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이란?
Ⅱ.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영향”
(1)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긍정적 영향
(2)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부정적 영향
① 맞춤법의 붕괴화
② 근거없는 소문의 확산
③ 타인에 대한 비방과 욕설
④ 타인에게 불쾌함을 주는 저주글
⑤ 성인 광고의 게시판이 되는 리플 공간
Ⅲ. “인터넷 기사에서 리플의 바람직한 방향 제시”
(1) 개인적 측면
(2) 사회적 측면
*참고문헌
Ⅱ.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영향”
(1)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긍정적 영향
(2)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부정적 영향
① 맞춤법의 붕괴화
② 근거없는 소문의 확산
③ 타인에 대한 비방과 욕설
④ 타인에게 불쾌함을 주는 저주글
⑤ 성인 광고의 게시판이 되는 리플 공간
Ⅲ. “인터넷 기사에서 리플의 바람직한 방향 제시”
(1) 개인적 측면
(2) 사회적 측면
*참고문헌
본문내용
먼저 보게 되었다. 리플의 영향력도 점차 커지게 되고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는 공간이 되기도 하지만, 욕설과 비방글, 저주글, 유언비어 등이 난무하게 되는 부작용도 낳게 되었다.
Ⅱ.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영향”
☞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영향은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내포하고 있다. 즉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필자 같은 경우에는 부정적 영향에 더 무게를 두고자 한다.
왜냐하면 필자가 평소에 접한 리플들은 대부분 욕설, 성인광고, 저주글, 근거없는 소문 등이기 때문이다.
(1)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긍정적 영향
☞ 인터넷 기사의 리플의 긍정적 영향은 바로 기사의 내용을 좀 더 정확하고 비판적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어느 때는 기사가 좀 부족한 내용을 담고 있거나 편협한 관점을 가지고 있으면 네티즌들이 리플에 기사를 정정해주거나 좀더 다양한 시각으로 기사를 분석해준다.
그래서 일부 네티즌의 리플은 ‘제2의 기사’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자신의 의견을 표출할 수 있기 때문에 리플 공간은 서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좋은 장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부정적 영향
①맞춤법의 붕괴화
☞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부정적 영향에서 빼놓고 말 할 수 없는 부분이 바로 맞춤법의 붕괴화이다.
대부분의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을 보면 현재 유행하는 말투 등을 사용하고 맞춤법은 거의 신경 쓰지 않는 듯하다. 띄어쓰기도 마찬가지로 틀린 경우가 많다.
필자가 가장 많이 본 틀린 맞춤법은 “낳다”와 “낫다”이다. 예를 들어 “이 정치인이 지금 현재 정치인중에서 가장 낳다”라고 사용한다. 그리고 문어체의 리플보다는 구어체 형식인 리플이 더 많이 보인다. 이모티콘 남발, 음운만 써 놓은 경우도 많다.
(예문1)
“탤런트 h양의 연예계 복귀설 모락모락!” 기사에서의 리플
네티즌 A : 걍 오지마 짜증나
네티즌 B : 돈 다떨어 졌나봬~~~~~
네티즌 C : 나오든 말든 뭔 상관인지..진짜 더런 색기들이 참 말 많네..개자슥들..
네티즌 D : 낙이다 썅
네티즌 E : 불쌍타....
네티즌 F : H양이 최고로 좋아하는것은?? 1. 최음제....
(예문2)
“살 빼려면 많이 웃어라” 기사에서의 리플
네티즌 A : ............;;;나는 뭐지.
네티즌 B : 난 하루의 반을 호탕하게 웃는데...이모양이네....ㅡㅡ:: 어캐된거?
네티즌 C : ㅜ 그래가지고 언제 살 빼니ㅜ
네티즌 D : 왜 10자 이상 써야돼??
(예문3)
“이런 장난 이제 그만!” 기사에서의 리플
네티즌 A : 나쁜 놈 덜!!
네티즌 B : 진짜 짜증난다. 가끔 쪽지로 오는데, 친구라서 욕할 수도 없고_ 어떻 게 매번 같은애가 몇달간격으로 오는지.. -_- 사람 생명갖고장난치면 좋냐?
네티즌 C : 평소에 헌혈을 많이 해서 자가수혈 할수 있도록! 하셈
네티즌 D : 저런 장난 친 사람...도대체 누구냐...것도 불치병을 상대로...살다살다 저런 애가 다있냐...정신 좀 차리고 사셈.
