마호코'이며 "국제적 감각을 지향하기 위해 성별 불명, 국적 불명"의 '바나나'라는 필명을 생각해 냈다고 한다.
그녀의 소설은 80년대 후반 이후 일본 젊은이들의 정서를 대변하면서 '키친'이 일본에서 1백만부 이상 팔려 나가고, '바나나 현상'이란 유행어를 낳았을 정도로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켰으며 '키친'은 89년 출간 이후 30여개국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바나나 문학의 기본주제는 소비사회 속에서 성장한 일본 젊은이들의 황폐한 내면이며 이러한 고독, 상실, 절망, 죽음, 사랑, 냉소 등을 몽환적이면서 재치있게 묘사하고 있다.
특히 서양언론들의 찬사와 함께 인터넷 공간속에서는 전세계 젊은이들이 바나나 문학에 대해 토론하는 '바나나 랜드'가 넘쳐나고 있다. 현재 한국에는 'N.P' (삼문) '멜랑코리아'(한뜻) '푸른방'(청운) '키친''도마뱀'(민음사) 등이 출간 되었다.
- 민태규, 요시모토 바나나(吉本ばなな)의 『키친(キッチン)』에 나타난 '재생(再生)'에 관하여, http://my.dreamwiz.com/mintk/japan/kitchen.html
*목차
1. ‘키친’의 문체 분석에 앞서
1) ‘키친’의 줄거리
2) ‘키친’의 등장 인물
3)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키친’, 그리고 ‘키친’의 문체적 특징
4) ‘키친’의 문체적 특징
2. ‘키친’의 문체 분석 - 무엇이 ‘비정상’을 ‘정상’으로 만드는가?
1) 대략적 분석
2) 무엇이 비정상을 정상으로 만드는가.
3. ‘키친’ -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의 ‘평범한’ 소설
<참고 문헌>
<참 고> - * 요시모토 바나나
추천자료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
지금도 천변을 걸을 수 있을까. 작가 박태원에 대해서
영웅소설 유충렬전의 대중화
장용학 연구 -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고전문학 - 방한림전 ; 작품론 중심으로 논하기
이춘풍전(李春風傳)
[독후감] 사람풍경 _ 김형경 저
남한산성 - 김훈과 역사소설의 새로운 패러다임
The Red Convertible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상징적 의미 _ Louise Erdrich 저
뚜르게네프 연기
오정희의 유년의 뜰
이태준 문학 연구
소돔 120일
[관광학원론] 대만 가오슝 야시장, 가오슝, 야시장 [ Air Busan “Dream Tour” ] 가오슝의 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