네티즌 E : 구라인것도
Ⅱ.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영향”
☞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영향은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내포하고 있다. 즉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필자 같은 경우에는 부정적 영향에 더 무게를 두고자 한다.
왜냐하면 필자가 평소에 접한 리플들은 대부분 욕설, 성인광고, 저주글, 근거없는 소문 등이기 때문이다.
(1)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긍정적 영향
☞ 인터넷 기사의 리플의 긍정적 영향은 바로 기사의 내용을 좀 더 정확하고 비판적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어느 때는 기사가 좀 부족한 내용을 담고 있거나 편협한 관점을 가지고 있으면 네티즌들이 리플에 기사를 정정해주거나 좀더 다양한 시각으로 기사를 분석해준다.
그래서 일부 네티즌의 리플은 ‘제2의 기사’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자신의 의견을 표출할 수 있기 때문에 리플 공간은 서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좋은 장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부정적 영향
①맞춤법의 붕괴화
☞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의 부정적 영향에서 빼놓고 말 할 수 없는 부분이 바로 맞춤법의 붕괴화이다.
대부분의 인터넷 기사에서의 리플을 보면 현재 유행하는 말투 등을 사용하고 맞춤법은 거의 신경 쓰지 않는 듯하다. 띄어쓰기도 마찬가지로 틀린 경우가 많다.
필자가 가장 많이 본 틀린 맞춤법은 “낳다”와 “낫다”이다. 예를 들어 “이 정치인이 지금 현재 정치인중에서 가장 낳다”라고 사용한다. 그리고 문어체의 리플보다는 구어체 형식인 리플이 더 많이 보인다. 이모티콘 남발, 음운만 써 놓은 경우도 많다.
(예문1)
“탤런트 h양의 연예계 복귀설 모락모락!” 기사에서의 리플
네티즌 A : 걍 오지마 짜증나
네티즌 B : 돈 다떨어 졌나봬~~~~~
네티즌 C : 나오든 말든 뭔 상관인지..진짜 더런 색기들이 참 말 많네..개자슥들..
네티즌 D : 낙이다 썅
네티즌 E : 불쌍타....
네티즌 F : H양이 최고로 좋아하는것은?? 1. 최음제....
(예문2)
“살 빼려면 많이 웃어라” 기사에서의 리플
네티즌 A : ............;;;나는 뭐지.
네티즌 B : 난 하루의 반을 호탕하게 웃는데...이모양이네....ㅡㅡ:: 어캐된거?
네티즌 C : ㅜ 그래가지고 언제 살 빼니ㅜ
네티즌 D : 왜 10자 이상 써야돼??
(예문3)
“이런 장난 이제 그만!” 기사에서의 리플
네티즌 A : 나쁜 놈 덜!!
네티즌 B : 진짜 짜증난다. 가끔 쪽지로 오는데, 친구라서 욕할 수도 없고_ 어떻 게 매번 같은애가 몇달간격으로 오는지.. -_- 사람 생명갖고장난치면 좋냐?
네티즌 C : 평소에 헌혈을 많이 해서 자가수혈 할수 있도록! 하셈
네티즌 D : 저런 장난 친 사람...도대체 누구냐...것도 불치병을 상대로...살다살다 저런 애가 다있냐...정신 좀 차리고 사셈.
네티즌 E : 구라인것도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 인터넷중독증과 해결방안
인터넷과 지면 신문 독자의 정치적 지각에 대하여 <매스컴 연구방법론>
[인터넷문화]인터넷 언어 현상과 전망
인터넷 신문의 공공저널리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인터넷마케팅]인터넷쇼핑몰의 마케팅 구성요소와 전략 및 시장분석
인터넷 활용에 따라 고려 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
인터넷의 마케팅적 가치(개인화)
청소년과 인터넷 음란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사범/법학]
인터넷 악성 댓글(악플)을 정의하고, 악플의 원인과 문제점 및 대책방안과 본인의 생각을 서술.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과 중독 실태를 파악해 보고 인터넷 활동의 폐해를 예방할 수있는 방안...
사회현상과 커뮤니케이션-조작된 인터넷 포털 사이트,실시간 검색어에 대한 논쟁과 현실,의제...
소개글